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개선은 진짜 물리적 배터리를 개선하는 것이 아니라, ⓐ 공정 미세화를 통한 전력 효율 개선 ⓑ 디스플레이 변경(OLED가 되겠죠)을 통한 전력 효율 개선 둘 중의 하나로 달성이 됩니다. 둘 다 돈이 들어가는 것이고, 이는 곧 가격 상승을 말합니다. 스위치2의 개선형이 정말 엄청난 개선을 이뤘다고 가정해보죠. 근데 가격이 100만 원이 넘어가면 그게 팔릴까요? 개선은 결국 상품성이 유지되는 한도 내에서 가능할텐데, 지금도 아슬아슬한 경계에 있는 스위치2의 가격이 과연 저 두 가지를 했을 때 어디까지 올라갈지는 미지수입니다.
스위치의 경우 ⓐ 공정 미세화 버전은 가격 차이가 없었고, ⓑ OLED 버전은 55,000원의 가격 인상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20㎚에서 16㎚로 공정을 개선하는 것과, 8㎚에서 5㎚로 공정을 개선하는 것은 상당한 차이가 있습니다. 여기서 일단 가격 인상 가능성이 있고요. 둘째로 현재 스위치2의 LCD 디스플레이는 VRR을 지원하는데, VRR을 지원하는 OLED 또한 상당한 가격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스위치2의 스펙과 가격은 전체적으로 용도와 타겟층을 고려하여 타이트하게 짜여졌다고 생각합니다. 배터리의 용량은 물리적인 무게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어린아이가 들고 플레이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전제로 무게를 설정했을 것입니다. 내장메모리의 용량도 마찬가지입니다. 올리려면 올렸겠죠. 근데 가격도 올라가거든요. 대부분의 스펙은 상품성을 유지하는 수준에서 빡빡하게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아마도 내장메모리는 '오로지 퍼스트파티 게임만 하는 사람이 DL로 게임을 샀을 때 부족하지 않은 수준'을 전제로 했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이에는 아마도 '전체 유저 중 오로지 퍼스트파티 게임만 하는 사람의 비율'에 대한 고려가 있었겠죠. 결국에는 가격의 문제고, 가격을 일정 수준 이하로 맞춰야 상품성이 있게 되니까요.
저는 1TB SD Express 카드를 구매했으니, 스위치2에 95만 원 정도를 쓴 셈입니다. 제 입장에서는 스위치2가 1TB 내장메모리를 달고 나오면서 정가 95만 원으로 나오는 게 나았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렇게 나왔다면 아마 스위치2의 전체 판매량은 훨씬 저조했겠죠. 최대한 많은 유저에게 상품성을 유지하는 수준으로 가격을 잡기 위해 온몸을 비튼 흔적을 느낍니다.
그래서 저는 배터리 개선판이 쉽게 나오지 못할 거라 예상합니다. 팔릴만한 가격 각이 잘 안 나올 것 같거든요.
(IP보기클릭)166.104.***.***
이미 ps5와 xsx에서 반박된 이야기라고 생각합니다. 생각만큼 생산단가는 내려가지 않으며 외부적인 요인으로 가격이 오를 일이 너무나 많습니다.
(IP보기클릭)118.235.***.***
이 세상에 ‘절대’란 없기에 아마 나올거라 봅니다
(IP보기클릭)60.90.***.***
스위치2 개선판이 빨리 나올 가능성이 있는 이유는 사실 8nm 공정과 5nm 공정은 의외로 가격면에서 그다지 차이가 없다고 합니다 원래는 TSMC의 5nm 공정을 채택하려 했으나 TSMC는 현재 애플 등 다른회사의 주문폭주로 인해 닌텐도에게 빠르게 물량을 공급을 해줄 상황이 아닌 이유도 있지만 무엇보다 8nm 공정이 5nm에 비해 반도체 공급률이 더 안정적이라 빨리 스위치2를 보급시켜야 하는 닌텐도의 입장에서는 일단 먼저 안정적인 삼성을 선택했다고 합니다 즉 이 말을 반대로 하면 애초부터 무리수를 둬서라도 5nm 선택할 수도 있었지만 (배터리 개선판이 되겠군요) 안정적인 공급이 더 중요했기에 8nm를 선택한 걸로 보입니다 그러나 현재는 삼성도 5nm 공정이 안정적인 보급이 가능해졌기에 닌텐도는 현재 검토중이라고 합니다 확정된건 아무 것도 없어요 그냥 카더라 뉴스 정도로만 봐주세요
(IP보기클릭)58.227.***.***
어디서 들으신 소문이신지, 제가 알기론 꽤 차이납니다
(IP보기클릭)60.90.***.***
