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글쓰기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유머] 옛날엔 빵 값이 쌌던 이유 중 하나 [98]


profile_image_default


(5136665)
109 | 98 | 14652 | 비추력 319
프로필 열기/닫기
글쓰기
|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댓글 | 98
1
 댓글


(IP보기클릭)211.224.***.***

BEST
우리가 누리는 편리함과 인프라는 누군가의 피땀어린 희생으로 이루어진다는 걸 망각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다
25.09.03 15:09

(IP보기클릭)119.204.***.***

BEST
한국에서 저렴한 식비는 죄다 사실 저러잖아
25.09.03 15:08

(IP보기클릭)118.235.***.***

BEST
근데 올라간 인건비는 적용 안되는wwwwwwww
25.09.03 15:10

(IP보기클릭)180.81.***.***

BEST
그럼 애초에 많이 못파니까 돈이 안됨
25.09.03 15:14

(IP보기클릭)223.39.***.***

BEST
일하는 시간이 다르잖아 무슨 말이 안되는 소리를 하고 있어
25.09.03 15:15

(IP보기클릭)211.235.***.***

BEST
애초에 저때면 식물성 크림에 쇼트닝 쓰던 개저질빵아님?
25.09.03 15:12

(IP보기클릭)118.235.***.***

BEST
저게 어떻게 인건비 탓하는거임
25.09.03 15:18

(IP보기클릭)119.204.***.***

BEST
한국에서 저렴한 식비는 죄다 사실 저러잖아
25.09.03 15:08

(IP보기클릭)118.42.***.***

힘없는오리
그래서 실제로 인건비 고려 안했던 백반집 문닫은 곳 많아졌고, 비슷한 부류였던 국밥도 실제로 가격 많이 올랐지. | 25.09.03 21:05 | | |

(IP보기클릭)211.224.***.***

BEST
우리가 누리는 편리함과 인프라는 누군가의 피땀어린 희생으로 이루어진다는 걸 망각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다
25.09.03 15:09

(IP보기클릭)211.36.***.***

AQUA Alta
배달비무료=> 배달부 시급 5000원시대(딸배는 시급1.5만원) | 25.09.03 15:13 | | |

(IP보기클릭)118.235.***.***

BEST
근데 올라간 인건비는 적용 안되는wwwwwwww
25.09.03 15:10

(IP보기클릭)211.235.***.***

BEST
애초에 저때면 식물성 크림에 쇼트닝 쓰던 개저질빵아님?
25.09.03 15:12

(IP보기클릭)211.36.***.***

웅히히
맞긴해 | 25.09.03 15:13 | | |

(IP보기클릭)221.147.***.***

확실히 유럽 농축산품 싼 이유가 아프리카 저임금자 부려먹어서라는 이야기가 있던데 똑같은 이야기네요.
25.09.03 15:13

(IP보기클릭)180.92.***.***

자본주의는 누군가를 착취하지 않으면 굴러가지 않는걸까
25.09.03 15:13

(IP보기클릭)211.36.***.***

시뻘갱이
AI를착취하게되길 | 25.09.03 15:13 | | |

(IP보기클릭)118.235.***.***

시뻘갱이
자본주의 이전에는 그냥 노예나 농노였다... 사회주의 국가들은 덜 평등한 인민대중이었고 | 25.09.03 15:58 | | |

(IP보기클릭)115.23.***.***

시뻘갱이
사람이 살아가면서 나 자신은 인지 못해도 누군가는 희생을 하고 있긴 하지 자본주의 뿐만 아니라 농경사회 시작 하면서 다 그럴껄? | 25.09.03 17:06 | | |

