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10400
ddr4 3200 8 x 2
rrtx2070s (언더 클럭을 살짝 해서 디폴트 보다 성능이 3~6% 정도 덜 나옴 but 풀로드 전력소모는 60w 발열은 10도 내림 ㅋㅋ)
참고 사항
ps5의 gpu성능 대략 적절하게 max치로 잡고 대략 RTX 2070급 그런 ps5에서 포스포큰 꼬라지를 한번 잠시 설명
성능모드 평균 렌더링 해상도 900p에 720p 까지 떨어지면 딱 엑스박스 원 용 해상도 ㅎㅎ
모르는 이들 위해 준비 해봤음
↓↓↓↓↓↓↓↓↓↓↓↓
그러하다 전 세대 게임기 별칭 빡원이 및 900P 따리 수준의 해상도를 보여준다
포스포큰은 현세대 게임기에 1억 달러를 투자하여 만든 2023년도 최신 게임이다
자 콘솔 버전 부터 개판인 이 게임의 pc버전
어차피 윈도우 새로 깔 거 그전에 이 우라질 게임을 한번 물고 뜯고 씹어 보기 위해 설치
일단 스샷을 마구 잡이로 찍으면서 옵션을 그때 그때 매우 바꿔서 제가 설명을 해도 좀 누락 되는 부분이 있을 겁니다
데모 돌리기 전 생각 못한 거 루리웹 리사이즈 이미지 때문에
애프터 버너 표기를 더 크게 하고 스샷 찍었어야 하는데 그 생각을 차마 못했네요
거기다 지포스 성능 오버레이는 여기에 안 찍힙니다 ㅋ
아마 처음 시작 했을 때 프레임 제한만 60걸고 다른거 손 안대고 출발 한 것 같습니다
(기본 프리셋 표준 상태)
참고사항
#클릭 해서 보시면 원본 디테일 품질 확인 가능 및 애프터 버너 gpu로드율 및 프레임 확인 가능#
이게 1억 달러를 태운 최신 2023년도 고사양 pc게임 그래픽이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쓰잘데기 없는 이펙트의 낭비로 실제 플레이 해 보면 시각적으로 꽤 나 불편 하다
덤으로 사양 잡어 처 먹는건 bonus
이걸 화려하다고 말한다면 내가 한 가지 질문을 던져 보고 싶다
국산 온라인 게임들 이펙트 떡칠해서 사람 모여서 스킬 난장판을 봐라
눈이 아프다 사양 문제도 있겠지만 보기 짜증 나서라도 옵션을 적당히 내리는 게 중요하다
진짜 최신 국산 온라인 게임의 비쥬얼과 비교시 일본 게임은 마이너스야 마이너스 감일 뿐
데미지 표기 참 예쁘게도 했구나 지미럴 너무 오버 스러운 짓을 하는 것 같음
참으로 어이가 없는 게 예전에 국산 mmorpg 홍보용 트레일러 주특기
열심히 만들 자기들 오픈필드에 여러 npc 같은 것들이 있는 걸 반지의 제왕에 쓰인 카메라 기법 비스무리 하게
따라해서 스케일이라던가 아름 다운 자사 게임의 게임 세계를 홍보 하곤 했는데
솔직히 국산 온라인 게임이 기술적으로 비쥬얼적으로 난 몇배는 낫다고 본다
(게임이 죄다 리니지식 bm으로 가는 것 만 빼면 ㅋㅋ)
참 볼품 없는 비쥬얼 이다
참고로 이거 찍을 때는 가변 쉐이딩을 켜진채로 찍었지만
사실 꺼도 많이 비쥬얼이 나아지지도 켜졌다고 퍼포먼스 향상이 많이 좋아지지도 않는다
그냥 끄고 쓰는게 좋다 개떡 같은 곳 품질 깍았다 올렸다 지 혼자 난리 부르스 치는 꼬라지를 보면 짜증이 올라 오므로 무조건
꺼주는게 좋다
애초에 VRS 자체가 개발자의 정성과 노력이 실력이 증명 되는 기능 중 하나인데
이 따위 애들이 그걸 잘 썼을리는 당연히 만무 하고 실제 바로 티가 난다
그냥 돈 들인 최신 게임이니 옵션상 제공만 해준다고 보면 된다
막상 인게임에서 매우높음 > 높음 > 표준을 차례대로 적용하면
차이가 나긴 나는데 과연 비쥬얼 차이 만큼만 사양을 처먹을까?
