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계속 제목을 선정적으로 쓰게 되네요 (히히)
모처럼 회사도 쉬는데 라이브에 아무도 안계시네요. 흑. drivatar 돌려놓고 심심한김에 잠깐 글을 씁니다.
초보용이므로 좀 한다~ 싶은분은 후진해주세요.
---
코너를 돌고 나서 다른 차에게 뒤쳐지는 경우.. 아 내차는 가속력이 딸려~ 이렇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과연 그럴까요 ^^;
이니셜D에 보면 도랑타기에 두가지 방법이 있다고 합니다. 선회속도 중시의 도랑타기와 재가속 중시의 도랑타기..
실제 코너를 도는데에도 선회속도와, 재가속. 이 두가지에 주안점을 두어야 하는데..
둘 중 어느쪽에 더 비중을 두어야 하냐고 한다면 바로 '재가속'입니다.
이상적이라면 빠른 속도로 돌아서 탈출시에 더 빠르게 가속 하는 것이겠지만..
특히 초보분들의 경우 빠르게 도는 것만 생각하고 코너를 돌다가 오히려 더 느리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다음과 같은 두가지 경우가 젤 많죠.
1. 빠르게 진입했는데 코너를 돌면서 속도가 점점 준다. 결국 탈출시 엑셀을 밟을 때는 더 느린속도가 된다.
2. 약간 빠르게 진입해서 코너도는 도중 속도는 유지했지만, 탈출시 엑셀을 너무 빨리 밟았다거나, 많이 밟았다거나 해서 뒷바퀴가 슬라이드 되면서 가속이 안붙는다.
슬로우인-패스트아웃 이란 말 들어보셨죠? 그걸 이야기 하고 있는 겁니다. ^^;
쉽게 말하자면 빠른속도로 쫙쫙 미끄러지면서 코너를 도는 것 보다, 코너에서 완전히 멈췄다가 안정적으로 재 가속 하면서 빠져나가는 것이 더 빠른 경우가 있습니다.
결국 코너를 잘 돌았냐 못돌았냐 하는 것은 코너 탈출시점에서 속도가 얼마인가? 하는 것으로 결정된다는 것 입니다
코너자체를 빠른시간내에 도는 것은 큰 의미가 없습니다.
빠른 선회속도라는 것도 '코너를 얼마나 빨리도느냐'가 아니라 '코너 돌때 속도가 얼마인가'가 의미를 가지는 겁니다. 결국 재가속을 유리하게 하기 위함이죠.
이런 이유로 마력이 낮은 차가 직선에서 마력 높은차를 추월하는 일이 생깁니다.
지난 코너에서 탈출시 속도가 더 빨랐다는 것이죠.
저는 코너를 도는 것을 "엑셀을 최대한 빨리, 안정적으로 밟기 위해 차를 안정시키는 것" 이라고 생각합니다. 명심하세요~ 재가속이 제일 중요합니다!
** 사족
코너탈출속도는 특히 코너 다음이 긴 직선로일때, 혹은 오르막 직선로일때 더더욱 중요합니다. 이런 코너는 죽어도 재가속에서 실수가 있으면 안됩니다. 평소보다 더욱 느린속도로 진입해서 안정적으로 재가속 할 수 있게 해 주세요.
모처럼 회사도 쉬는데 라이브에 아무도 안계시네요. 흑. drivatar 돌려놓고 심심한김에 잠깐 글을 씁니다.
초보용이므로 좀 한다~ 싶은분은 후진해주세요.
---
코너를 돌고 나서 다른 차에게 뒤쳐지는 경우.. 아 내차는 가속력이 딸려~ 이렇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과연 그럴까요 ^^;
이니셜D에 보면 도랑타기에 두가지 방법이 있다고 합니다. 선회속도 중시의 도랑타기와 재가속 중시의 도랑타기..
실제 코너를 도는데에도 선회속도와, 재가속. 이 두가지에 주안점을 두어야 하는데..
둘 중 어느쪽에 더 비중을 두어야 하냐고 한다면 바로 '재가속'입니다.
이상적이라면 빠른 속도로 돌아서 탈출시에 더 빠르게 가속 하는 것이겠지만..
특히 초보분들의 경우 빠르게 도는 것만 생각하고 코너를 돌다가 오히려 더 느리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다음과 같은 두가지 경우가 젤 많죠.
1. 빠르게 진입했는데 코너를 돌면서 속도가 점점 준다. 결국 탈출시 엑셀을 밟을 때는 더 느린속도가 된다.
2. 약간 빠르게 진입해서 코너도는 도중 속도는 유지했지만, 탈출시 엑셀을 너무 빨리 밟았다거나, 많이 밟았다거나 해서 뒷바퀴가 슬라이드 되면서 가속이 안붙는다.
슬로우인-패스트아웃 이란 말 들어보셨죠? 그걸 이야기 하고 있는 겁니다. ^^;
쉽게 말하자면 빠른속도로 쫙쫙 미끄러지면서 코너를 도는 것 보다, 코너에서 완전히 멈췄다가 안정적으로 재 가속 하면서 빠져나가는 것이 더 빠른 경우가 있습니다.
결국 코너를 잘 돌았냐 못돌았냐 하는 것은 코너 탈출시점에서 속도가 얼마인가? 하는 것으로 결정된다는 것 입니다
코너자체를 빠른시간내에 도는 것은 큰 의미가 없습니다.
빠른 선회속도라는 것도 '코너를 얼마나 빨리도느냐'가 아니라 '코너 돌때 속도가 얼마인가'가 의미를 가지는 겁니다. 결국 재가속을 유리하게 하기 위함이죠.
이런 이유로 마력이 낮은 차가 직선에서 마력 높은차를 추월하는 일이 생깁니다.
지난 코너에서 탈출시 속도가 더 빨랐다는 것이죠.
저는 코너를 도는 것을 "엑셀을 최대한 빨리, 안정적으로 밟기 위해 차를 안정시키는 것" 이라고 생각합니다. 명심하세요~ 재가속이 제일 중요합니다!
** 사족
코너탈출속도는 특히 코너 다음이 긴 직선로일때, 혹은 오르막 직선로일때 더더욱 중요합니다. 이런 코너는 죽어도 재가속에서 실수가 있으면 안됩니다. 평소보다 더욱 느린속도로 진입해서 안정적으로 재가속 할 수 있게 해 주세요.
(IP보기클릭).***.***
(IP보기클릭).***.***
(IP보기클릭).***.***
(IP보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