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게임] 지금은 게임 산업의 위기인가? [27]




profile_image (5826750)
작성일 프로필 열기/닫기
추천 | 조회 9464 | 댓글수 27
출처 : 인터넷

글쓰기
|

댓글 | 27
1
 댓글


(IP보기클릭)211.119.***.***

BEST
기존에 트리플A급 게임 위주로 플레이하던 사람들한텐 정말 망하고 있는 것 처럼 보일지도 모르겠는데 요즘 인디게임이나 AA급 게임들이 급부상하는거 보면 그냥 현 상황에 맞춰 게임 산업도 변하고있는걸로도 보임
24.03.06 05:27

(IP보기클릭)218.154.***.***

BEST
aaa 타이틀 게임들이 예전치 못한거도 한몫하는거같음 특정 게임들 예전엔 이름만보고 사전예약할 정도였지만 지금은 방심할수없음
24.03.06 05:47

(IP보기클릭)38.26.***.***

BEST

관심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는 낮시간에 올리는 걸로 하겠습니다 ㅎㅎ
24.03.06 05:50

(IP보기클릭)39.121.***.***

BEST
괜찮은 분석인데 새벽이라 보는 사람이 적은게 아쉽다
24.03.06 05:46

(IP보기클릭)38.26.***.***

BEST
게임 산업은 수십년동안 위기는 아니었습니다. 아타리쇼크 이후로 게임 산업은 계속 꾸준히 성장해왔지만 https://www.visualcapitalist.com/50-years-gaming-history-revenue-stream/ 판데믹 이후 대량 해고 사태를 맞고 지금 많은 게임관련 사이트들이 비디오 게임 산업 망하는거 아니냐 뭐 제 2의 아타리 쇼크가 올지도 모른다 이런 기사들을 내고 있죠. 루리웹에도 한동안 그런 기사들이 올라왔던 거 같은데요, 그래서 개인적으로 생각을 정리해본 글입니다. 그리고 사실 많은 분들이 간과하는게 아타리쇼크는 북미의 사건이고 일본은 영향이 조금 있었고 유럽쪽은 큰 영향이 없었습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Video_game_crash_of_1983
24.03.06 05:33

(IP보기클릭)221.155.***.***

BEST
그래도 소비자 입장에선 기다리다보면 재밌는게임 나오고 발전된게임 나오는 것 같음
24.03.06 05:48

(IP보기클릭)38.26.***.***

BEST
저도 그렇길 바랍니다! 사실 재미있는 게임들은 지금도 계속 나오고 있고 게임 산업이 망할 거 같지는 않지만 당장 게임 산업이 위기라는 글들이 여기저기서 보이길래 생각을 정리해봤습니다
24.03.06 06:37

(IP보기클릭)121.67.***.***

즉 수익기반되는 사업을 창출 중(모바일 등)이고 불필요한 인력 줄이고 그 규모를 재 조정 할 시기이다 등 흐름으로 이 산업이 전반적 재 정립 중이다 라는 거군요? 근데 전체적 테크 산업이 하고 있는 일이네?!
24.03.06 05:19

(IP보기클릭)38.26.***.***

쟈비네 샤르
네 본문에서도 상술했듯이 현재 테크 산업 전반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더 생각해보자면 AI로 인한 테크 직업 감소도 있을 수 있구요 | 24.03.06 05:24 | | |

(IP보기클릭)122.40.***.***

수십년간 위기였고 맨날 해고하는 곳임
24.03.06 05:22

(IP보기클릭)38.26.***.***

BEST 칸유대위
게임 산업은 수십년동안 위기는 아니었습니다. 아타리쇼크 이후로 게임 산업은 계속 꾸준히 성장해왔지만 https://www.visualcapitalist.com/50-years-gaming-history-revenue-stream/ 판데믹 이후 대량 해고 사태를 맞고 지금 많은 게임관련 사이트들이 비디오 게임 산업 망하는거 아니냐 뭐 제 2의 아타리 쇼크가 올지도 모른다 이런 기사들을 내고 있죠. 루리웹에도 한동안 그런 기사들이 올라왔던 거 같은데요, 그래서 개인적으로 생각을 정리해본 글입니다. 그리고 사실 많은 분들이 간과하는게 아타리쇼크는 북미의 사건이고 일본은 영향이 조금 있었고 유럽쪽은 큰 영향이 없었습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Video_game_crash_of_1983 | 24.03.06 05:33 | | |