(IP보기클릭)218.39.***.***

시뻘갱이
SPC 계열사가 80%인 과점시장인데 이게 자본주의인지..... | 25.09.03 17:20 | | |

(IP보기클릭)121.167.***.***

사장혼자하는 소규모매장은 왜 안돼는거? 밀가루 우유값은?
25.09.03 15:13

(IP보기클릭)180.81.***.***

BEST
루리웹-7899161067
그럼 애초에 많이 못파니까 돈이 안됨 | 25.09.03 15:14 | | |

(IP보기클릭)211.235.***.***

루리웹-7899161067
규모의 경제라는게 왜 있게 | 25.09.03 15:15 | | |

(IP보기클릭)125.241.***.***

메데탸☔🐬🌲⚒🐚🌽
이게 정답 | 25.09.03 15:16 | | |

(IP보기클릭)116.35.***.***

루리웹-7899161067
사장 혼자 만들수있는 생산량에 한계가 있는데(보통 30-40만원) 그게 매번 다 팔리면 임대료 비싸지않은 곳 기준으로 월에 순수익으로 300정도는 벌어갈거임. 근데 워낙 높은 노동강도 긴 노동시간의 업종이라 매일 혼자 그렇게 장기적으로 하는 것도 힘들고, 장사가 잘 되어봤자 매출 및 순이익이 최대치(한계)가 있지만, 장사가 조금이라도 안되면 유지가 힘들어짐 | 25.09.03 15:16 | | |

삭제된 댓글입니다.

(IP보기클릭)125.241.***.***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루리웹-7542548298
윗놈들이 하도 인건비올라힘들다뭐다가 주요 레파토리 하나일만큼 툭하면 인건비가지고 물고 늘어지니까 그놈의 인건비타령 지겹다 이거임 그냥.. | 25.09.03 15:20 | | |

(IP보기클릭)118.235.***.***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루리웹-7542548298
틀린말은 아닌데 문제는 그 인건비 상승보다 물가 오른게 비율상 더 큼. 인건비만 문제가 아님. | 25.09.03 15:23 | | |

(IP보기클릭)49.142.***.***

은색늑돌이
본문은 인건비를 말하는거니까... 사회문제에서 하나만 문제있는 경우는 애초에 없지 | 25.09.03 17:27 | | |

(IP보기클릭)211.207.***.***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루리웹-7542548298
인지는 하지 근데 물가에 인건비 뿐 아니라 여러 다른 비(판매관리비 등) 들이 다 들어가있는데 인건비만 외쳐되서 그러는거지 | 25.09.03 15:26 | | |

(IP보기클릭)59.18.***.***

월300? 지금이라고 다를거 같음? 70 80주고 아침 딸깎 써먹음
25.09.03 15:13

(IP보기클릭)223.39.***.***

BEST
루리웹-0101535562
일하는 시간이 다르잖아 무슨 말이 안되는 소리를 하고 있어 | 25.09.03 15:15 | | |

(IP보기클릭)112.168.***.***

2010년대까지도 저런 게 있었는데... 요즘은 다행히 없나보네
25.09.03 15:13

(IP보기클릭)221.145.***.***

인건비도 있지만 버터를 안 썼음. 저땐 마가린이 기본이었어
25.09.03 15:14

(IP보기클릭)175.209.***.***

백반집이랑 동네 중국집도 오래 일하셔서 그일만 하시는 분들 없어지면 자연히 같이 소멸하거나 축소 할거라고 하더라 일 힘든거에 비해서 임금이 너무 적다고 함
25.09.03 15:15

(IP보기클릭)118.34.***.***

근데 빵값이야기 하다보면 궁금한게 유통이나, 밀 전량 수입이라던가, 인권비, 임대료 다 이해 하겠는데 전반적인 빵 맛이 다른 나라에 비해 떨어진다고 느껴지는건 왜 그런 걸까?
25.09.03 15:15

(IP보기클릭)14.36.***.***

mongmung🔥
맛은 원재료의 품질 x 만드는 사람의 기술 임. 맛이 떨어진다고 느낀다면 저 둘 중에 뭔가가 부족한거겠지 | 25.09.03 15:16 | | |

(IP보기클릭)116.35.***.***

mongmung🔥
정작 일본사람들은 한국와서 한국빵이 더 맛있다고 하더라고 걍 나라마다 다르다기보다 가게마다 다른듯 나도 일본에서 먹은 빵들 생각해보면 완전 아니다 싶은 곳도 많았고, 완전 개존맛이다 이런 곳도 많앗지 | 25.09.03 15:18 | | |
파워링크 광고

(IP보기클릭)118.34.***.***

[삭제된 댓글입니다.]
그냥 케바케였던 거였군 | 25.09.03 15:19 | | |

(IP보기클릭)221.145.***.***

mongmung🔥
어학연수 하면서 느낀 건데, 오래 살며 익숙해져서 그 중에도 맛있고 맛없고를 따져서도 큰 이유라고 봄 여행가서 먹는 건 공장빵이나 길거리음식도 신기하니까. 하지만 몇 달 살다 보면 거기서도 어디가 괜찮고 어디가 별로니 따지기 시작함 | 25.09.03 15:20 | | |

