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도와주는 업무를 하면서 여러 공무원들을 만나게 되는데
이들과 일하면서 보고, 듣고, 법령을 찾아보면서
우리가 가지는 공무원에 대한 이미지 개선이 좀 필요하다 싶어서 감히 글을 남깁니다.
1. 공무원 월급 최저임금보다 적다.
지방직 일반행정직이라면 어느 정도 맞말임.
공무원은 국가공무원 복무규정과 지방공무원 보수규정에 적혀있는 만큼의 기본급을 받고(국가법률정보센터에 모두 공개되어 있음)
여기에 식비, 민원수당, 초과근무수당이 붙은 뒤 공무원연금, 공무원보험 등이 차감되는 식으로 최종 월급이 정해지는데
지방직의 경우 공무원적금이라 볼 수 있는 공제회비로 약 10만원 정도가 더 나가서 이게 추가되면 최종월급이 최저임금보다 낮아지는 현상이 빈번함.
국가직의 경우 공제회가 없기 때문에 같은 일반행정이라도 월급을 더 받거나 그냥 보통 최저시급 받는 정도를 받음
근데 내가 외국인 출입국을 도와주면서 보니 공항같이 밤~새벽까지도 근무하는 공무원들을 보면(인천공항은 24시간 근무)
이들은 당연히 일반 9to6보다 훨씬 더 많이 일하고 이에 대한 초과수당이 무조건 들어오게 되어있음.
그렇게 하니 인천공항에 근무하는 출입국관리, 세관, 검역 공무원들은 9급인데도 300만 넘게 받는다고...
그리고 외근을 자주 하는 직렬이라면 밖에 나가서 근무하는 시간이 4시간을 초과하면 점심저녁값이 추가로 나온다고 함
여기에 근무지외출장을 달게 되면 이에 대한 위험수당도 월급과 따로 나오게 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받는 금액은 우리가 모르게 더 늘어남
결론은 일반행정직은 어느 정도 사실이나 교대근무직, 외근직 등은 우리 생각보다 더 받는다.
2. 공무원들 야근 많다
어느 정도 사실임
민원받는 공무원들이 현장 민원만 받는 게 아니고 인터넷 접수나 팩스 민원도 받거든
이것도 처리하려면 초과근무를 하는 일도 예삿닐이고 심지어 주말에도 나와서 일한다더라
*복무 규정 상 하루 초과근무는 4시간 초과 불가능
다만 국가직의 경우라면 자신이 초과근무를 했다는 것을 정당하게 증명할 수 있다면(예: 퇴근지문, 업무망로그오프시간 등) 이러한 초과근무한 수당은 반드시 받게 되어 있음.
지방직은 좀 문제인데 지자체 제정이 어떤가에 따라서 초과근무상한이 한참 넘어가도 제정이 부족하면 더 이상 초과근무인정을 못하는 경우도 생기는데
이러면 확실히 초과근무하고도 돈을 못받는 봉사가 되어버리니 기피하게 됨.
그럼 최선은? 초과근무하면 반드시 수당 받는 국가직공무원이 되자!
요즙 국민들이 워낙 이런저런 태클을 걸어대고 감사도 자주 내려와서 옛날같이 허위초과근무수당 벌려고 했다간 최소 감봉이라 하더라.
3. 공무원 사회는 보수적이라 변하지 않는다
공무원/공기업 사람들은 확실히 제도가 변한다 하면 그거에 대한 새로운 일처리를 알아야 해서 귀찮아 하는 건 보이더라.
그런데 어느 깨어있는 5급 이상 간부나 6급 팀장이 어떠한 제도의 블편에 대해 이의틀 제기하고 적극적으로 바꾸려 하면 실제로 바뀌게 됨.
그리고 정부가 새로운 제도를 시범운영 한다면 그 제도 실행의 첫순위는 공무원/공기업직원임.
그래서 국가직 공무원들 중 몇 부서는 유연근무라고 출근을 새벽6시에 해서 일 끝나고 오후 3시에 퇴근하기도 함.
추가로 남성도 출산휴가를 쓸 수 있도록 규정이 바뀌었고 복무규정을 보니까 여성은 '유급'출산휴가 6개월을 쓸 수 있다고 함.
남성은 군대/공익 경력도 인정해줘서 처음 9급으로 들어오면 여자들보다 1호봉 더 앞선다더라.
새로운 제도에 민감한 이유는 이러한 새로운 제도로 인해 숙지하거나 바뀐걸 알아야 하는 법령이 많아서 귀찮아하는거지
새로운 제도를 실험해보고 반응이 좋으면 제도와 지침이 빠르게 바뀌는 직업은 오히려 공무원/공기업이 많음.
아쉬운 건 지방직이나 지방별 공기업은 다른 곳에서 시행되는 제도를 예산부족이나 제도공유를 위한 연락 미흡으로 서로 바뀌는 시기가 제각각이더라.
내가 볼 땐 일에 대한 전문성과 업무 강도에 비하면 돈을 좀 덜 받는 것 같긴 해도
그래도 안정적이고 복지 좋고 근무에 따라서 월급도 아주 심각하게 낮은 편은 아니라서
법령을 잘 준수하고 자기가 일하는 분야에 전문성을 잘 갖춘다면 꽤 공무원이 잘 맞는 사람도 많을 것 같음.
