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제목]
올해는 8월, 부산 벡스코에서 만나요! - 'BIC 2023' 사업 설명회
조회수 4378 | 루리웹 |
입력 2023.03.23 (14:50:00)
[기사 본문]
부산인디커넥트페스티벌(이하 BIC) 조직위는 올해로 9회를 맞이한 'BIC 페스티벌 2023'의 온라인 사업 설명회를 통해, 올해 8월 진행되는 'BIC 2023'의 접수 및 행사 기간 등을 상세하게 전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먼저, 영상에 등장한 부산인디커넥트페스티벌 조직위원회의 서태건 조직위원장은 “금년 행사도 예년과 마찬가지로 언제 어디서든 BIC를 즐길 수 있도록 온·오프라인 행사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행사 전체의 흐름은 지난해와 비슷한 대신, 장소와 행사 기간의 변화를 맞이했다.
올해 BIC는 판데믹 이전 BIC 2019의 개최 장소이자 지난해 진행되었던 BIC 2022의 행사장인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가 아닌, ‘벡스코’에서 개최된다. 서태건 원장은 장소를 벡스코로 확정한 것에 대해서 ‘좋은 게임을 더 많은 분들에게 알리고자 접근성이 용이한 장소로 결정하게 되었다’라고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특이점으로는 오프라인 행사 전 온라인 행사를 먼저 오픈하고 미리 전시작을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이러한 결정과 더불어 전시작들을 소개하는 콘텐츠를 제작하는 한편, 오프라인 행사를 더 알차게 준비한다는 의도에서다.
BIC 2023의 참가는 크게 경쟁 부문과 비경쟁 부문으로 구분된다. 경쟁 부문은 일반 / 루키 부문으로 구분되며, 커넥트픽은 비경쟁부문으로 전시가 이루어진다. 일반 부문은 4월 12일부터 5월 18일까지. 루키 부문은 4월 12일부터 6월 16일까지 참가작을 모집하고 커넥트픽은 4월 12일부터 6월 9일까지 접수를 받는다.
접수를 위한 조건은 지난해와 비슷하다. 공통적으로 ‘만 14세 이상 인디게임 개발자’를 대상으로 한다. 일반과 루키 부문의 경우 ‘개발 중 또는 출시 1년 이내의 디지털 작품. 그리고 이전 BIC에서 전시된 적이 없는 타이틀’로 한정된다. 루키 부문은 학생 또는 25세 이하. 1999년 이후 출생의 미취업자로 구성된 팀 또는 개인이 개발한 작품을 대상으로 모집한다.
또한 이전 행사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참가해야 했던 것과 달리, 올해는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만으로 전시가 가능하도록 분야를 증설했다. 오프라인 전시에서는 개발자가 부스를 직접 운영하는 형태이며, 온라인 전시는 플레이 가능한 빌드를 선보이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는 규정상 온·오프라인 동시 참가가 원칙이지만, 부득이하게 오프라인 전시에 참가를 하지 못하는 개발자들이 있기에 신설된 것이다. 온라인 전시만 참가하는 경우 어워드에서는 제외되는 것으로 한계를 뒀다.
올해 부산 벡스코에서 진행되는 BIC 2023에는 몇 개의 시스템 적인 발전도 곁들여졌다. 인디 게임 스튜디오의 개발 단계별 피드백을 수집할 수 있는 테스트 플랫폼 ‘B라운지’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테스트에 들어간다. 해당 플랫폼은 BIC 홈페이지 회원이라면 누구나 테스트를 진행하고 참여할 수 있다.
게임문화재단과 부산인디커넥트페스티벌조직위원회. 그리고 펄어비스가 국내 우수 인디게임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BIGEM’은 BIC 페스티벌 전시작을 대상으로 국내외 전시회 참여 및 글로벌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지난해에는 8팀이 선정되어 게임문화제 / 타이페이 게임쇼 2023에 참여한 바 있다. 올해 행사 전시작을 대상으로 2기를 선발할 예정이다.
먼저, 영상에 등장한 부산인디커넥트페스티벌 조직위원회의 서태건 조직위원장은 “금년 행사도 예년과 마찬가지로 언제 어디서든 BIC를 즐길 수 있도록 온·오프라인 행사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행사 전체의 흐름은 지난해와 비슷한 대신, 장소와 행사 기간의 변화를 맞이했다.
올해 BIC는 판데믹 이전 BIC 2019의 개최 장소이자 지난해 진행되었던 BIC 2022의 행사장인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가 아닌, ‘벡스코’에서 개최된다. 서태건 원장은 장소를 벡스코로 확정한 것에 대해서 ‘좋은 게임을 더 많은 분들에게 알리고자 접근성이 용이한 장소로 결정하게 되었다’라고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특이점으로는 오프라인 행사 전 온라인 행사를 먼저 오픈하고 미리 전시작을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이러한 결정과 더불어 전시작들을 소개하는 콘텐츠를 제작하는 한편, 오프라인 행사를 더 알차게 준비한다는 의도에서다.
BIC 2023의 참가는 크게 경쟁 부문과 비경쟁 부문으로 구분된다. 경쟁 부문은 일반 / 루키 부문으로 구분되며, 커넥트픽은 비경쟁부문으로 전시가 이루어진다. 일반 부문은 4월 12일부터 5월 18일까지. 루키 부문은 4월 12일부터 6월 16일까지 참가작을 모집하고 커넥트픽은 4월 12일부터 6월 9일까지 접수를 받는다.
접수를 위한 조건은 지난해와 비슷하다. 공통적으로 ‘만 14세 이상 인디게임 개발자’를 대상으로 한다. 일반과 루키 부문의 경우 ‘개발 중 또는 출시 1년 이내의 디지털 작품. 그리고 이전 BIC에서 전시된 적이 없는 타이틀’로 한정된다. 루키 부문은 학생 또는 25세 이하. 1999년 이후 출생의 미취업자로 구성된 팀 또는 개인이 개발한 작품을 대상으로 모집한다.
또한 이전 행사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참가해야 했던 것과 달리, 올해는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만으로 전시가 가능하도록 분야를 증설했다. 오프라인 전시에서는 개발자가 부스를 직접 운영하는 형태이며, 온라인 전시는 플레이 가능한 빌드를 선보이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는 규정상 온·오프라인 동시 참가가 원칙이지만, 부득이하게 오프라인 전시에 참가를 하지 못하는 개발자들이 있기에 신설된 것이다. 온라인 전시만 참가하는 경우 어워드에서는 제외되는 것으로 한계를 뒀다.
올해 부산 벡스코에서 진행되는 BIC 2023에는 몇 개의 시스템 적인 발전도 곁들여졌다. 인디 게임 스튜디오의 개발 단계별 피드백을 수집할 수 있는 테스트 플랫폼 ‘B라운지’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테스트에 들어간다. 해당 플랫폼은 BIC 홈페이지 회원이라면 누구나 테스트를 진행하고 참여할 수 있다.
게임문화재단과 부산인디커넥트페스티벌조직위원회. 그리고 펄어비스가 국내 우수 인디게임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BIGEM’은 BIC 페스티벌 전시작을 대상으로 국내외 전시회 참여 및 글로벌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지난해에는 8팀이 선정되어 게임문화제 / 타이페이 게임쇼 2023에 참여한 바 있다. 올해 행사 전시작을 대상으로 2기를 선발할 예정이다.
정필권 기자 mustang@ruliweb.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