(IP보기클릭)116.46.***.***

루리웹-6492200321
기술보단 원재료의 품질 차이가 큰 경우도 많음 | 25.09.03 15:49 | | |

(IP보기클릭)115.23.***.***

mongmung🔥
사람 입맛이야 다 천지 차이임. 근데 거기서 재료/생산자의 기술에 따라 다 다름. 우리도 한국쌀 말고 갑자기 안남미 같은거로 밥해봐. 못먹을껄? | 25.09.03 17:08 | | |

(IP보기클릭)58.237.***.***

빵에 보통 들어가는 우유도 계란도 버터도 다 올라서 가격이 비싼게 당연한 수준임
25.09.03 15:15

(IP보기클릭)220.88.***.***

어떤 동네빵집이 직원 2~30명 굴리나? 뭔넘의 비교를 해도 공감이 가는걸 가져와야지.. 동네 편의점서 직원 2~30명 굴리면서 월매출 몇십억 나와야 적자 면한다는 거나 뭐가 다름?
25.09.03 15:15

(IP보기클릭)211.200.***.***

벌에쏘인그대
'동네 빵집'에만 꽂힌거 같은데 동네마다 있는 '중대형' 빵집이란 부분은 놓친듯 사장이랑 몇몇만 써서 소규모로 하는 빵집이 아니라, 해당 지역 빵 공급을 거의 혼자 담당하던 반쯤은 빵공장급인 업체 이야기다 | 25.09.03 15:21 | | |

(IP보기클릭)119.206.***.***

아무래도 인건비 비싼건 감당할수밖에없음 근데 임대료 비싼건 참을수없음 땅값이 뭐가 그렇게 비싼거야 시발
25.09.03 15:15

(IP보기클릭)220.93.***.***

EVAS 
지금 임대료가 인건비보다 싸 온라인 시대,자영업자 감소, 너무 많은 신도시상가,코로나로 갓물주 이야기는 옛날 이야기가 됐어 지금은 임차인이 갑인시대다 진짜 임대료 비싼 지역은 서울 일부 지역이야 | 25.09.03 15:21 | | |

(IP보기클릭)115.23.***.***

이끼늪수액괴물
갓물주가 옛날 이야기가 된거는 빛 내서 끝물에 물려서 들어간 사람들 이야기 인거고 옛날 하고 비교 하자면 사람들 퀄리티는 계속 올라가서 예전처럼 주먹구구식으로 하면 사람들이 지갑을 안열어서 프차도 말아먹는 세상이라 그게 잘 안보여서 그런거임 | 25.09.03 17:10 | | |

(IP보기클릭)183.99.***.***

빵은 공장에서 대량으로 찍어내지 않는 이상 인건비 문제가 큼. 빵 만들어본 사람들이라면 다들 알 것임 반죽 - 휴지 - 성형 - 휴지 - 굽기 시간 빨리감...
25.09.03 15:15

(IP보기클릭)14.36.***.***

또 인건비탓 들어가죠?ㅋ
25.09.03 15:16

(IP보기클릭)118.235.***.***

BEST
루리웹-5912743085
저게 어떻게 인건비 탓하는거임 | 25.09.03 15:18 | | |

(IP보기클릭)223.38.***.***

루리웹-5912743085
무지성 까기 하지 말고 글좀 이해사셈 ㅉ. . | 25.09.03 16:17 | | |

(IP보기클릭)223.63.***.***

그럼 성심당은 얼마나 후려치는 거야 사람도 엄청 쓰는데
25.09.03 15:18

(IP보기클릭)118.235.***.***

루리웹-7027937500
거기는 매출 엄청나고 이미 재료 수급도 시스템화 끝남. | 25.09.03 15:18 | | |

(IP보기클릭)211.200.***.***

루리웹-7027937500
거긴 규모의 경제가 돌아감. 23년 기준으로 하루 매출이 3억이라고 하더라. 거기에 주력 상품인 튀김소보루나 부추판타롱 같은 건 자동화기기로 돌림 | 25.09.03 15:19 | | |

