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킬들에 대한 간략한 설명,
강화했을 경우의 스킬변화에 대한 글입니다.
시작하기에 앞서
독공은 1000에 맞춘 수치입니다. 또한 tp를 찍지 않은 수치입니다.
각자 자신들의 캐릭터 독공수치를 1000에 맞춰서 비교해 보시면 됩니다.
사족으로 저는 무큐기 위주 독공 딜러가 명왕하고 마신이 있는데 명왕은 상변, 고정형에 따라서 딜이 정말 크게 변해서 비교가 불가능했었습니다.
뭐....알아서 각자 관심있는 캐릭터로 해봅시다!
렙제순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스킬 2개가 빠졌습니다. 액시던트와 망상의 불꽃인데
둘 다 데미지가 의미가 없는 스킬이라...
패시브
1. 도그마 디바이스
기본 패시브입니다.
주요 옵션은 독공과 마크리가 오르는 옵션입니다.
증가폭은 1레벨 70에 렙당 11씩 증가합니다
마크리는 1레벨 4.3에 렙당 0.3씩 증가합니다
MP상승량은 렙당 0.5%, HP 감소량은 1레벨 1.2%에 렙당 0.2%씩 증가합니다.
이 패시브덕분에 디멘션워커는 기본독공이 높고, 대신 체력이 매우 낮습니다.
퍼섭이라서 업적을 안깼다곤 해도, 85렙인데 체력이 채 2만이 되질 않습니다.
2. 결벽증
빗자루 착용이 가능합니다.
빗자루를 착용하면 캐속이 30%, 적중률이 10% 늘어납니다.
설명 끝
3. 오버센스
게이지입니다.
1스택에 100이고 5스택까지 쌓을 수 있습니다
평타로는 5가 찹니다.
이 스택으로는 [사상경계의 저편] 이라는 차원계 스킬을 강화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4. 사상경계의 저편
오버센스로 얻은 차원석을 1개 소모하는 것으로 차원계열 스킬을 강화하는 스킬입니다.
차원석으로 강화한 차원스킬은 게이지를 채워주지 않습니다.
5. 괴리 : 디멘션 할로우
마스터 기준 데미지 증가량 10%입니다.
찍으면 디멘션워커 발밑에 꾸물꾸물한 검은 안개가 생깁니다.
이 안개가 있으면 모든 적에 대한 차원계 스킬의 데미지가 10% 증가합니다.
30렙에 찍는 크로울링 미스트를 사용하면 전방 가장 가까운 적에게 부착시킬 수 있으며, 모든 적에 대한 데미지 증가량은 사라지는 대신에
부착된 적에 대한 차원계 스킬의 데미지 증가량이 15%로 증가합니다.
또한 특정 스킬들을 부착된 적에게 순간이동시키는 기능이 생깁니다.
6. 운명왜곡
1각패입니다.
사상경계의 저편 스킬이 일정 확률로 차원석(스택)을 소모하지 않는 기능과
게이지 진동 수에 따라서 마크리와 크증뎀을 얻을 수 있는 패시브입니다.
게이지 진동 수 증가는 손가락이 있다면 절대로 3개에서 줄어들지 않습니다.
차원석 미소모 확률은 1레벨 10%에 렙당 1%증가
크리확률은 1레벨 5.8% 렙당 0.4%증가
크증뎀은 1렙 8% 렙당 1% 증가합니다.
최종적으로 15렙에선 차원석 미소모확률은 24%
크리확률은 11.4%
크증뎀은 22%
증가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나름 나쁘지 않은 1각패입니다.
이것과 도그마 디바이스로 디멘션워커는 스킬만으로 마크리를 32.4%를 얻고 시작하는 이점이 생깁니다.
7. 경계망상
25렙제 버프기술입니다.
모든 스킬 데미지가 증가합니다.
1레벨 10%, 렙당 2% 증가하면 평범한 증가량을 보여줍니다.
액티브 기술
1. 디멘션 리프
20레벨에 배우는 차원계열 스킬입니다.
텔레포트의 상위 스킬입니다.
후방으로 텔레포트를 하며 적에게 데미지를 가합니다.
차원석 1개를 소모하는것으로 피격시에도 사용 가능합니다
또한 tp를 찍는것으로 1.5초의 홀딩이 추가됩니다...만 크게 의미 없습니다.