당연히 아니다 그러니까 울트라옵 별 의미 없다
일 종의 테스트를 위해 DLSS 적용 및 동적 해상도를 활성화 했지만
스샷 찍은 구간 상 티는 안 난다
DLSS+ 동적 해상도 기능은
QHD 이상 4K 에서 쓰자
FHD에서 DLSS만 품질로 키고 하면 된다
괜히 동적 해상도 까지 끼얹으면 DLSS가 아무리 좋아도
상황에 따라 프레임 뽑겠다고 너무 렌더링 해상도를 낮춰 버리므로 뽀록이 난다
가장 추천하는 해상도는 4K유저들
DLSS 균형 단독 보다는
DLSS 품질 + 동적 해상도 (품질과 균형을 오간다고 생각 하시면 편 합니다
사실 그 밑은 그냥 DLSS 품질만.. ㅎㅎ)
이런 풀밭에서 일부러 최대한 화려한 마법을 동시에 마구 잡이로 적과의 싸움에 한번에 발동하면서
이 게임이 실질적으로 부하가 걸렷을 때 퍼포먼스를 보기 위해 찍은 스샷들
참고로 짭싱크 프레임 제한 60으로 플레이시 60프레임 잘 유지 된다면 사실 마이크 스터터링이나
뭔가 좀 깨름찍하게 프레임 타임이 엉망이 되어 실제 화면이 생각 보다 구리거나 그런게 없어야 되는데
다른 커뮤니티에서 인게임 프레임 제한이 리바튜너 프레임제한 보다 구리다는 평가를 보고 그런거 일일이
다 테스트 하기 귀찮아서
그냥 인 게임 프레임 제한 최대치 (120)
수직동기 켬
(원래 지싱크 기본 베이스는 프레임 제한은 되도록이면 인게임 내 프레임 제한 사용
수직동기 는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키는 걸 권장 하지만 대충 해도 상관없다)
첨고로 내 모니터는 프리싱크 초기 모델
FHD 75HZ 모니터다
왜 갑자기 중간에 설정을 자꾸 바꿨냐면 타 커뮤니티에서 본대로 인게임 프레임 수치60으로 햇더니 뭔가 화면이
구리다 부들부들한 60프레임 느낌이 아니라 좀 어색하게 부드러워서
(프레임 타임이 생각보다 많이 불일치 하다는거 )
그래서 위 적용을 했더니
당연히 최대 프레임은 75를 찍지만 프레임 60구간에서 확실히 화면이 더 부드러워 졌다
아 물론 엔비디아 최신 드라이버도 아니고
따로 DLSS 버전을 교체해 줘도 되지만 난 어차피 이 게임 안 할꺼니까
최대한 좋은 퍼포먼스 뽑자고 이것저것 다 손보기 귀찮아서 여기 까지만 ㅋ
찍고 나서 생각 하는 건데 내가 무슨 옵션을 바꿔 가면서 여기서 스샷을 찍었는지 기억이 안 난다 ㅋㅋㅋㅋ
그러하다 위에 언급 한대로 VRS는 필수로 끄길 권장한다
동적 해상도는 업스케일링 기술 없이 단독으로 쓰는 건 정말 최악이고
오로지 DLSS와 같은 업스케일 기술과 함께 할 때 시너지가 나오는데
해상도가 QHD 이상 아니면 그냥 이것도 끄세요 ^^
이 게임의 또 하나 옵션 셋팅 찐따 같은 이유를 발견했다
몇가지 중요한 이펙트를 안개 효과 안에 다 때려 박고 퉁 치겠다고?