(IP보기클릭)223.63.***.***

루리웹-7381532742
본문은 인건비 문제인데 그럼 인건비가 문제가 아니란 거잖아 | 25.09.03 15:20 | | |

(IP보기클릭)125.241.***.***

루리웹-7027937500
거기가 빵공장 소리 들을만큼 대량으로 찍어내고 그 물량을 판매할 수 있어서인게 큼 반대로 말하면 성심당급 덩치가 아니면 빵 그렇게 마진낮춰서 팔기 힘들다는 얘기가 되는거고 | 25.09.03 15:21 | | |

(IP보기클릭)118.235.***.***

루리웹-7027937500
인건비를 극복할려면 공장사이즈로 가야 규모의 경제가 됀단 소리 아님? 말고 | 25.09.03 15:22 | | |

(IP보기클릭)118.235.***.***

루리웹-7027937500
소규모 업장도 최저임금은 지켜야 함. 규모가 커질수록 인건비의 비중은 미미해짐. 소상공인일 수록 인건비가 큰거임. | 25.09.03 15:22 | | |

(IP보기클릭)183.99.***.***

루리웹-7027937500
일반 동네빵집은 성심당처럼 못해. 인건비로 뽕을 뽑으려면 공장처럼 근무시간 내내 한 작업만으로 돌려야 함. 애초에 이게 가능하더라도 생산량이 동네빵집에서 소비 가능한 물량이 아님. | 25.09.03 15:22 | | |

(IP보기클릭)211.200.***.***

루리웹-7027937500
인력을 많이 고용하고 임금을 줄 수 있다는 것은 그 임금을 받는 인력을 이용해서 더 많이 뽑아낼 수 있다는 이야기다. 제빵업계에서 성심당은 아오지 소리도 나오는 지옥같은 근무강도로 유명함 | 25.09.03 15:22 | | |

(IP보기클릭)220.93.***.***

루리웹-7027937500
그정도 할수 있으면 인건비 문제가 아닐수도 있지만 우리나라에 성심당 크기의 빵집이 몇개나 되는데? | 25.09.03 15:23 | | |

(IP보기클릭)118.235.***.***

루리웹-7027937500
거기는 성심당 직원 전담 은행부서가 있을 정도인데 후려치기보다는 박리다매 덕일 듯 | 25.09.03 15:23 | | |

(IP보기클릭)223.63.***.***

Getchu.c*m
그렇구만 동네 빵집도 이젠 안 보이더라 다 scp 공장 빵만 보이는 게 그 이유군 그렇다고 공장빵이나 대부분의 동네 빵집이 비싸게 사먹을 정도로 맛있는 것도 아니라서 사양산업이 될 거 같네 안타깝지만 자동차에 밀린 마부 같은 신세군 | 25.09.03 15:25 | | |

(IP보기클릭)211.200.***.***

루리웹-7027937500
월급 300을 받는 제빵사 하나를 유지하려면 월 800만원어치를 팔아야 한다고 보면 됨. 성심당 같은 대형 업체는 그걸 박리다매를 통해 800을 채운다면 소형업체는 어차피 팔수 있는 양이 한정되는 가격을 올리는 방향으로 결정하는 거임 업체의 크기에 따라 생존전략은 다를수밖에 없어 | 25.09.03 15:25 | | |

(IP보기클릭)115.23.***.***

루리웹-7027937500
거긴 외견상 그냥 빵집으로 보이는거지. 사실상 제빵공장에 가까운거. 게다가 그만큼 오랜 기간 시스템화 끝내놨고 그 수준에 맞게 제품 품질 하고 명성 또한 꾸준히 유지해서 그런거임. | 25.09.03 17:12 | | |