데미지 범위도 좁아서 더욱 큰 의미가 없습니다.
2. 실루엣
20레벨에 배우는 차원계열 스킬입니다.
게이지 증가량과 데미지가 모두 짭니다.
쿨타임이 나름 짧고 본체 행동에 제약을 안준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방향키로 돌격방향을 지시할 수 있으며, 적들을 모두 관통하며 나아갑니다.
[사상경계의 저편]을 사용하는 것으로 돌격 거리를 줄이고, 적을 모으는 기능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게이지 얻기용 스킬로, 딱히 차원석을 쓸만한 가치는 없는 스킬입니다.
3. 차원광
25레벨에 배우는 차원계열 스킬입니다.
평범한 게이지 증가량과 평범한 데미지를 보여줍니다.
범위까지 평범합니다.
이 스킬의 특징이라면 [사상경계의 저편]을 사용하는 것으로 스킬이 크게 변화한다는 것입니다.
[사상경계의 저편]을 사용하지 않으면 13937의 공격력으로 방사형으로 좁은 범위에 6히트합니다.
즉 차원석을 사용하지 않으면 83622의 독공을 지닙니다.
[사상경계의 저편]을 사용하면 118074의 공격력으로 전방으로 레이저를 발사합니다.
y축은 좁지만 x축 범위가 넓어집니다.
상황에 따라 나눠서 사용할 수 있지만 극딜타임에선 차원석을 쓸 필요가 없는 스킬로 보입니다.
4. 칼레이도스코프
30레벨에 배우는 차원계열 스킬입니다.
본체가 돌격해서 전방 범위 적을 잡고 4히트 하는 스킬입니다.
즉 151,228의 독공을 지닙니다.
[사상경계의 저편]을 사용하면 본체가 아닌 실루엣을 보내서 적을 잡는 스킬로 변화합니다.
데미지는 소폭 감소해 117,344의 독공을 지니게 됩니다.
또한 전술한 크로울링 미스트가 적에게 부착되어있을 경우엔 전방으로 돌격하는것이 아닌 부착된 적에게 순간이동해서 스킬을 시전합니다.
이 스킬은 극딜타임에서 [사상경계의 저편]을 사용한 후 홀딩연계용으로 사용하거나
잡몹을 사냥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5.
30레벨에 배우는 괴리계 스킬입니다.
니알리에게 공격명령을 내리는 스킬입니다.
데미지는 109,010입니다.
이 스킬은 기본적으론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니알리를 전방으로 보내서 닿은 적에게 채찍질을 하는 스킬인데
전술한 크로울링 미스트가 부착된 적이 있다면 해당 적에게 순간이동해서 공격을 합니다.
니알리가 공격하는 스킬이기때문에 본체의 상태에 관계없이 사용 가능합니다.
니알리가 사용하지만 증,크증,추뎀 모두 적용되는 것으로 보이고 니알리가 사용하기 때문에 오라를 통한 2중 강화가 가능한 것으로 보입니다.
6. 시공폭뢰
35레벨에 배우는 차원계열 스킬입니다.
높은 게이지 증가량과 적당한 범위, 히트한 적을 가운데로 모으는 기능이 있습니다.
또한 [사상경계의 저편]로 인한 스킬의 변화가 가장 극적인 스킬이기도 합니다.
[사상경계의 저편]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엔 즉발로 전방범위에 3히트합니다.
즉 182.784의 독공을 지닙니다.
[사상경계의 저편]를 사용할 경우엔 동일 위치에 구체를 하나 남깁니다.
이 구체는 2초 후에 폭발하며 상기된 259.732의 데미지를 입힙니다.
적당한 쿨타임의 스킬로, 후술할 차원회랑과 연계해서 잡몹/네임드 처리를 하며 게이지를 채우기도 유용하며
극딜타임에 [사상경계의 저편]를 사용한 수 깔아두는 용도로 강한 데미지를 주는 것도 가능합니다.
[사상경계의 저편]를 상황에 맞춰서 사용할지 말지 결정해서 사용하는 스킬입니다.
7. 차원회랑
35레벨에 배우는 차원계열 스킬입니다.
특이사항이라면 차원계열 스킬인데 게이지를 회복시켜주지 않습니다.
대신 히트한 적에게 왜곡장을 입혀서 다른 차원계열 스킬로 공격할 시 얻는 게이지 량이 증폭된다는 특이사항이 있습니다.