저는 반대로 나올꺼라고 봅니다 원래 닌텐도는 대만의 TSMC와 손잡으려 했으나 단가 때문에 삼성을 선택한 걸로 알고있습니다 이것이 인연이 되어 현재 삼성이 차세대 스위치2 모델에 싼값에 제공해 줄테니 자사의 OLED를 사용하라고 닌텐도에 적극적으로 러브콜을 보내고 있고 어느정도 협상단계에 진입했다는 기사를 본적이 있습니다 닌텐도처럼 한두대 팔릴 것도 아니고 아무리 적게 팔려도 수천만대 보증이라면 이 거대한 이익앞에서 웬만한 회사는 모두 단가를 타협하게 되죠 무조건 2년내에 나온다고는 보증할 순 없지만 의외로 그렇게 오래 걸리지 않을 가능성도 많습니다
(IP보기클릭)49.172.***.***
(IP보기클릭)118.235.***.***
이 세상에 ‘절대’란 없기에 아마 나올거라 봅니다
(IP보기클릭)106.101.***.***
(IP보기클릭)166.104.***.***
박돌희
이미 ps5와 xsx에서 반박된 이야기라고 생각합니다. 생각만큼 생산단가는 내려가지 않으며 외부적인 요인으로 가격이 오를 일이 너무나 많습니다. | 25.06.25 16:13 | |
(IP보기클릭)106.101.***.***
ps5세대는 코로나 등 특수상황을 고려해야 하는 부분이고 일반적인 상식 선에서 생각했을때 대량생산을 통한 단가 하락은 얼마든지 가능하죠. 실제로 스위치1 배터리 개선판은 가격상승없이 동일한 가격으로 나왔기도 하고요. 물론 여러 변수들이 작용할수 있으니 시기는 더 늦어질수 있고 가격상승이 발생할 수도 있겠지만 공정개선판은 언젠간 반드시 출시될 거라고 봅니다. | 25.06.25 17:01 | |
(IP보기클릭)222.108.***.***
최근몇년 꽤 많은 분야에서의 전자제품이 여러 요인으로 오히려 발매후 생산단가가 더 높아진 경우가 많아요 | 25.06.26 04:44 | |
(IP보기클릭)106.101.***.***
lovebest
2년안은 어려워도 반드시 나오긴 할듯요 | 25.06.25 17:02 | |
(IP보기클릭)60.90.***.***
저는 반대로 나올꺼라고 봅니다 원래 닌텐도는 대만의 TSMC와 손잡으려 했으나 단가 때문에 삼성을 선택한 걸로 알고있습니다 이것이 인연이 되어 현재 삼성이 차세대 스위치2 모델에 싼값에 제공해 줄테니 자사의 OLED를 사용하라고 닌텐도에 적극적으로 러브콜을 보내고 있고 어느정도 협상단계에 진입했다는 기사를 본적이 있습니다 닌텐도처럼 한두대 팔릴 것도 아니고 아무리 적게 팔려도 수천만대 보증이라면 이 거대한 이익앞에서 웬만한 회사는 모두 단가를 타협하게 되죠 무조건 2년내에 나온다고는 보증할 순 없지만 의외로 그렇게 오래 걸리지 않을 가능성도 많습니다
(IP보기클릭)60.90.***.***
lovebest
https://japan.cnet.com/article/35233286/ 일본측의 블룸버그 인용기사를 보면 삼성이 닌텐도에 러브콜을 보낸 건 확실 한듯 보입니다 | 25.06.25 17:26 | |
(IP보기클릭)115.21.***.***
(IP보기클릭)60.90.***.***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lovebest
스위치2 개선판이 빨리 나올 가능성이 있는 이유는 사실 8nm 공정과 5nm 공정은 의외로 가격면에서 그다지 차이가 없다고 합니다 원래는 TSMC의 5nm 공정을 채택하려 했으나 TSMC는 현재 애플 등 다른회사의 주문폭주로 인해 닌텐도에게 빠르게 물량을 공급을 해줄 상황이 아닌 이유도 있지만 무엇보다 8nm 공정이 5nm에 비해 반도체 공급률이 더 안정적이라 빨리 스위치2를 보급시켜야 하는 닌텐도의 입장에서는 일단 먼저 안정적인 삼성을 선택했다고 합니다 즉 이 말을 반대로 하면 애초부터 무리수를 둬서라도 5nm 선택할 수도 있었지만 (배터리 개선판이 되겠군요) 안정적인 공급이 더 중요했기에 8nm를 선택한 걸로 보입니다 그러나 현재는 삼성도 5nm 공정이 안정적인 보급이 가능해졌기에 닌텐도는 현재 검토중이라고 합니다 확정된건 아무 것도 없어요 그냥 카더라 뉴스 정도로만 봐주세요 | 25.06.25 17:20 | |
(IP보기클릭)58.227.***.***
프린♡
어디서 들으신 소문이신지, 제가 알기론 꽤 차이납니다 | 25.06.26 17:09 | |
(IP보기클릭)211.201.***.***
(IP보기클릭)211.201.***.***
기본형을 단종하지 않는이상 라인업을 전세대만큼 늘려놓는건 닌텐도에겐 더 넓은층을 흡수하는 장점이 될것이지 단점이 될것이란 생각은 안드네요 | 25.06.25 17:26 | |
(IP보기클릭)125.143.***.***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222.121.***.***
(IP보기클릭)1.229.***.***
(IP보기클릭)112.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