(IP보기클릭)118.235.***.***

아니 그냥 비싸게 사는게 맞는거임 ㅋㅋ 일부 대형 빵집만 박리다매 가능한 거지. 성심당 매출 봐... 졸라 높아
25.09.03 15:18

(IP보기클릭)39.7.***.***

직원 20-30명 쓰면서 1억원 비용상승 감당 못하게 벌면 사장 잘못 아님?
25.09.03 15:18
파워링크 광고

(IP보기클릭)118.235.***.***

아이마스
그래서 가격을 안올리겠다는 판단을 한 잘못을 한 사장들은 거의 망함 | 25.09.03 15:20 | | |

(IP보기클릭)118.235.***.***

아이마스
그렇지 경영 실패니까 문 닫는거임. | 25.09.03 15:21 | | |

(IP보기클릭)103.150.***.***

아이마스
대한민국 산업 대부분이 저런 구조임 | 25.09.03 15:22 | | |

(IP보기클릭)121.129.***.***

아이마스
그러니까 가격이 올라가는 거지. | 25.09.03 15:29 | | |

(IP보기클릭)211.109.***.***

인건비하고 대형빵집이 점유율 높은거
25.09.03 15:18

(IP보기클릭)114.204.***.***

절반정도만 맞말이라 생각함 그럼 4대보험과 직원복지를 개차반으로 해야하냐? 아니거든 애초에 지금 얼마 안지났어 spc에서 사람 돌아가신지 이미 어느정도 개차반으로 하고있는데 빵값이 싸냐고?
25.09.03 15:21

(IP보기클릭)103.150.***.***

짜짜로바
Spc 영업이익률 한 번 보고 오길 바람 | 25.09.03 15:24 | | |

(IP보기클릭)14.36.***.***

gizfix

| 25.09.03 15:28 | | |

(IP보기클릭)121.65.***.***

gizfix
통행세 알아보고 오자. 불공정하다고 잡아낸 거에 대한 과징금이 저거고, 영업이익 분산 시키는 건 일도 아님. | 25.09.03 15:32 | | |

(IP보기클릭)211.207.***.***

외국도 다 열정페이임?
25.09.03 15:21

(IP보기클릭)118.235.***.***

Rumbling Heart
외국은 빵소비량이 많고 ㅇ재료값이 싸고 공장빵 소비에 대해 거부감이 없도 여러모로 여건이 좋다보니 우리나라보다 인건비 챙겨주긴 유리할 듯 | 25.09.03 15:28 | | |

(IP보기클릭)125.241.***.***

Rumbling Heart
걔네는 빵이 주식이라 소비량이 한국보다 훨씬 많음 하다못해서 옆나라인 일본도 1년에 1인당 평균 빵 섭취량이 28kg정도라고 함. 한국이 1인당 7kg정도고 | 25.09.03 15:28 | | |

(IP보기클릭)221.145.***.***

Rumbling Heart
실제로 주식으로 빵 쓰는 유럽국가들쓰는 유럽국가들도 휴일도 없이 새벽부터 나와서 일하기 힘들어하는데다 정부 간섭도 많아서 북아프리카 이민자들 비중 높아지기 시작한 지 꽤 되었어 | 25.09.03 15:28 | | |

(IP보기클릭)125.241.***.***

HMS뱅가드
제과/제빵이 ㄹㅇ 사람 갈려나가는 노동이더라 | 25.09.03 15:29 | | |

(IP보기클릭)211.200.***.***

Rumbling Heart
빵 소비량이 많아서 그냥 빵을 많이 만들어도 일단은 팔림 -> 로스가 적으니까 박리다매가 통함 외국인 노동자 등을 이용해서 인건비를 최대한 깍아냄 -> 대량생산을 위해 자동화를 하니까 비숙련 노동자를 사용할 수 있음 원자재가 국내 생산됨 -> 원자재 수급에서 불안정성이 적어짐 공장빵 소비와 고급빵 소비가 완전히 분리되어있음 -> 끼니용은 공장에서 나오는 아무 맛도 없는 빵덩어리를 먹고, 비싼 고급빵은 특식같은 느낌으로 소비 | 25.09.03 15:30 | | |

(IP보기클릭)211.207.***.***

루리웹-7155299233
그렇게 따지면 매년 시장이 커지는 한국도 유지된다거나 그래야하지 않냐(물가오른거 감안해서) | 25.09.03 15:30 | | |

(IP보기클릭)58.29.***.***

Rumbling Heart
실제로 유럽도 제빵사 인건비 후려치면서 유지하다보니 점점 못버텨서 줄어들거나 걍 공장식으로 다 완성 직전인거 받아다 마무리만 해서 팔거나 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곤 하더라 심지어 그쪽은 주식이 빵이라 정부에서 가격압박도 많이 해서 올리기도 힘들고 | 25.09.03 15:30 | | |