또한 한번 더 누를시 차원회랑에 타격된 적에게 동일한 데미지를 한번 더 주며 디멘션워커의 전방으로 소환하는 특이사항이 있습니다.
당연하지만 건물형,고정형 적은 이동되지 않습니다.
이 범위는 시공폭뢰가 딱 들어맞는 범위입니다.
[사상경계의 저편]을 사용시 구속을 거는데....의미 없습니다.
일반몹은 이 스킬이나, 이 스킬로 죽지 않을 경우엔 시공폭뢰까지 써주면 방 하나가 깔끔하게 클리어됩니다.
이렇게 사용할 경우 차원회랑 - 실루엣 - 시공폭뢰를 하는것만으로 게이지 한개를 바로 채울 수 있습니다.
또한 극딜타임때 가장 먼저 걸고 시작하는것으로 [사상경계의 저편]으로 강화하지 않은 스킬을 섞는 것으로 차원석을 빠르게 수급할 수 있습니다.
8. 패러사이트 스웜
40레벨때 배우는 괴리계 스킬입니다.
일정 HP를 소모해 등 뒤에 게이트를 열고, 여기에서 벌레 친구들을 소환하는 스킬입니다.
이 벌레 친구들은 적에게 히트시 디멘션워커의 체력을 회복시키며, 적을 관통하진 못합니다.
이론상으론 다 히트할 경우엔 20만이 넘는 고정수치를 가지고 있지만 디멘션 할로우의 스증은 받지 못하기 때문에 수치에 딜비중은 떨어지는 편입니다.
하지만 잡몹 상대론 매우 유용한 스킬입니다.
깔아두고 칼레이도스코프로 잡으면 많은 적을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습니다.
9. 포지트론 블래스트
45레벨에 배우는 차원계열 상위 스킬입니다.
본체를 기준으로 좌, 우 120도 위치에 차원의 틈을 열어서 3방향 레이저를 발사하는 스킬입니다.
레이저 한줄기당 10히트하며, 최대 30히트시킬 수 있습니다.
[사상경계의 저편]을 사용시 자신 방향의 레이저를 자신 위치에 차원의 틈을 열어서 사용하는 것으로
데미지는 소폭 줄어들지만 시전중에 자유행동이 가능해집니다.
기본상태에선 344,190의 데미지를
[사상경계의 저편] 사용시 312,840의 데미지를 보여줍니다.
습득스킬에 비해 게이지 증가량이 낮고, 데미지를 소폭 낮추는것으로 설치할 수 있다는 점으로 볼 때
극딜타임에 [사상경계의 저편]을 사용해서 깔아두고 나머지 스킬을 사용하는 형식으로 주로 쓰일 것이라 생각됩니다.
또한 정 중앙에서 맞지 않을 경우 데미지가 급격히 감소하므로(레이저당 10히트이기 때문) 홀딩상태, 사용위치에 따라서 데미지가 천차만별입니다.
10. 형용할 수 없는 공포
1각기술입니다.
출현할 때 1히트, 촉수들이 나오며 22히트를 하고 마지막으로 폭발하는 스킬입니다.
총 754,349의 높은 데미지를 가지고 있습니다...만
괴리스킬이기때문에 디멘션 할로우의 데미지 증가량을 받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높은 데미지 비중을 가지고 있다는 점은 변화가 없습니다.
보기와는 다르게 홀딩판정은 없고, 그냥 넓은 범위에 데미지를 주는 대지를 소환한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 스킬은 현재 퍼섭에 버그가 있습니다.
현재 출현시 공격력과 마지막 폭발 공격력이 동일하게 적용되는 버그가 있습니다.
정확히는 마지막 폭발 데미지가 출현 데미지로 적용되는것 같습니다.
11. 패러다임 디토네이션
60레벨 EX기술입니다.
크로울링 미스트가 적에게 부착된 상태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현재 부착된 적의 위치와 관계없이 상대 위치에 공격을 하는 스킬입니다.
다단히트로 13히트 한 후 마지막으로 폭발하는 스킬입니다.
마지막 폭발의 데미지 비중이 아주 높은 스킬입니다.
총 246,685의 데미지를 가집니다.
[사상경계의 저편]을 사용시 데미지는 변화하지 않으며 범위내 적을 홀딩하는 기능이 생깁니다.
