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bs.ruliweb.com/nin/board/300050/read/30596231
↑예전에 정리한적 있듯이 일단 스위치와 스위치2의 이론적 1초당 최대 폴리곤(삼각형) 생성 개수는
- 스위치는 GPU 1Hz 클럭당 폴리곤 1개
> 독모드 768MHz는 7억 6800만/초
> 휴대모드 384MHz는 3억 8400만/초, 460MHz는 4억 6000만/초
스위치는 테그라 X1이라는게 엔비디아에서 정보 공개가 많이 됐으니 찾아볼 자료가 많지만 스위치2 T239는 현재로서는 스위치2만 쓰는거라 어느정도 추측이 필요하긴 합니다.
그래도 엔비디아 GPU 특성상 쿠다코어 개수, 클럭에 정비례하는 경향이 있네요.
그런 이유로 스위치2가 쿠다코어 1536개라는건 곧 SM이 12개 → (SM 2개가 묶인) TPC가 6개 → TPC 1개당 PolyMorph Engine이라는게 1개씩 있는데 PolyMorph Engine은 2Hz 2클럭당 삼각형 하나씩을 만들면
- 스위치2는 GPU 1Hz 클럭당 폴리곤 3개
> 독모드가 1007.3 MHz면 30억 2190만/초
> 휴대모드가 561MHz면 16억 8300만/초
https://bbs.ruliweb.com/nin/board/300050/read/30597608?
↑클럭 수치는 여기 루머대로
일단은 스위치의 약 4배로 요약되겠습니다.
다른 회사 게임기에 비유하면 엑원 16억/초, 엑원X 44억/초, 엑박 시리즈 X 73억/초라고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공개한게 있습니다.
(※XSX와 PS5는 둘 다 클럭당 4폴리곤이라서 의외로 2.23GHz * 4 = 약 89억인 PS5가 XSX보다 높음)
다만 이론상 30억 2190만/초라고 해서 정말로 화면에 폴리곤 30억개를 뿌려준다는 의미는 아니라서
①1초당 60프레임이라 치면 그만큼 1프레임당 30억을 최소한 60으로는 나눠준다는 의미
②게임 그래픽이 아무 것도 없이 폴리곤만 만드는게 아니라서 60fps의 1프레임(16.66ms 또는 0.0166초) 중에서도 폴리곤 생성에 쓸 시간은 한정될테니 단순히 30억/60보다 더욱 감소
https://www.ign.com/articles/2001/01/17/gamecube-101-graphics
옛날에 PS2 7700만 폴리곤/초, 게임큐브 9000만 폴리곤/초인데 실성능은 둘 다 1000만 내외라는게 ②같은 의미이긴 합니다.
↑위 내용을 요약하면 1프레임당 100만~1000만개 정도면 위처3급, 1000만개를 넘어가는게 사이버펑크 2077급이라는 느낌이네요.
그래서 스위치2가 게임에서 실성능 폴리곤 몇개/초라는건 상황따라 다르니까 정확히 규정지을 수는 없지만 일단 스위치2가 스위치 약 4배라는게 나름 차세대급 변화일 수는 있습니다.
https://developer.nvidia.com/blog/introduction-turing-mesh-shaders/
다른 고려할 점이라면 메시 셰이더라는게 스위치2에서도 지원은 할텐데
※엔비디아는 2018년 RTX 20 & GTX 16부터, AMD는 Rx 6000과 엑시엑부터
기존 방식과 비교해서 고정된 하드웨어 기능이라기보다 개발자가 좀 더 원하는대로 다루기, 컬링(눈에 안보이는 폴리곤 제거)과 LOD가 더 좋아진다든지 설명은 있지만 얼마나 좋아지는건지 비교하기는 힘들겠고
https://www.techpowerup.com/315149/psa-alan-wake-ii-runs-on-older-gpus-mesh-shaders-not-required
GTX 1080Ti(메시 셰이더 미지원)가 깡성능은 RTX 3060보다 높고 2070S에 견준다고 인식되지만 앨런 웨이크 2에서는 3050, 1660Ti보다도 못하다는게 직관적으로 비교하기는 쉽겠네요.
메시 셰이더를 제외한 이론상 성능은 1080Ti가 클럭당 삼각형 14개(1585MHz는 약 200억 이상), 1660Ti가 클럭당 6개(1770MHz는 약 100억)로 1080Ti의 우위지만 앨런 웨이크 2에서는 1660Ti 우세
여담이지만 옛날에는 하드웨어 리뷰 사이트에서 폴리곤 성능도 측정한적이 있었군요.
↑여기 기준으로는 GTX 1080이 이론상 폴리곤 약 170~180억/초지만 벤치마크에서는 113억/초 정도로 나온다든지 어느정도 차이는 있습니다.
다시금 스위치 2로 주제를 되돌리면 스위치 2가 깡성능으로는 스위치와 비교시 폴리곤 4배쯤 좋은 것 같더라도 GPU 구조가 좀 더 최신인만큼 더 좋아질 여지는 있다는 느낌이군요.