(IP보기클릭)211.207.***.***

망간나트륨
더해서 한국은 공정위 보고서 보니 직접적으로 관련없는 판매관리비가 비중의 1/3 차지하더라 | 25.09.03 15:32 | | |

(IP보기클릭)211.200.***.***

Rumbling Heart
판매관리비가 높은건 한국 빵 시장의 현재를 나타내는 거긴 함. 빵이 일상이 아니라 특별한 것이 되어있는 상태라서 생기는 마케팅과 관리거든... 빵이 쌀같이 소비되면 쌀가게에 아무렇게나 쌓여있는 쌀포대처럼 소비되겠지만 그게 아니라서 멋진 선반에 예쁘게 진열되서 고급스러운 자태를 유지시켜줘야 하는 거임.... | 25.09.03 15:34 | | |

(IP보기클릭)211.207.***.***

망간나트륨
❍ 빵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2020년 9조 3,000억 원 수준이었던 국내 제빵시장(양산빵 +베이커리) 규모는 2022년 11조 5,000억 원 수준으로 2년 사이 약 24.3% 증가함. - 양산빵: 2020년 3조 2,511억 원 규모에서 2022년 3조 9,589억 원 수준으로 21.8%성장 - 베이커리 빵: 2020년 6조 200억 원 규모에서 2022년 7조 6,000억 원 수준으로 25.7%성장 자료: 통계청(각 연도). 『서비스업 조사』; 식품의약품안전처(각 연도). 『식품 및 식품첨가물 생산실적』. ❍ 2022년 기준 베이커리 전문점5)의 매출은 7조 5,705억 원, 양산빵 매출은 3조 9,589억원으로 전체 빵 매출액에서 양산빵이 차지하는 비중은 34.3% 수준임. ❍ 그러나 소비자의 식생활에서 차지하는 빵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커지고 있는 것을 알수 있음. 2012년 169.8g이던 한국인의 멥쌀 섭취량은 2022년 120.3g으로 29.2% 감소함. 반면 같은 기간 빵 섭취량은 18.2g에서 21.4g으로 17.6% 증가함. ❍ 일반 베이커리 전문점, 베이커리 전문점 프랜차이즈, 양산빵을 이용·구매하는 목적은 다소 상이하게 나타남. 일반 베이커리 전문점과 베이커리 전문점 프랜차이즈의 경우 디저트용 빵 구매 목적이 가장 큰 비중(각각 62.2%, 53.0%)을 차지하였으나, 양산빵의 경우 식사 대용 빵 구매 목적이 가장 큰 비중(52.6%)을 차지함. ❍ 빵을 선택하는 요인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맛(55.4%)’으로 조사되었으며, 다음으로 ‘가격’이 31.8%를 차지함. ❍ 그러나 일반 베이커리 전문점 및 베이커리 전문점 프랜차이즈와 양산빵 간 1순위 선택요인은 다소 상이하게 나타남. 일반 베이커리 전문점 빵에 대해서는 ‘맛’에 대한 가중치를 상대적으로 크게(65.5%) 두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산빵의 경우 선택 요인으로 가격(45.0%)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 | 25.09.03 15:40 | | |

(IP보기클릭)115.23.***.***

Rumbling Heart
해외를 비교 하려면 거긴 주식으로 빵을 먹냐 안먹냐 이 차이지. 그걸 한국식으로 바꾸려면 백반집을 생각 해 보면 된다. 백반집들 많이 사라지고 있자나. | 25.09.03 17:16 | | |

(IP보기클릭)211.207.***.***

Mr_kim2
우리나라도 해마다 제빵 시장 성장하고 양산빵도 빵 시장의 1/3임 (출처는 공정위 보고서고) | 25.09.03 15:28 | | |

(IP보기클릭)211.200.***.***

Rumbling Heart
열심히 늘어나고는 있는데 일본에 비해서도 인구도 적고 소비량도 적어서 아직 명백하게 시장이 '작다'고밖엔 말 못하는 상황이긴 함... 그런 상황에 빵이 '식사'가 아니라서 고급화 마케팅 위주로 돌아가게 되는거고 | 25.09.03 15:31 | | |