이런 거 신경 쓴 MMORPG 게임들 그래픽 옵션이 얼마나 세부적인지
이것들은 기본이 안 되어 있다
상황에 따라서는 퍼포먼스를 덜 먹거나 더 많이 먹거나 하는데
왜 이 모양인지 이해가 가능한 점
이 게임 지금 스샷 구간 이렇지
높은 곳에서 원거리 전경 볼 때 이 안개 효과를 낮음으로 하면
원거리 전경이 완전 개 허접 수준이라 그거를 감추려면 안개 효과를 표준으로 변경해 줘야 된다
이게 안개 옵션의 유무인데 이 게임 할 사람들은 사실 사양 문제 보다는 내가 언급한 부분을 신경 쓰고 할 건지 취향에 따라
골라 잡는 게 나아 보인다
안개를 걷으면 저 멀리 원경을 제대로 보는게 가능하지만 (원거리 디테일 처리가 개허접 이므로 본인이 선택 하면 된다)
이 게임에서 은근히 가장 부하가 극심한 구간이 아이러니 하게도 이렇게 세부 정보 탐색 모드이다
클릭해서 보면 알겠지만 프레임이 58이 찍혔다
피사계 심도 옵션을 꺼도 아마도 특성상 여기에서는 반 강제로 활성화 되나 보다
x 벌 피사계 심도 때문에 퍼포먼스가 갈려 나간다는 건 니들은 용납이 안된다
그러하다 스킬로 악어가 공중 롤러블을 해도 67 프레임 정도 나온다
그러니까 이 게임은 뭔가 상태가 매우 안 좋다는 걸 상기 하면서 게임 해야 한다
그래픽 품질 커스텀 dlss 켬 dlss 품질 gpu로드 83% 75프레임
자 위에 두 스샷이 비쥬얼 차이와 퍼포먼스 차이를 구별해 보기 위해
서는 이미지를 클릭 원본 이미지를 다운 로드 해서 직접 비교하면 더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그래픽 품질 커스텀 안개 낮음 dlss 켬 gpu로드 82% 75프레임
⇵ 2프레임 차이가 나는 상황 무엇을 변경 했게요? ㅋ
이것 저것 테스트 해보면서 느낀 거는
이 게임 반사 효과 어디서 티 나는지 데모 잠깐 굴린 거로는 못 찾았습니다
어차피 모션블러
피사계 심도는
거의 대부분 끄고 하니까 아니 뭐 사양 좋다고 이런 것 까지 키고 하는 일은 별로 없죠?
게임 바이 게임 이지만 이 게임도 이 두개는 꺼주는 게 전반적으로 눈이 편안해 집니다
FHD + nvidia
2060s 급 사용자라면 dlss 품질을 기본으로 깔고
적절하게 텍스쳐 필터링 모델 필터링 중간 나머지 끄거나 낮음
정도로 놓고 하면 60프레임 뽑는 게 큰 문제도 없거니와
최대한 이펙트 난무질 을 했지만 이런 경우도 생각보다 프레임이 많이 안 떨어 집니다
50프레임 밑으로 잘 안 나온다는 이야기 안정적인 60프레임이 중요하다
↡↡↡↡↡↡↡↡↡↡↡↡↡↡
기본적으로 현재 dlss 퀄리티가 나날이 좋아지고 단점이 개선 되면서
fhd 환경에서도 dlss가 네이티브 대비 딱히 크게 티 도 안 납니다
(사실 샤픈 효과를 강하게 넣으면 샤픈효과가 강하구나 정도?
