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최근방문
[기타] 삼성폰, 일본서 상승세…3분기 점유율 전년 동기의 3배 [21]
[광고]
50만대 출하, 점유율 6.7%...애플 점유율 63% 독주 지속
...
15일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3분기 일본 스마트폰 시장에서 50만대를 출하해 점유율 6.7%로 2위를 기록했다.
5
ID | 구분 | 제목 | 글쓴이 | 추천 | 조회 | 날짜 |
---|---|---|---|---|---|---|
2168012 | 기타 | 사쿠라모리 카오리P | 4 | 5059 | 2019.12.07 | |
2168007 | 기타 | 사쿠라모리 카오리P | 4 | 2294 | 2019.12.07 | |
2168001 | 기타 | 페시미스트-미국춤™ | 2 | 4854 | 2019.12.07 | |
2167999 | 휴대기기 | 불멸 이재명 | 1261 | 2019.12.07 | ||
2167994 | 기타 | 요트맨470 | 1 | 2993 | 2019.12.07 | |
2167993 | 휴대기기 | 스텔D | 2 | 3984 | 2019.12.07 | |
2167990 | 휴대기기 | 스텔D | 1 | 4121 | 2019.12.07 | |
2167988 | 휴대기기 | 스텔D | 11 | 9549 | 2019.12.07 | |
2167983 | 기타 | 오버테크 | 4 | 3709 | 2019.12.07 | |
2167977 | 기타 | 하렌쿠우 | 2 | 4627 | 2019.12.06 | |
2167957 | 기타 | 오버테크 | 17 | 4063 | 2019.12.06 | |
2167950 | 윈도우폰 |
41만원짜리 폴더블폰 출시
(35)
|
아베후쟝근손실엔틱기어박근혜 | 14190 | 2019.12.06 | |
2167938 | 기타 | 요트맨470 | 1 | 728 | 2019.12.06 | |
2167928 | 기타 | 란마다 | 11 | 24249 | 2019.12.05 | |
2167920 | 휴대기기 | Solunar | 8 | 6368 | 2019.12.05 | |
2167908 | 기타 | 사쿠라모리 카오리P | 5 | 4055 | 2019.12.05 | |
2167907 | 기타 | FE3 | 2817 | 2019.12.05 | ||
2167906 | 기타 | 사쿠라모리 카오리P | 1206 | 2019.12.05 | ||
2167905 | 기타 | 사쿠라모리 카오리P | 2 | 1982 | 2019.12.05 | |
2167897 | 휴대기기 | 스텔D | 8 | 11730 | 2019.12.05 | |
2167896 | 휴대기기 | Saminet | 3899 | 2019.12.05 | ||
2167895 | 기타 | 요트맨470 | 3 | 843 | 2019.12.05 | |
2167894 | 기타 | 요트맨470 | 4 | 3214 | 2019.12.05 | |
2167885 | 기타 | 사쿠라모리 카오리P | 1 | 1293 | 2019.12.05 | |
2167870 | 기타 | 요트맨470 | 3 | 3880 | 2019.12.04 | |
2167862 | 휴대기기 | 사쿠라모리 카오리P | 2245 | 2019.12.04 | ||
2167861 | 기타 | 요트맨470 | 4 | 3641 | 2019.12.04 | |
2167856 | 기타 | 르카르도 | 2 | 3390 | 2019.12.04 |
122.46.***.***
근데 일본에서 철수한 해외브랜드가 한두개가 아닙니다. 수십년전부터 일본은 수입산을 잘 안썼죠. 오죽하면 80년대 미국이 수입늘리라고 압박을 넣었는데도 국민들이 안사서 어쩔 수가 없었던
112.175.***.***
일본사람들 이미지에는 삼성 브랜드가 저가 이미지가 무척 큽니다. 90년대 삼성 가전제품은 일본에서 저렴해서 나름 잘팔렸는데, 어느날 삼성이 일본에서 철수하면서 이때 안좋은 이미지가 생겼던 것이죠 즉 일본인 입장에서 삼성은 과거 90년대 처럼 일본에서 또 철수 할 수 있다는 인식이 있어서, 100만원 넘는 스마트폰 구입하는데 망설여 지는 거죠 참고로 일본에서 LG는 나름 먹여줍니다. 특히 게임 TV 수요 쪽에서 먹여준다고 하더군요
61.197.***.***
삼성 로고 안쓴건 꽤 오래전부터..
61.205.***.***
그건 아닙니다. 몇년전부터 삼성로고 없애고 갤럭시로 밀고 있었으니...