(IP보기클릭)211.207.***.***

망간나트륨
지금은 2030대 들부터 문화적으로 아침을 빵으로 식사화 하고 있어서 그건 아닌듯 ❍ 한국소비자원의 「제6차 한국의 소비자시장평가지표 소비자 조사」에 따르면 소비자의 빵 구매 목적은 디저트용(53.8%)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다음으로 식사 대용이 42.5%를 차지함 ❍ (식사대용빵) 젊은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로 식사를 밥 대신 빵으로 대체하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음. 어려운 조리과정 없이 편리하게 식사를 해결할 수 있으며 보관성이 좋은 베이글, 치아바타, 피타브레드 등의 인기가 커지고 있음 | 25.09.03 15:35 | | |

(IP보기클릭)211.235.***.***

Rumbling Heart
아직 50% 넘게 디저트용이라서 더 변화할 필요가 있음. 식사빵 비중이 60%은 넘겨야된다고 봐 그래도 페스츄리같은 빵이 싸지긴 쉽지 않을거임 싸지는건 식빵 같은 것들을 대량생산해서 제공되지 않을까 | 25.09.03 15:40 | | |

(IP보기클릭)211.207.***.***

망간나트륨
대충 보고서 보면 단순히 시장이 커지는거보다 유통구조를 손 보거나 판매관리비(판매관리비는 포괄적 영업비용 전체를 의미함. 판매관리비 안에는 할인행사, 가맹점 지원, 제빵기사 인건비 지원등이 포함되어 있음(프랜차이즈 베이커리 담당자 인터뷰, 2024.9.13.).를 손보는게 가시적으로 변화가 있지 않을까 함. 해당보고서에서는 천원빵집 얘기도 나왔는데 단순 시장규모 문제면 천원빵집 존재 자체가 말이 안되는거니까 | 25.09.03 15:54 | | |

(IP보기클릭)211.207.***.***

망간나트륨
보고서에선 천원 빵집과 대형 프랜차이즈 빵집 간 가격 차이가 발생하는 가장 큰 이유를 중간 유통비용 절감 차이라고 남기거든 | 25.09.03 15:55 | | |

(IP보기클릭)211.200.***.***

Rumbling Heart
그런 걸 하기 위해서 소규모 자영업 형태가 아니라 집단화, 대형화를 통해 규모를 키우는 협동조합 형태로 가서, 원자재의 수급을 일원화 한다던지 하는 구조가 고려될만 하네 결국 기업화가 답인가 천원빵 가게는 개인적으로 현행 시장에서는 충격은 줬을지언정 현행 시장에서는 유지되기 힘든거 같은 느낌. 천원빵을 먹느니 제대로 된 빵을 두배값 주고 먹는 사람들이 아직 제법 많음. 주로 판매되는 빵도 단 편이고. 진짜 식사의 영역에서 쌀, 밥, 면처럼 소비되기 시작할때나 천원빵 시장이 진짜 가치를 낼듯 | 25.09.03 16:02 | | |

(IP보기클릭)211.200.***.***

Rumbling Heart
저렴한 빵의 제1 목표는 빵이 라면을 이기는 것이다 라면 못이기면 라면만큼 싸지기 힘듬 | 25.09.03 16:03 | | |

(IP보기클릭)211.207.***.***

망간나트륨
천원빵집 빵들이 단편이라는게 큰 단점이긴 하지 양산빵에서 인기있는 제품이 식빵, 베이글, 등등이라는걸 고려하면 알아서 단백한쪽으로 가겠지 보고서에 따르면 업계관계자 왈, "천원 빵이라는 브랜드를 통해 준종합 베이커리로 발전시킬 계획이 있다고 밝히며, 천원 빵이라는 상품을 통해 많은 소비자를 매장으로 끌어들이고, 케이크, 커피, 쿠키, 생일 축하 용품 등 다른 여러 상품을 비치하여 추가적인 구매를 유도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다고도 밝힘". 이라니까 알아서 사업늘리겠지 | 25.09.03 16:08 | | |

(IP보기클릭)125.143.***.***

노동강도 생각하면 지금도 제과제빵은 사람 갈아서 돌아가는 업계지.
25.09.03 15:22

(IP보기클릭)211.212.***.***

ㄷㄷㄷㄷㄷㄷㄷㄷ
25.09.03 15:23

(IP보기클릭)222.121.***.***

몇년전만 해도 저런게 당연하다는 듯이 가르치던 교수 있었지 호텔조리과 다닐때 근데 요즘은 그때처럼 당하는 사람없으니까 대우 고쳐졌다더라
25.09.03 15:28

