'일반 대중은 없다. 이제 취향만 있다.'
저는 영화를 좋아해서 최근에 나온 영화들을 전부 본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제법 봤습니다.
체인쏘맨은 안 봤어도 귀칼은 봤고,
보스는 안 봤지만 어쩔 수가 없다, 좀비딸은 봤죠.
이 영화들의 흥행 등을 지켜보면서 느끼는 건 예전처럼 관객들이
유명 감독, 유명 배우, 익숙한 장르의 무난한 영화들은 잘 찾지 않는다는 거였네요.
사실 이건 이미 몇 년 전부터 시작한 변화고요.
코로나로 인해 사람들이 OTT에 익숙해졌고, 영화관 표값은 올랐는데 비해
서비스 질은 많이 낮아졌어요.
즐길 거리가 많아진 만큼 비싼 돈 주고 영화관을 꼭 가야 할 이유가 없어졌습니다.
이건 단순히 한국 영화의 퀄리티 문제가 아니라 트렌드의 변화, 환경의 변화로 보여요.
'나이키의 경쟁 상대는 닌텐도다' 라는 말이 있죠.
주 타깃층인 청소년들이 게임이라는 문화에 빠지면서 집 밖으로 나오는 일이 적어지고
그에 따라 나이키 운동화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이야기 입니다.
여기에 대해 '나이키가 신발을 잘 만들었어야지!' 라고 말하는 건 소용없을 겁니다.
판 자체가 바뀐 거니까요.
그런 의미에서 첨부한 기사는 단순히 영화의 질 문제가 아니라
'관객은 변했는데 한국 영화 업계가 따라오지 못하고 있다' 는 문제를 지적하고 있어서
현 상황을 분석하는데 적합한 기사라고 봅니다.

(IP보기클릭)218.154.***.***
나도 이 기사에 동의하고 있어. 전략을 바꿀 때야. 이제 영화를 봐줄지 말지 확실치 않은 대중은 버리고 영화를 확실히 봐줄 매니아들을 노려야 해.
(IP보기클릭)211.208.***.***
진짜 존나 짜치는 기사 있더라 대충 일본 엄습 한국 불안 간지럽힌 후 그러니까 나라 세금으로 지원은 옳다 진심 개밥쉰내나는 부장님 감성몰이
(IP보기클릭)118.235.***.***
코로나 시즌을 지나면서 극장에서 영화를 본다는거 자체가 매니아들의 취미영역으로 변해버렸지 독서랑 거의 비슷한길을 가고있음
(IP보기클릭)218.48.***.***
당연히 한국영화가 잘 나가면 좋은 거지만 지금은 국산품 장려 운동을 하던 시대도 아니고... 아무튼 우리 것이 좋다면서 애국하려고 봐주는 때는 한참 지났죠.
(IP보기클릭)121.147.***.***
난 이 글에 반대인게 이게 애니메이션이어서 그렇지 내용은 석기시대부터 반복된 스테디 셀러의 전형임 보이 미트 걸 + 이루어지지 않은 비극적인 사랑 변주된 로미오와 줄리엣임 생각해보면 엣지러너도 보이미트걸에 이루어지지않은 비극적인 사랑임 즉, 표현방법이 달라졌을 뿐, 이야기는 그지없이 대중적이고 사랑받던 플롯의 반복임 수없이 사랑받았던 이야기들 이야기로, 연극으로, 책으로, 영화로 사랑받을때는 괜찮고 애니매이션으로 되니까 이제 일반 대중이 없다고???? 내가 볼때 전혀 맞지 않음 오히려 일반 대중이 볼거리에서 너무 영화들이 먼 이야기 하고 애니매이션이 일반 대중이 볼 걸 해주니까 그냥 맨날 보던 이야기 보러 간 거뿐임 일반 대중이
(IP보기클릭)106.243.***.***
수요층이 확실한 컨텐츠가 아니면 성공하기어렵다는거. 예전에는 일본애니 수요층이 이정도는 아니였는데, 어느새 엄청 성장해있는게 좀 놀라운거지
(IP보기클릭)223.38.***.***
극장에 걸리는 애니는 영화지 뭐~
(IP보기클릭)211.208.***.***
진짜 존나 짜치는 기사 있더라 대충 일본 엄습 한국 불안 간지럽힌 후 그러니까 나라 세금으로 지원은 옳다 진심 개밥쉰내나는 부장님 감성몰이
(IP보기클릭)218.48.***.***
당연히 한국영화가 잘 나가면 좋은 거지만 지금은 국산품 장려 운동을 하던 시대도 아니고... 아무튼 우리 것이 좋다면서 애국하려고 봐주는 때는 한참 지났죠. | 25.10.25 14:51 | | |
(IP보기클릭)121.140.***.***
그 반대되는 기사또한 올라왔다가 베스트에서 저격먹더라 ㅋㅋㅋ | 25.10.25 14:52 | | |
(IP보기클릭)211.214.***.***
일본 콘텐츠 영화관에 걸리는거 무서워하는거부터 쉰내나는 부장님 감성이긴함 ㅋㅋ | 25.10.25 14:54 | | |