대신 메시 셰이더라는게 기존 스위치1 방식으로 게임 만든다고 스위치2 하드웨어가 알아서 해주는건 아니고, 게임을 저거에 맞게 만들 필요가 있으니 닌텐도 게임이 그 덕을 볼지는 모르는 일이네요.
https://bbs.ruliweb.com/news/board/1001/read/2306721?
닌텐도말고 다른 PS5, XSX, PC 게임이라고 다 적용되는건 아니고 파이널 판타지 7 리버스같은게 PS5에서 프리미티브 셰이더(AMD 기술) 썼다고 인터뷰 나오거나 PC판이 다이렉트 X12U 지원안되는 구형 그래픽 카드로 실행 불가능하다면 PC판이 메시 셰이더 쓸 가능성은 높은듯
※ 앨런 웨이크 2가 구형 그래픽카드도 억지로 실행은 시켜주는 특이한 사례
일단 올해중에는 마리오 카트 월드가 공식적으로 원래 스위치로 만들다 스위치2로 옮긴 게임, 메프 4나 포켓몬 레전드 ZA같은건 아예 스위치1&2 같이 나오는 게임이니 가까운 시일내로는 저거 적용된거 보기는 어렵겠고
포켓몬스터 10세대가 2026년에 나온다면 의외로 게임프리크가 새 기술 적극적으로 도입해서 차세대급 폴리곤 보여주지 않으려나요? 읭
게임프리크에게 기대한다는게 딱히 반어법적으로 말하는건 아니고
원래 스위치1에서도 그럴듯한거 보여준 게임 시리즈라면 이보다 발전되더라도 감흥이 덜하겠지만
이전에 안좋은 모습을 보여준 시리즈일수록 앞으로 좋아져서 이미지 개선될 기회가 더 많은 셈이군요.
아니면 정말로 게임프리크가 새 기술에 적극적인 회사일 수도 있고? 읭
올해 발매 예정작중에서는 동키콩 바난자가 사람에 따라 슈퍼 마리오 오디세이와 차이를 잘 모르겠다는 의견도 있고
땅에 식물, 자갈&돌멩이 많이 꽂아두는게 스위치1에서는 보통 30fps 게임(루이지 맨션3, 젤다 등)에서나 보는 모습이었다가 바난자가 60fps 게임이 저렇게 나온다고 고평가하는쪽도 있군요.
개인적으로는 동키콩 바난자가 어디는 좋았다가 어디는 안좋다는식으로 지역별 격차가 큰 느낌이긴 한데 맵 파괴라는 특징 때문에 다른 게임과 비교하기 애매한 특이 사례일지도 모르겠습니다.
(IP보기클릭)14.7.***.***
(IP보기클릭)112.158.***.***
이런게 요새 하드웨어 제조사에서 딱히 설명 안하고 넘어갈 정도로 중요도가 낮아진 부분이긴 하지만 그냥 궁금한 사람들이 재미로 찾아볼만은 한 것 같습니다. 아니면 GPU라는게 플롭스말고도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는 다른 요소들도 많으니까 꼭 플롭스 줄세우기로 스위치2가 PS4 Pro보다 나쁘다고만 말할 수는 없다는 의미도 있겠군요. https://www.techspot.com/articles-info/1006/bench/HairWorks-p.webp 예컨대 "2010년대에 라데온이 지포스보다 플롭스 높으면서 생각보다 게임 프레임 안나왔다"는 주제에 대해서 엔비디아에서 게임들이 헤어웍스 등 테셀레이션 많이 쓰도록 밀어준게 폴리곤 성능이 약한 라데온의 약점을 집요하게 공략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는 식으로 수긍가는 사례도 가끔은 있는듯 | 25.06.22 23:41 | |
(IP보기클릭)14.7.***.***
플롭스로도 성능을 전부 말할순 없죠 제가 언급하신 엔비댜의 사례같은 더러운 상술을 좋아하지 않는 편이기도 하고 수직적인 지표로 다각형 스펙트럼을 판단하는걸 좋게 보지 않는 편이라 댓글이 좀 삐딱하게 달린거 같기도 한데 혹여 기분 상하셨다면 사과드림 | 25.06.23 00:45 | |
(IP보기클릭)118.34.***.***
(IP보기클릭)223.38.***.***
지금까지 나온 스위치2 에디션, 또는 개선 패치된 하위호환 게임중에서는 의외로 포켓몬 스바가 DLSS 쓴 유일한 닌텐도 게임인 것 같습니다. 저는 진지하게 게임프리크가 새 기술을 꽤 쓸거라고 기대하네요. | 25.06.23 19:06 | |
(IP보기클릭)183.99.***.***
ㅇㅇ 저도 디파 분석인가 영상을 보면서 그게 꽤 의외긴하긴했는뎈 ㅋㅋㅋㅋㅋ 신작에선 과연 어느정도 보여줄수있을지 기대반 걱정반인ㅋㅋㅋ | 25.06.23 20:21 | |
(IP보기클릭)183.99.***.***
(IP보기클릭)223.38.***.***
사실 깡성능 폴리곤 수치라면 이번에 RTX 5090이 1000억개/초를 처음넘겼더라고요. 읭 | 25.06.23 19:11 | |
(IP보기클릭)49.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