(IP보기클릭)106.102.***.***

참고로 현재도 유지되는 방식 호텔? 후려치기 더 심함
25.09.03 15:32

(IP보기클릭)223.38.***.***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니리가리
...? 그럼 어디서 이익을 냄? 진짜 몰라서 물음 | 25.09.03 16:19 | | |

(IP보기클릭)210.103.***.***

그럼 일본 소금빵 150엔은 제빵사 착취의 산 증거라는 얘기구나?
25.09.03 15:48

(IP보기클릭)118.235.***.***

제로코카콜라
그 동안 재료비랑 규모의 문제라고 수십번 얘기가 나왔던거 같은데. | 25.09.03 16:43 | | |

(IP보기클릭)220.88.***.***

갑자기 뭔넘의 빵관련 유통/제조업체들 실드치는 애들이 일케 갑자기 늘었는지 몰겠네. 내 본가 근처 시장골목에 조그마한 빵집이 있는데 거기서 파는 단팥빵같은 작은녀석들 가격이 보통 하나에 1000원~1500원임. 거긴 직접 빵 구워서 그날그날 팔고 치우는듯하고 종류가 아주 많지는 않지만 과자류도 구워내다가 포장해서 파는데 가격부담이 별로 없어서 자주 사먹곤 한다 그런데 내가 사는곳 근처는 전부 프렌차이즈 빵집들 뿐이라 비싸서 안사먹음. 본가근처 빵집에서 파는 가격이 성심당이랑 별 차이 없는듯한데 거기가 성심당급의 체급이라 비슷한 가격이 유지가 되는걸까? 아님 음청 싼 공장빵 가져다가 자기네가 만든것처럼 속여서 파는걸까? 난 실드치는 애들의 논리가 이해가 되지도 공감이 되지도 않는다
25.09.03 16:44


1
 댓글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글쓰기
공지
스킨
ID 구분 제목 글쓴이 추천 조회 날짜
63429467 공지 유머 게시판 통합 공지 _루리 48 503183 2023.10.19
30618131 질문 피시를 팔려고 하는데 얼마에 올려야 잘팔릴까요? (4) 신컨은기본 1 360 13:11
9429243 보더랜드 보더4 플5프로에서 프레임 얼마나 나오는지 아는분 (1) 루리웹-9007994029 128 13:39
346479 할로우 나이트 스위치2 120프렘 질문좀 (6) Psn Janganji 475 13:21
72177552 잡담 Masker_Ether 1 15:19
72177551 잡담 몽골리안갱뱅크림파이 2 15:19
72177550 유머 루리웹-1415926535 10 15:18
72177549 Meisterschale 16 15:18
72177548 유머 제석천 인드라 11 15:18
72177547 깔깔유머전문가 23 15:18
72177546 유머 마늘소금 36 15:18
72177545 유머 루리AI 1 32 15:18
72177544 잡담 루리웹-8514721844 6 15:18
72177543 유머 코로로코 48 15:18
72177542 잡담 루니카™ 6 15:18
72177541 잡담 루리웹-27482051945 5 23 15:18
72177540 잡담 속이시꺼먼실눈할매곤 28 15:18
72177539 유머 보추의칼날 2 67 15:18
72177538 잡담 삐삐비익삐락호 31 15:18
72177537 유머 루리웹-9116069340 2 45 15:17
72177536 잡담 샤아WAAAGH나블 3 85 15:17
72177535 게임 페도라 28 15:17
72177534 인방 Blue_Mouse 2 29 15:17
72177533 Meisterschale 26 15:17
72177532 애니/만화 얼큰순두부찌개 1 74 15:17
72177531 애니/만화 Fei_Allelujah 74 15:17
72177530 유머 닉네임변경99 149 15:17
72177529 인방 ㈜ 기륜㉿ 5 157 15:16
72177528 잡담 [德川이에야스] 1 90 15:16
72177527 잡담 깨닫지도어리석지도못해떠도는구천 107 15:16
72177526 잡담 lloll 91 15:16
72177525 유머 12345678901 7 89 15:16
글쓰기 30524951개의 글이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