(IP보기클릭)211.119.***.***

BEST
기존에 트리플A급 게임 위주로 플레이하던 사람들한텐 정말 망하고 있는 것 처럼 보일지도 모르겠는데 요즘 인디게임이나 AA급 게임들이 급부상하는거 보면 그냥 현 상황에 맞춰 게임 산업도 변하고있는걸로도 보임
24.03.06 05:27

(IP보기클릭)38.26.***.***

InLabyrinthos
네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특히 주목하고 싶은 점은 게임의 플랫폼화...라는 건데요, 예를 들어 본문에 예를 든 라이브서비스 게임들은 유저들이 스스로 창조한 모드들을 컨텐츠로 삼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https://venturebeat.com/games/how-user-generated-content-is-changing-the-game-industry-for-good/ 이거 예전에 한국에서 비디오 플랫폼들이 뜨기 시작할때 UCC (User Created Content)라는 말이 유행했던거하고 동일한 느낌인데요, 영어로는 UGC(User Generated Content)라고 하는거 같네요. 그게 이제 게임상에서 구현이 되는 시대가 온거고 그래서 그런 UGC들이 돌아가는 게임 자체가 플랫폼이 되는거고 그렇게 되면 콘솔은 더욱 위치가 애매해지지 않겠는가...라는 예상도 할 수 있습니다 | 24.03.06 05:46 | | |

(IP보기클릭)39.121.***.***

BEST
괜찮은 분석인데 새벽이라 보는 사람이 적은게 아쉽다
24.03.06 05:46

(IP보기클릭)38.26.***.***

BEST 브라이트7

관심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는 낮시간에 올리는 걸로 하겠습니다 ㅎㅎ | 24.03.06 05:50 | | |

(IP보기클릭)218.154.***.***

BEST
aaa 타이틀 게임들이 예전치 못한거도 한몫하는거같음 특정 게임들 예전엔 이름만보고 사전예약할 정도였지만 지금은 방심할수없음
24.03.06 05:47

(IP보기클릭)121.168.***.***

고라니4.0
오랜 당함으로 인해 소비자들이 똑똑해진 것도 한몫 하는 덧 이제는 시대가 적당히 노력한다 해서 관대하게 받아들이고 사는 시대는 지난지 오래 아니겠음 | 24.03.06 06:06 | | |

(IP보기클릭)38.26.***.***

고라니4.0
데이원 패치, 다운로드해야 되는 컨텐츠들, 요즘 게임하기 참 힘듦니다. 게임의 규모가 커지니 완성도를 잡기 위해서는 인건비가 더 들고 이것은 개발비의 상승으로 이어지고 그러니 수익을 내려면 게임은 더 팔아야 하는데 잘못해서 안 팔리면 게임 회사 존망이 걸리고 그러다보니 아이러니하게도 게임 회사들은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AAA게임들은 더욱 기존에 있는 IP들의 속편을 찍어내고... 헐리우드 영화 산업하고 같은 길을 가는 거죠. 이 부분에서 게임 회사들이 수익 다변화를 어떻게 꾀하는지도 중요하겠죠. 현재로서는 소액결재...인거 같아 그건 그거 나름대로 씁쓸합니다 | 24.03.06 06:35 | | |

(IP보기클릭)221.155.***.***

BEST
그래도 소비자 입장에선 기다리다보면 재밌는게임 나오고 발전된게임 나오는 것 같음
24.03.06 05:48

(IP보기클릭)38.26.***.***

BEST IMNL
저도 그렇길 바랍니다! 사실 재미있는 게임들은 지금도 계속 나오고 있고 게임 산업이 망할 거 같지는 않지만 당장 게임 산업이 위기라는 글들이 여기저기서 보이길래 생각을 정리해봤습니다 | 24.03.06 06:37 | | |

(IP보기클릭)121.168.***.***

현재 경제 전망이 좋지 않긴 함 그럼에도 재밌는 게임 만드는 사람들은 잘 만들 거긴 함
24.03.06 06:05

(IP보기클릭)38.26.***.***

모노가뚜리
그렇죠, 일단 게임 만드는 사람들도 먹고 살아야 하니까 이왕이면 기업들도 소비자들도 상생할 수 있는 방법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 24.03.06 06:40 | | |