이게 바로 dlss의 가치임 ㅎㅎ)
그래서 fhd 60프레임 베이스는 옵션 조절 잘하면 그렇게 까지 사양은 높지 않으나
게임 자체가 원체 개판이라 하드웨어 사양을 오버스펙으로 준비 안하면 60프레임 고정 플레이는 힘듬
rtx 3060 이상 사용자라면 표준에 dlss
대충 이 정도
3060ti 정도 면 표준 프리셋 기준으로 제가
설정한 수준 텍스쳐와 모델 높음
나머지는 표준 정도 거기에 dlss 품질을 더하면
어지간해서 60프레임 밑으로 잘 안 떨어질 것 같습니다
권장 사양 뻥튀기를 오지 게 했다는 것
그리고 레이 트레이싱 그림자와 ao는 정말 개풀도 차이도 없고 사양만 더 먹는데 의외로 또 사양을 생각 보다 안 먹는 이유는
레이 트레이싱 성능 고자인 ps5 수준으로 pc버전에도 적용을 햇기 때문이겠지요
눈에 티도 안 나는데 사양만 갉아 먹기 때문에
레이 트레이싱 그림자와 ao는 필히 꺼주면 됩니다
전반적으로 그래픽 꼬라지 최적화 꼬라지
스킬 쓸 때 저 과도하게 쓰이는 이펙트가 정말 눈에 거슬리는데 저거 자체를 굉장히 줄여서 쓸수 잇는 옵션 하나만 존재 했어도
프레임 하락 구간의 최저 프레임율이나 화면 정신없어서 이게 뭔 난장판인가 싶은 화면을 피할 수 있을텐데
역시나 일본 게임 개발사는 제가 오늘 바로 뱅퀴시 글에 달린 덧글 정도 대로
코지마쪽 사람들 ?ㅋ
아니면 캡콤 정도 빼면 상태가 죄다 안 좋다
뭐 솔까말 진삼국무쌍 pc 버전보다는 나은 편이겟지만
애도 그 근본 적인 기술력 개떡이라 개판인 건 변하 질 않는다
최신 하드웨어 (ps5 pc 모두 포함)에 돈만 갖다 바른다고 바로 결과물이 좋아 지지 않는 건
어떤 비유를 하고 싶냐면
가장 꼴 같지 않으면서 재미난 소재인 중국 축구를 새삼 떠오르게 하네요
거대한 중국의 엄청난 축구 굴기
목표는 2050년내로 중국이 월드컵 우승?
엄청난 선수 몸값 엄청난 중국내 자국 리그
현실 = 닭백숙 + 돈만 먹고 먹튀 할려고 작정하고 온 해외 용병 + 해외 용병도 중국 수준으로 수준 격하
돈 갖다 떡 바르기전 보다 상태가 더 안 좋아짐
현재 중국 축구의 현실
베트남과 태국은 중국 입장에서는 강호임 ㅎㅎ
------------------------------------------------------------
여기서 부터 본격 추가 사항
위에 올린 이미지를 한번 더 중복 하면서
rtx 2070super로 48프레임이 나오고 있죠 ㅎㅎ
자 비슷한 사양의 비슷한 오픈필드와 스킬을 쓰는 게임을 예로 들어 보죠
↓↓↓↓↓↓↓↓↓↓↓↓↓↓↓↓↓↓
현재 시간으로 동영상 링크해도 처음부터 시작해서 인지 2분55초부터 봐보세요
동영상 조회수가 낮은 경우 스트리밍이 원래 불안정 할 수 있습니다
(인코딩 화질로 인해 다소 좀 흐릿해 보이긴 하네요 ㅎㅎ)
다시는 국산 게임 개발자들의 실력이나 기술력을 무시하지마라~~~~~~~~~~~
게임을 리니지식 bm이나 과금 유도질로 게임의 본질을 잊고 게이머와 린져씨들의 혈고를 빨아 자신들의 주머니를 채우려는
영업 형태가 문제 인지 애초에
기술적 비쥬얼적 모든 부분에서
한국 vs 일본
한국의 압승이라고 저는 예전부터 쭉 생각하고 현실대로 입니다
이거슨 붉은 사막이 어떻게 나오느냐 에 따라 달라 지겠지만 잘만 나올 경우 개인적으로
유비식 오픈월드의 정점 어크 시리즈도 대차게 물고 뜯고 씹어 먹을 준비를 하는 한 사람입니다
한국 게임 너무 무시하지 마세요 여러분 그냥 돈 되는게 리니지식 bm이라 그런거일 뿐
기술력 비쥬얼 부분 게임 플레이적 부분으로 이미 대부분의 기반을 다 갖췄고
회사의 영업방침만 바뀌어도 초행착오를 겪는 시간도 굉장히 짧을 것 이며
엄청나게 좋은 호평을 받을 수준으로 금방 도약 할 겁니다
그래서 올해 붉은 사막 p의 거짓 같은 게임이 중요합니다
-------------------------------------------------------------------------------
마무리 평
일본 게임 개발자 혼또니 스고이 !