(IP보기클릭)211.36.***.***
저격기사도 솔직히... 더 떨어졌음. '잘만들면 잘팔린다' 수준이던데 | 25.10.25 14:57 | | |
(IP보기클릭)121.140.***.***
ㅇㅇ 그래서 비어있는 논리로 저격먹었지 | 25.10.25 14:58 | | |
(IP보기클릭)106.102.***.***
차라리 원글이 쉰내나도 생각해볼 거리는 더 많았음 | 25.10.25 15:00 | | |
(IP보기클릭)221.161.***.***
경쟁해서 이길생각은 안하고 일본제품 사면 황국신민 프레임 씌우깇ㅋㅋㅋㅋㅋㅋ | 25.10.25 15:14 | | |
(IP보기클릭)106.243.***.***
수요층이 확실한 컨텐츠가 아니면 성공하기어렵다는거. 예전에는 일본애니 수요층이 이정도는 아니였는데, 어느새 엄청 성장해있는게 좀 놀라운거지
(IP보기클릭)218.48.***.***
OTT 보급으로 애니를 가볍게 향유하는 층이 늘면서 생긴 변화죠. | 25.10.25 14:51 | | |
(IP보기클릭)121.140.***.***
근데 귀멸같은건 SNS 상으로 트랜딩도 엄청되어서 애니 많이 안보는 계층도 본듯. 500만까지 갈려면 단순 애니 많이 보는 애들만으론 힘드니 | 25.10.25 14:55 | | |
(IP보기클릭)220.87.***.***
순수 입소문으로 흥행에 성공한 슬램덩크같은 케이스도 있긴 하지 | 25.10.25 14:59 | | |
(IP보기클릭)221.161.***.***
한때 미국 게임 개발자가 질문하는 일본인에게 비웃던 일이 있었지 | 25.10.25 15:15 | | |
(IP보기클릭)118.235.***.***
코로나 시즌을 지나면서 극장에서 영화를 본다는거 자체가 매니아들의 취미영역으로 변해버렸지 독서랑 거의 비슷한길을 가고있음
(IP보기클릭)218.154.***.***
나도 이 기사에 동의하고 있어. 전략을 바꿀 때야. 이제 영화를 봐줄지 말지 확실치 않은 대중은 버리고 영화를 확실히 봐줄 매니아들을 노려야 해.
(IP보기클릭)218.48.***.***
파묘가 성공한 이유가 이거였죠. 오컬트라는 확실한 장르를 가지고 재밌는 영화를 만들었으니까요. 퀄리티는 당연히 좋아야 하고, 시간과 돈이 한정된 관객들을 위해 새로운 경험을 시켜줄 수 있는 컨텐츠가 필요한 때예요. | 25.10.25 14:53 | | |
(IP보기클릭)211.234.***.***
아니면 대중성 노릴거면 확실하게 노리던가 이도저도 아니면 죽을뿐임 | 25.10.25 14:55 | | |
(IP보기클릭)175.115.***.***
남자 아이돌을 밀어야한다는 거구나!(아님) | 25.10.25 14:55 | | |
(IP보기클릭)121.127.***.***
산업의 규모 축소는 불가피하다는 거네 | 25.10.25 14:56 | | |
(IP보기클릭)211.234.***.***
남자 아이돌을 미는 영화를 만들면, 그 아이돌의 매력을 살려서 보여주는데 집중해야지, 남자 아이돌들이 귀멸의 칼날이나 체인소맨을 찍게 하면 망하긴 할 거야.ㅋㅋㅋ | 25.10.25 15:15 | | |
(IP보기클릭)223.38.***.***
극장에 걸리는 애니는 영화지 뭐~
(IP보기클릭)218.48.***.***
(IP보기클릭)218.48.***.***
옛날이면 700~800만 나올 영화도 요즘은 500만 밖에 못 나올 수밖에 없는 시대라고 봐요. | 25.10.25 14:55 | | |
(IP보기클릭)222.98.***.***
(IP보기클릭)1.227.***.***
(IP보기클릭)223.38.***.***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223.39.***.***
(IP보기클릭)119.193.***.***
(IP보기클릭)106.102.***.***
(IP보기클릭)218.48.***.***
제 생각에 쉽지는 않을 거예요... 만화나 애니 같은 분야는 일본, 미국이 꽉 잡고 있다 보니 '확실하게 퀄을 보장하는 걸 보는 게 좋지 않아?' 라는 심리가 작용할 거라서요. K팝처럼 성공 사례가 켜켜이 쌓여서 물꼬를 터줘야 위상이 더 오르겠죠. | 25.10.25 14:58 | | |
(IP보기클릭)123.199.***.***