(IP보기클릭)39.125.***.***
미안 짤때문에 집중이... 다시 읽을께
(IP보기클릭)110.9.***.***
친구중에 지방에서 공무원하는애 있는데 장단점이 있음 근데 돈만 봤을땐 완전 별로임 그리고 지방이라 더 그런거일수 있는데 진짜 위에놈들 개씹꼰대가 많다고 함
(IP보기클릭)14.37.***.***
연금 보고 하는 직업인데 연금 개악 후 새로 들어간 젊은 공무원들은 ㅈ되어버림...
(IP보기클릭)118.235.***.***
근데 1번 돈 300받는 다는건 결국 초과근무를 했으니 받는거지.기본급이 300인건 아니잖어.그거가지고 공무원 월급 적게 받는건 아니다 이렇게 말하는건 아닌듯.공장이나 다른 기업도 초과근무 제대로 쳐주면 그렇게 받잖아.
(IP보기클릭)39.125.***.***
근데 말한 부분을 감안해도 필요한 부분에서는 대우를 더 끌어 올려야 될거같긴 해... 구직자들은 다른 직군과도 비교를 할 수밖에 없으니
(IP보기클릭)118.235.***.***
월급보고 놀란신규, 또 없어진 나의 후임
(IP보기클릭)49.170.***.***
원래 공무원은 연금보고 버텼는데 연금이 박살나면서 기피하기 시작하는거임
(IP보기클릭)39.125.***.***
미안 짤때문에 집중이... 다시 읽을께
(IP보기클릭)39.125.***.***
Chikachika Rio
근데 말한 부분을 감안해도 필요한 부분에서는 대우를 더 끌어 올려야 될거같긴 해... 구직자들은 다른 직군과도 비교를 할 수밖에 없으니 | 25.07.06 00:03 | | |
(IP보기클릭)110.9.***.***
친구중에 지방에서 공무원하는애 있는데 장단점이 있음 근데 돈만 봤을땐 완전 별로임 그리고 지방이라 더 그런거일수 있는데 진짜 위에놈들 개씹꼰대가 많다고 함
(IP보기클릭)14.37.***.***
연금 보고 하는 직업인데 연금 개악 후 새로 들어간 젊은 공무원들은 ㅈ되어버림...
(IP보기클릭)175.213.***.***
(IP보기클릭)220.120.***.***
(IP보기클릭)219.248.***.***
(IP보기클릭)49.170.***.***
한국 중소 소프트웨어 회사 지원하는 정책 아래한글 뿐만아니라 여러 소프트가 국산이라는거 하나로 납품됨 | 25.07.06 00:09 | | |
(IP보기클릭)1.242.***.***
공문서 서식들이 전부 한글파일이기도하고 워드로 갈아타기엔 워드가 수십배는 더 ㅂㅅ이라..... 막말로 한글 빼자고했을때 그걸 대체할게 없음 | 25.07.06 00:22 | | |
(IP보기클릭)211.36.***.***
(IP보기클릭)49.170.***.***
원래 공무원은 연금보고 버텼는데 연금이 박살나면서 기피하기 시작하는거임
(IP보기클릭)58.122.***.***
(IP보기클릭)175.205.***.***
(IP보기클릭)121.177.***.***
(IP보기클릭)222.118.***.***
(IP보기클릭)14.50.***.***
(IP보기클릭)180.68.***.***
(IP보기클릭)121.147.***.***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106.101.***.***
(IP보기클릭)118.235.***.***
근데 1번 돈 300받는 다는건 결국 초과근무를 했으니 받는거지.기본급이 300인건 아니잖어.그거가지고 공무원 월급 적게 받는건 아니다 이렇게 말하는건 아닌듯.공장이나 다른 기업도 초과근무 제대로 쳐주면 그렇게 받잖아.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119.207.***.***
(IP보기클릭)118.235.***.***
월급보고 놀란신규, 또 없어진 나의 후임
(IP보기클릭)182.218.***.***
(IP보기클릭)106.101.***.***
(IP보기클릭)125.129.***.***
(IP보기클릭)211.234.***.***
(IP보기클릭)118.235.***.***
충주시처럼 6급도 무보직으로 은퇴하는 사람도 많고, 3급은 시 전체에서 1명인 부시장, 4,5급도 극소수 티오(시당 10명 미만)에 대한 경쟁이라고 들엇어요 | 25.07.06 00:33 | | |
(IP보기클릭)211.234.***.***
6급 무보직은 잘 모르겠음. 예전 회사가 관급공사 잘 따내서 각구청들 현장에 지원도 나가곤 했었는데 8급, 7급이 주임(8급은 현장 나오는거 못보고 보통 7급 주인들이 한번씩 6급 팀장이랑 감독 나옴) 6급이 부서팀장(설계팀장이랑 한번씩 현장가면 봄) 5급이 과장(정말 가끔씩 본듯) 4급이 국장(구경도 못해봄) 이랬던거로 기억함 5급 사무관은 각 구청 과마다 있고 4급 국장도 각 구청 국만큼 있을거고... 3급이나 2급은 잘 모르겠음 1급은 부시장정도 되려나?! 중앙직은 하나씩 줄이면 될거 같음 당시 서울시팀장이 현장에 한번 나왔었는데 5급 행시패스한 사람이었음. 그래서 우리쪽 주임한테 물어봤는데 중앙직은 5급이 팀장달고 있다고 하더라고 | 25.07.06 01:01 | | |
(IP보기클릭)124.53.***.***
(IP보기클릭)221.140.***.***
(IP보기클릭)118.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