저따위 그래픽으로 저 정도 사양 먹는 거 이펙트 수준 조율도 할 줄 모르는 쎈쓰에 참..
이거 보다 호라이즌 포비든 웨스트 그래픽 보니까 감동에 박수가 저절로 나오게 되는데
정말 이렇게 까지 극과 극이라니
58.122.***.***
역시 설사똥급 게임이군요
58.122.***.***
역시 설사똥급 게임이군요
39.7.***.***
220.84.***.***
14.41.***.***
애만 이런데요 갓오브워는 아주 퍼펙트 하게 클린 한데요? 그러면 제가 하고 있는 모든 60프레임 제한 게임이 죄다 이래야 되는데 아닌데요? 그리고 60hz에 60프레임 제한을 걸때 수직동기를 동반 안 하면 프레임이 61으로 튈 때 화면 꿀렁임 을 보실수 있습니다 그래서 정석은 75hz 기준으로 73 정도 이거 슨 모든 가변 주사율 기반의 정석인데 회원님의 그 잘못된 지식 부족과 경험 부족은 자칫 현실과 괴리감이 생기는 지식 정보 전달이므로 제가 반드시 정정하고자 장문 덧글 달아 드립니다 원래는 인 게임 프레임 제한이 가능 좋은 효과를 내는 게 맞지만 이 게임은 특이하게 인 게임 프레임 제한이 그다지 제대로 작동을 안하고 있다는 걸 예시로 드는 겁니다 가변 주사율 상황인데 (그것도 lfc 없는 ) 상황인데 프레임제한의 배수는 무슨 원리로 대체 어디서 나온 상식이고 잘못된 낭설을 퍼뜨리나요? 240hz 모니터에서 프레임 제한 60으로 걸고 하면 (lfc 없는 짭싱크) 화면 재생빈도가 딱 60번 갱신 하는데 이 무슨 이상한 궤변인가요? 무언가 기본 전제 자체가 잘못 되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모른다는 표현을 쓰기 전에 본인이 무슨 실수를 했는지 그거부터.. 좀. 프레임이 덜덜 떨린 다는 표현도 잘못 되 었구요 제가 이거 일일이 다 교정 시켜주는 모든 이야기 가능 합니다 이상한 정보 퍼트리지 마세요 아 물론 제가 짭싱크 키고 있다는 걸 글 초반에 누락 시켜서 대충 보다 보면 제가 가변주사율을 안쓰고 있다고 생각하시고 덧글을 다신거라면 논 싱크 기준으로는 회원님이 제시 하는 조건이 어느 정도는 맞습니다 근데 저는 짭싱크를 키고 사용중입니다 유의해 주세요 | 23.01.26 18:53 | |
183.104.***.***
뭔가 내글의 문맥을 잘못 잡으신듯? 잡싱크니 이런이야기가 아닌데요 그리고 이게임만의 문제일수도 있죠 75모니터에서 60제한으로 하는데 이상하게 귾긴다고 해서 적은 겁니다 표현이야 어찌됐든 뭐 의사전달만 돼면 돼는거라 생각하고 덜덜이라 쓰거구요 정확하게 뭐라해야 할지도 모르고 잘못된 지식이 아니라 고프레임 모니터를 한 7~8년 서오면서 아니 60인데 왜이리 끊기지라는 호기심에서 여러 테스트를 해보고 몸으로 체험한 걸 이야기 한겁니다 아니 근데 내가 뭐 공격적인 말을 하기라도 했나 왜 화나신 것처럼 보이죠? 165모니터에서 60제한걸고 하면 부드러워보이지 않는게 120이나 60으로 주사율 제한걸어 놓으면 더 부드러워 진다 말한겁니다 지싱크니 잡싱크니랑은 전혀 무관한 댓글이었음! | 23.01.26 19:06 | |
223.39.***.***