(IP보기클릭)121.147.***.***
난 이 글에 반대인게 이게 애니메이션이어서 그렇지 내용은 석기시대부터 반복된 스테디 셀러의 전형임 보이 미트 걸 + 이루어지지 않은 비극적인 사랑 변주된 로미오와 줄리엣임 생각해보면 엣지러너도 보이미트걸에 이루어지지않은 비극적인 사랑임 즉, 표현방법이 달라졌을 뿐, 이야기는 그지없이 대중적이고 사랑받던 플롯의 반복임 수없이 사랑받았던 이야기들 이야기로, 연극으로, 책으로, 영화로 사랑받을때는 괜찮고 애니매이션으로 되니까 이제 일반 대중이 없다고???? 내가 볼때 전혀 맞지 않음 오히려 일반 대중이 볼거리에서 너무 영화들이 먼 이야기 하고 애니매이션이 일반 대중이 볼 걸 해주니까 그냥 맨날 보던 이야기 보러 간 거뿐임 일반 대중이
(IP보기클릭)221.143.***.***
그렇게 말해버리면 안티플롯을 도입하지 않은 영화는 모두 대중성이 좋다는 결론을 낼 수 있다만, 지금 시대가 대충 아는 배우 아는 클리셰를 넣어 땜빵할 수 없게 되어, 중요한 것은 시간과 돈을 투자해서 앉은 시네마가 그 대중에게 얼마나 와닿는 보편적 감상을 자아내는가라고 생각할 수는 있겠네 | 25.10.25 15:16 | | |
(IP보기클릭)221.143.***.***
쉽게 말해서 단순히 "보이 미트 걸" "고전적 영웅담"을 만든다고 관객은 돌아오지 않을 것이란 말이지. 체인소맨이나 귀멸의 칼날 저변에 깔린 사람 냄새와 사람에 대한 고찰은 굉장히 중요하다 생각함. | 25.10.25 15:18 | | |
(IP보기클릭)121.173.***.***
그래서 변주라고 표현한듯. 저 대중적 플롯을 기반으로해서 각 시대에 맞는 각색이 얼마나 먹히냐 인듯 | 25.10.25 15:22 | | |
(IP보기클릭)221.143.***.***
사실 완전히 예술을 하고 싶은 게 아니라면 최소한의 아크플롯을 갖추고 있을 수밖에 없거든. 영화만 그런 게 아니라 이야기를 다룬다면 대중문화 전반적으로 그래왔으니까 | 25.10.25 15:27 | | |
(IP보기클릭)39.7.***.***
이게 맞는거같다. 궁극적으로 애니라고 낮게 보는 시각이 있는걸지도 | 25.10.25 16:14 | | |
(IP보기클릭)175.195.***.***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182.214.***.***
(IP보기클릭)121.130.***.***
(IP보기클릭)121.127.***.***
매니아나 씹덕들 눈을 만족 시킬때 까지 만들어질 실패작들의 흥행 실패를 감당할 수 있다면 말이지 | 25.10.25 15:02 | | |
(IP보기클릭)125.129.***.***
(IP보기클릭)210.103.***.***
(IP보기클릭)218.48.***.***
이건 영화관 산업 자체가 위기이고, 규모가 팍 줄어드는 중이라서... 시대의 변화다 보니까 정말 어디서부터 손대야 할지 쉽지 않은 문제죠. 어쩌면 앞으로의 시대에서는 1000만 영화 자체가 탄생하지 않을지도 모르고요. | 25.10.25 15:04 | | |
(IP보기클릭)210.103.***.***
그래서 지난 번 연속으로 천만 찍은 아바타에 다들 주목하고 있지. 이것마저 천만 못찍으면 진짜로 영화 완성도의 문제가 아니라 극장가의 침체가 맞다고 낙인 찍는 거니. | 25.10.25 15:05 | | |
(IP보기클릭)211.106.***.***
(IP보기클릭)223.39.***.***
(IP보기클릭)223.39.***.***
애니메이션인 달려라 하니, 퇴마록 등이 충분히 그렇게 할 수 있었고, 특히 퇴마록은 기존에 웹툰이나 소설 등으로 쌓은 인지도가 있었음에도 흥행에 아쉽게 실패했고... | 25.10.25 15:03 | | |
(IP보기클릭)121.140.***.***
넷플릭스 오리지널이지만 오징어게임정도나 생각나는듯 | 25.10.25 15:04 | | |
(IP보기클릭)218.48.***.***