134.180.***.***
일본에서 안팝니다 티비자체를 일본에선 반도체랑 휴대폰 웨어러블만 판매
114.159.***.***
112.175.***.***
223.38.***.***
자국 전자산업을 다 죽여놔서 짝나서 안쓰는거 아니였나요? | 19.11.15 10:58 | | |
106.249.***.***
61.205.***.***
케형
그건 아닙니다. 몇년전부터 삼성로고 없애고 갤럭시로 밀고 있었으니... | 19.11.15 10:57 | | |
61.197.***.***
케형
삼성 로고 안쓴건 꽤 오래전부터.. | 19.11.15 11:35 | | |
126.182.***.***
갤3때까지는 삼성로고 달고도 주간 점유율 1위 자주 했었음 | 19.11.15 11:39 | | |
110.70.***.***
그렇게 오래 안됨. 이제서야 서서히 그 효과가 나타나는 것. 삼성전자 이름걸면 바로 망함. | 19.11.15 12:19 | | |
182.220.***.***
그것보다는 화웨이가 미국 제재 받으면서 안드로이드 못 쓰게 되니까 갈아타는 사람들 많아짐. 소니는 가성비 쓰레기고 삼성이 이번에 A 시리즈 각 잡고 제대로 가성비 좋게 출시해서 상대적으로 타사 보다 좋긴 함. | 19.11.15 12:58 | | |
175.223.***.***
삼성 로고 지운지 불과 몇년 안되었음. 실제 일본에서 삼성전자는 저가상품이란 인식이 박혔고 사업접어야할 위기였는데, 삼성로고를 지우고 갤럭시 로고만 사용하는 강수를 둠. 이후 판매량이 조금씩 늘다가 지금까지 오게된 것. 이제서야 브랜드를 감춘 효과가 나타나는 거라고 보면 됨. 삼성전자 이미지는 폭망이라서 삼성전자를 지워버리니 판매량이 개선된 것. | 19.11.28 12:10 | | |
112.175.***.***
일본사람들 이미지에는 삼성 브랜드가 저가 이미지가 무척 큽니다. 90년대 삼성 가전제품은 일본에서 저렴해서 나름 잘팔렸는데, 어느날 삼성이 일본에서 철수하면서 이때 안좋은 이미지가 생겼던 것이죠 즉 일본인 입장에서 삼성은 과거 90년대 처럼 일본에서 또 철수 할 수 있다는 인식이 있어서, 100만원 넘는 스마트폰 구입하는데 망설여 지는 거죠 참고로 일본에서 LG는 나름 먹여줍니다. 특히 게임 TV 수요 쪽에서 먹여준다고 하더군요
121.65.***.***
이게 맞음 일본은 한국 차별한다 그렇게 얘기들 하는데 한번 철수한 전적이 브랜드이미지에 미친 영향을 전혀 고려안하고 욕박는거보면 뭐.. | 19.11.15 11:55 | | |
122.46.***.***
polnmty
근데 일본에서 철수한 해외브랜드가 한두개가 아닙니다. 수십년전부터 일본은 수입산을 잘 안썼죠. 오죽하면 80년대 미국이 수입늘리라고 압박을 넣었는데도 국민들이 안사서 어쩔 수가 없었던 | 19.11.15 12:12 | | |
210.94.***.***
빅카메라 가보니 티비매장 대부분 소니를 비롯한 일본 브랜드에 LG는 조금 있고 삼성은 아에 안보이더군요 | 19.11.15 13:11 | | |
134.180.***.***
시팅준밍
일본에서 안팝니다 티비자체를 일본에선 반도체랑 휴대폰 웨어러블만 판매 | 19.11.15 14:04 | | |
49.173.***.***
일본에서 삼성이 저가 이미지는 아니죠 일본사람들 생각이 90년대에 멈춰 있는것도 아닌데 무슨 저가 이미지요? 일본은 자동차도 자국산만 팔려요 | 19.11.16 11:30 | | |
180.31.***.***
175.223.***.***
39.7.***.***
59.0.***.***
일본 가보면 알게 됩니다. 서비스 수준이 엄청나요 오늘 나온 만화 단행본도 바로바로 뜨고 ㅋ60년대 포크송도 바로 들을 수 잇음. 책이나 신문은 말할 것도 없고 | 19.11.16 13:19 | | |
106.250.***.***
보조금을 왕창풀어서... 이제 일본도 단통법 비슷한거 시행중이라 상황이 좀더 다변화될거임 | 19.11.18 11:20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