그래서 전제를 정확하게 까셔아 합니다 가변 주사율 없이 테스트 한거죠? 거기에 7년전 부터에서 유추 가능한건 지싱크 프리싱크 본격 출범 전이라 기것도 유추가능 해서 제가 덧글 달아 드린겁니다 요새는 대부분의 사용자가 가변주사율을 동반한 상황이고 제글에도 그거 어느정도 유추가능하게 적혀있습니다 그냥 이게임은 인게임 프레임 제한 조차 30>60>120으로 대강 지원 하듯이 차라리 외부 프로그램 프레임 제한이 더나은 상황이라는걸 잠정적으로 알려 드리는 겁니다 그리고 삼성23인치 120 tn 패널 모델 사용자로써 10년전 입니다^^ 고주사율이 희귀 그 자체이던 시절이니까 그냥 가변주사율 상정을 안하신거만 인정 하시고 답변 부탁드립니다 저는 집요한 사람 입니다^^ | 23.01.26 19:18 | |
183.104.***.***
뭐 요즘은 다 짭싱크 모니터니가요 짭싱크호환 킨거랑 별개로 게임상 프레임제한과 배수가 아닌 주사율 모니터 쓰면 그렇다는 겁니다 이건 한번 해보시면 바로 알 수 있음 뭐 이론이나 이런 건 모름 걍 60프레임이 60프레임 모니터때 와는 다르게 안 부드럽다에서 출발해서 이거 저거 테스트해보고 내린 결론일뿐! 그냥 내 경험과 테스트상 주사율과 게임 프레임이 동일해야 부드럽게 보인다는 이야기였을뿐! 일단 전 165나 144에서 60제한건것과 60프레임에서 60으로 게임하는차이가 느껴지긴 하네요 120에선 60과 차이가 없는 거 보면 그 이상의 배수에서도 차이가 거의 없을걸로 예상할뿐 60프레임 배수의 주사율에선 문제 없다고 위에 적어뒀음 240은 60의 배수이니 문제없죠 잡싱크 키나 안 키나 걍 이 게임이 똥이란것은 인정! | 23.01.26 21:41 | |
14.41.***.***
그 부분은 제가 그래서 미리 언급을 하였습니다 "논 싱크 기준으로는 회원님이 제시 하는 조건이 어느 정도는 맞습니다" 왜냐면 단순 이론이 아니라 제가 10년도 전에 고주사율 모니터 이야기를 언급 한건 회원님이 적어주신 내용은 논 싱크 기준 적용이 되요 진짜로.. 제가 딱히 회원님을 못 잡아먹어서 안달이 난게 아니라 전제 조건등이 확실하지 않으면 굉장히 많은 불필요한 잡담과 부연설명이 들어가고 그래도 동문서답형으로 서로간에 입장이 갈려서 논지가 아예 사라지면 아무런 의미가 없는 불필요한 덧글만 남게 됩니다 저는 그부분에 좀 집착을 하는 편입니다 당연히 프레임과 화면 갱신율 최대한 일치 시킨다는 관점에서 논 싱크 기준으로 회원님의 의견이 정말 현실 반영 됩니다 이것도 그 기본적인 원리는 가변 주사율이 가지는 프레임과 화면 갱신율 일치 시켜서 인간눈에 가장 부드럽게 보이겠다거와 일맥상통 하는 요소가 있거 든요 여기까지만 하겠습니다 회원님 이야기가 틀렸다는 이야기가 아니에요 | 23.01.26 22:08 | |
61.80.***.***
14.41.***.***
근본적으로 게임을 잘 못 만든 경우이기에 패치로 나아질 가능성은 사실상 zero입니다 이와 별개로 칼리스토 프로토콜은 개발자가 컴파일 최적화 패치를 열심히 하면 정상화될 케이스인데 애도 게임 플레이 자체가 에러인데다 개발자들이 먹튀짓 하려고 한 걸 보아서 딱히 기대가 안되는 케이스죠 그래서 이번에 나온 데드스페이스 리메이크가 참 잘 나온 것 같습니다 ^^ | 23.01.27 17:25 | |
12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