(IP보기클릭)223.38.***.***

스파이더맨 시리즈 배경 건물들 내부 구현이 실제 렌더링이 아닌 일종의 랜덤 생성 처리인것처럼 게임 개발에 일종의 자동화 과정이 도입된다면 AAA급 게임의 그 임계점이 다시 높아지지 않을까 함
24.03.06 06:10

(IP보기클릭)223.38.***.***

KillZergX
지금은 들이는 품에 비해 대중이 느끼는 감동이 적은 느낌. 서풍의 광시곡애서 절벽 너머를 보여주었을 때 느끼던 그 광활함의 감동을 지금 같게 느기게 하려면 스파이더맨급의 품이 들 테니 | 24.03.06 06:12 | | |

(IP보기클릭)38.26.***.***

KillZergX
저는 예전 어쌔신크리드 1편에서 처음으로 동기화할때 저기를 다 갈 수 있다고? 사람도 저렇게 많은데? 하면서 충격을 먹었던 적이 있는데 이제는 그런거 쯤은 기본으로 해야 하는 시대가 되었죠... 그러다보니 AAA 게임들은 점점 개발이 힘들어지는 것/비싸지는 것은 사실입니다. 인디 게임들이 한 때 로그라이크/로그라이트들을 많이 배출한 것도 들이는 품에 비해 플레이 타임을 늘릴 수 있어서였구요. 3D소닉같은 경우는 배경이 휙휙 지나가는데 자세하게 그리면 시스템 리소스만 먹고 그렇다고 그래픽을 낮출 수도 없고 뭐 이런 고민이 있다고 하는 글을 옛날에 읽었는데 링크는 못 찾겠네요 | 24.03.06 06:49 | | |

(IP보기클릭)121.165.***.***

그래픽 기술력은 비용이 퀄리티가 1개점을 찍어버린 탓에 비용이 어마무시하게 들어가는 반면 게임 자체의 포맷은 한정된 조작와 한정된 룰로 재미를 풀어놓는 롤카드 측면에서 벗어날 수 없다 보니 점점 비용이 늘어나는 포맷을 거르고 인디화 되어가고 있다는 거군요. 이 또한 생태계에 맞춰 발맞춰 변화를 꾀하고 있는 모습이라 생각하니 꽤나 참신한 시점인 거 같습니다. 잘 봤습니다 그나저나 이러면 닌텐도는 대체 몇 수 앞을 보고 있었던 건지 ㄷㄷ
24.03.06 06:11

(IP보기클릭)121.165.***.***

청밥없찐
1개점ᆢ? 한계점임다ㄷㄷ 제대로 일해라 보이스 인식 | 24.03.06 06:12 | | |

(IP보기클릭)118.235.***.***

청밥없찐
하나! | 24.03.06 06:13 | | |

(IP보기클릭)38.26.***.***

청밥없찐
AAA게임의 인디화라기보다는 게임 산업 전반에서 여러가지 다양한 모습의 게임들이 나오고 있다, 라고 이해해주시면 될 거 같습니다. 그 과정에서 AAA게임들도 나오고 라이브서비스 게임들도 나오고 인디 게임들도 활성화되고 이런 모습인거죠. 그러다가 산업 전체로 조정이 크게 온거고 이 시점에서 게임 회사들은 저마다 대책을 강구하고 있지만 그것이 게임 산업 전체의 침몰로 가지는 않을 것이다, 라는 생각입니다. 닌텐도는 사실 게임큐브에서 위로 넘어가는 시기에 대단한 결정을 했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은 콘솔 회사 편 글을 쓸 때 좀 더 보충하겠습니다 | 24.03.06 06:56 | | |

(IP보기클릭)220.74.***.***

덩치큰 소위 AAA급 겜회사한테는 우는 소리안나올수가 없을거임... 그 덩치에 맞는 겜은 내놔야하고 나오면 좋은 게임에 만족이라는게없는 게이머를 만족시켜야하니ㅡㅡ 그래픽카드가격보니 콘솔이 훨씬 좋다! 이게 현 콘솔시장에 도움이 되는 말일까싶음...
24.03.06 06:21

(IP보기클릭)106.101.***.***

앞으로도 그냥 개쩐다 식의 그래픽레벨은 굳이 필요한가란 생각이 들게 만듬. 그렇게 돈을 들여서 만든 들 결과가 좋지 않은 경우가 많아짐. 빛 좋은 개살구 꼴 안 나려면 그래픽의 레벨은 플4 에사 플5 가는 과도기 레벨만 되어도 괜찮지 않을까. 나머지 역량을 기획적인 면에 넣는 거고
24.03.06 06:31