그런 미디어믹스를 향유하는 오타쿠 층이 우리나라에 절대적으로 부족한 게 큰 거 같아요. 인구수 문제도 그렇고, 그런 문화에 돈 쓰는 걸 이해 못하는 사람들도 많고. (물론 예전보다는 훨씬 늘었지만요) 말씀하신 퇴마록이 딱 그 케이스인게 분명 과거에 큰 팬층을 가졌던 흥행작임에도 그걸 애니로 만들었을 때 관람객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걸 증명해버렸으니까요. 일본 애니나 미국 애니와 달리 이런 미디어믹스 전개의 성공 사례가 적어서 당장은 어쩔 수 없는 문제가 아닌가 싶습니다. | 25.10.25 15:08 | | |
(IP보기클릭)210.103.***.***
하나 떠오르는게 있는데 그게 영구... 애초에 그런 시장은 기본적으로 영화가 잘 되어야 하는 것도 있지만 그걸 뒷받침할 2차 시장도 있어야 하는데 그동안 우리나라는 그게 부재에 가까웠다는게 제일 커보임요. 결국 제작사에서 2차 컨텐츠 내줘야 하는 건데 사실 그렇게 제작사들이 크지 못하다는 점도 있고 말이죠. 미국에서 디즈니, 워너, 유니버설 같은 급이 아니라 그나마 CJ가 모회사 빨로 큰 거 빼면 여러 투자사들 돈 받아 영화 겨우 만드는 정도 규모니요. | 25.10.25 15:10 | | |
(IP보기클릭)223.39.***.***
ㅇㅇㅇ 오징어게임 정도면 성공사례네요. 드라마 3부작으로만 끝나는 게 아니라 스핀오프 예능도 나오고, 보드게임도 나오고, 각종 피규어에 넨도로이드, 블록완구 등등 부가상품들도 활발하게 전개함으로써 하나의 프랜차이즈화 됐으니까요. | 25.10.25 15:12 | | |
(IP보기클릭)223.39.***.***
그러니까 너무 아쉽단 거죠. 예를 들어 팀버튼의 <화성침공>은 1996년에 단 한 편만 나온 영화이지만, 이후에도 영화 속 화성인들의 피규어가 발매되고, 레드 소냐와 콜라보한 만화책도 나오는 등 미디어믹스 사업이 계속 있거든요. | 25.10.25 15:49 | | |
(IP보기클릭)223.39.***.***
넷플릭스 영화 <승리호>도 해외에서 나왔다면 마트 완구코너에 이 영화에 나오는 우주선이나 인간 캐릭터들의 프라모델이나 피규어 등의 제품이 잔뜩 깔려 있었을 테고, 특히 유해진 씨가 더빙한 업동이는 대놓고 피규어나 인형으로 만들기 딱 좋은 디자인의 로봇인데 그 어떤 상품도 내놓지 못하고 그냥 단발성으로 묻혀 버인 게 황당하단 거죠. 비용 때문에 영화로 속편을 못 내겠다면 웹소설이나 웹툰 등으로 세계관 확장과 시리즈화도 가능했을 텐데... | 25.10.25 15:54 | | |
(IP보기클릭)218.48.***.***
최근에는 웹툰이나 웹소설 팝업이 늘어나는 등 다양한 미디어믹스 전개를 하고 있으니 우리나라에도 변화가 있을 거라고는 생각해요. 당장은 아쉽지만... 이런 게 조금씩 쌓여서 가시적인 성과를 이룰 때까지는 기다려야겠죠. | 25.10.25 16:00 | | |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121.137.***.***
(IP보기클릭)218.48.***.***
진짜로 성공했을지는 모를 일이지만 어설프게 대중적인 거 노리기보다, 차라리 팬들의 니즈에 맞춘 영화를 만들었으면 더 낫지 않았을까? 라는 상상이죠. | 25.10.25 15:14 | | |
(IP보기클릭)171.253.***.***
(IP보기클릭)218.48.***.***
그 부분을 파고들 숏폼이나 OTT의 대두로 인해 극장과 영화 산업이 타격을 입은 거죠. | 25.10.25 15:13 | | |
(IP보기클릭)171.253.***.***
근데 심지어 그게 집에서 편하게 틀어서 보는 것도 아니고 밖에 극장까지 가서 봐야 한다? 어지간히 기대하고 가는 대작이 아닌 이상에는 도저히 나갈 엄두가 안 남. 여름에는 시원한 에어컨 틀고 자고, 겨울에는 뜨듯한 이불 속에서 안 나오고 자고 그 반복이었을 뿐. | 25.10.25 15:13 | | |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221.161.***.***
(IP보기클릭)210.157.***.***
(IP보기클릭)110.14.***.***
(IP보기클릭)211.235.***.***
"그냥 사람들한테 먹힐만한 자극적인 스토리를 싸게 찍으면 되는데 참."
(IP보기클릭)106.101.***.***
(IP보기클릭)112.187.***.***
(IP보기클릭)1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