[사상경계의 저편]을 사용시 적의 위치와 관계없이 즉발로 홀딩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스킬로써
본체가 이동할 순 없지만 홀딩기로 사용할 가치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이 스킬의 다른 중요한 특징이 있는데
게이지 증가량이 굉장히 높다는 것입니다.
차원회랑과 연계할 경우 차원회랑 - 실루엣 - 패러다임 디토네이션을 사용하는 것으로 게이지 2개를 즉시 얻을 수 있습니다.
딜타임에 홀딩연계로 사용할지, 차원석 수급용으로 사용할지 나누어서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이 정도의 범위를 가집니다.
12. 칙 잇
70레벨 ex 스킬입니다.
니알리가 사용하는 스킬입니다.
사용시 니알리를 즉시 디멘션워커의 등 뒤로 소환시켜서 긴 채찍으로 찌르게 합니다.
이 채찍에 찔릴 경우엔 짧은 시간 홀딩을 시키는 기능이 있습니다.
범위가 꽤나 넓고, 발동이 빠르며, 니알리의 현재 위치와 관계없이 니알리를 소환할 수 있는 스킬입니다.
또한 니알리가 사용하기 떄문에 본체의 현재 행동에 관계없이 사용 가능하단 점이 장점입니다.
선 칙잇으로 홀딩한 후 딜기술과 홀딩기를 분배하는 전략을 사용할수도 있고,
패러다임 디토네이션으로 홀딩한 후 칙잇으로 연계, 칼레이도스코프로 홀딩을 이어가며 딜을 계속하는 전략도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여러모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한 스킬입니다.
이 스킬의 딜링이 딜표에는 니알리의 딜로 나오는 버그가 있습니다.
홀딩기이면서도 책정 데미지는 매우 높은 편입니다.
간단한 스킬 시연 영상
정리
디멘션워커는 기본적으로 스킬 연계가 중시되는 캐릭이라고 생각됩니다.
또한 적을 모으고, 무력화시키며 딜을 넣는것이 우수한 캐릭터입니다.
하지만 홀딩스킬이 많지는 않아서 완전한 홀딩특화 캐릭이라고 하기엔 애매한 캐릭터입니다.
스킬들 홀딩시간이 긴것도 아니구요
그냥 드디어 주도적 홀딩기가 있는 마법 딜러 캐릭터가 등장했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또한 스킬들이 꽤 괜찮게 짜여진 것 같다고 느낍니다.
그 이유는....
강화 실루엣이 적들을 모으는 위치
차원회랑이 적들을 모으는 위치
이 위치가 정확히 시공폭뢰가 생성되는 위치이고, 포지트론 블래스트의 중심점이기 때문입니다.
형용할 수 없는 공포가 소환되는 위치이기도 합니다.
이런 점으로 봤을 때, 디멘션워커는 기술들의 연계가 중시되는 딜러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IP보기클릭)211.178.***.***
(IP보기클릭)211.230.***.***
네 겹칩니다 그런데 꼭 디멘션 리프로 잡지 않아도 차원회랑을 히트시키면 적을 모두 한번에 맞출 수 있기 때문에 크게 중시되진 않을거라 생각됩니다. 차원회랑이 없을 때엔 고려해볼 법 하겠군요 | 16.07.09 03:04 | |
(IP보기클릭)113.192.***.***
(IP보기클릭)211.230.***.***
강화 써본바로는 확정구속이 아니라서 영...이였습니다 | 16.07.11 03:56 | |
(IP보기클릭)211.36.***.***
(IP보기클릭)119.200.***.***
던파내 어느 케릭이건 무자본으로 다 가능 하죠 문제는 레이드랑 안톤 부터 투자를 급격 하게 하기 시작 해야 하는데 어느 케릭이건 안톤 진입 하시려고 한다면 시작시 무자본은 힘드실 겁니다 아마 고뎀 이기 때문에 투자를 크게 안해도 강하기는 할겁니다 범위도 나쁘지 않고 딜도 나쁘지 않을터이니 | 16.07.11 04:00 | |
(IP보기클릭)211.230.***.***
하자면 못할정도는 아니라고 봅니다 기본 크리도 꽤 되니 만크리도 쉽겠고, 딜편성도 나름 상위권인듯하고..... 평범하게 퀘전거형레전으로 해볼만 할거같아요 레전더리 빗자루가 애매한게 단점이려나요 | 16.07.11 04:0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