(IP보기클릭)112.153.***.***

2024년 1분기에도 좋은 게임들이 많이 나왔다고 생각해요 팰월드 / 용과같이8 / 헬다이버즈2 / 그랑블루 리링크 / 파이널판타지7 리버스 / 페르소나3 리로드 / 철권8 / 라스트 에포크
24.03.06 07:28

(IP보기클릭)110.70.***.***

좋은 글 잘 보고 갑니다
24.03.06 09:39

(IP보기클릭)118.235.***.***

관련 기사 링크 다 달아서 의견을 견고히하는거 엄청 멋지다...
24.03.06 10:51


1
 댓글





읽을거리
[MULTI] MMORPG를 보전하는 법, 드래곤 퀘스트 X 오프라인 (32)
[NS] 명작을 더욱 가치 있게, '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 (8)
[MULTI] 아! 혼을 쏙 빼 놓으셨다, MMO가 된 '레이븐2' (75)
[게임툰] 냥팔자가 상팔자, 리틀 키티 빅 시티 (49)
[MULTI] 부실한 이야기와 좋은 전투 그리고 높은 잠재력, '명조' (58)
[XSX|S] 세누아의 전설: 헬블레이드 2, 체험으로서의 게임이란 (88)
[게임툰] 황야에 피어난 메카의 로망, 샌드랜드 (24)
[게임툰] 레트로로 그린 잔혹동화, 리틀 구디 투 슈즈 (61)
[PC] 2년 기다림이 아깝지 않은 장독대 묵은지, 브이 라이징 (25)
[PS5] 국산 게임의 별로서 기억될 칼, 스텔라 블레이드 (181)
[MULTI] 탐험으로 가득한 사막과 맛있는 메카 전투, 샌드랜드 (40)
[MULTI] 아쉬움 남긴 과거에 보내는 마침표, 백영웅전 리뷰 (55)


파워링크 광고 24시간 안보기

글쓰기
공지
스킨
ID 구분 제목 글쓴이 추천 조회 날짜
118 전체공지 업데이트 내역 / 버튜버 방송 일정 8[RULIWEB] 2023.08.08
57774658 공지 유머 게시판 통합 공지 - 아동 대상 표현 강화 _루리 89 2531438 2022.06.30
질문 혹시 요즘도 윈도우11깔고 윈10 키 입력이 가능한가요? (5) 콘솔마니앙 817 12:34
드래곤퀘스 질문 환일의 거울 복제품은 어디서 구할수있어요? (4) GTone 99 14:30
엘든링 질문 2회차 무기 추천 좀 해주세요. (7) 도시의 자유인 185 13:42
66380346 게임 오야마 마히로 3 15:47
66380345 유머 야근왕하드워킹 16 15:47
66380344 게임 RedRed 2 15:47
66380343 잡담 시귄 3 15:47
66380342 잡담 피_클 3 15:47
66380341 유머 보추의칼날 38 15:47
66380340 유머 치르47 19 15:47
66380339 잡담 에르타이 1 13 15:47
66380338 잡담 Alteisen Riese 18 15:46
66380337 유머 FU☆FU 16 15:46
66380336 잡담 Mr. ANG 16 15:46
66380335 잡담 Ezdragon 2 18 15:46
66380334 잡담 린파나파나 1 57 15:46
66380333 잡담 RussianFootball 9 15:46
66380332 잡담 바닷바람 26 15:46
66380331 잡담 미키P 15 15:46
66380330 유머 스파르타쿠스. 3 106 15:46
66380329 잡담 미키★츠밧띠☄️⚒🌸💫👾 1 30 15:46
66380328 유머 별로위대한영국 2 84 15:46
66380327 잡담 xnest 2 33 15:46
66380326 잡담 네코카오스 26 15:46
66380325 인방 카넬라 2 43 15:46
66380324 게임 머쑥타드 34 15:46
66380323 잡담 시라카미 후부키 2 32 15:45
66380322 유머 심장이 Bounce 1 91 15:45
66380321 잡담 아이디닉네임비밀번호 1 70 15:45
66380320 유머 아재개그 못참는부장님 155 15:45
66380319 유머 smile 1 74 15:45
글쓰기 26353995개의 글이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