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보면서 잠깐씩 중요하다고 생각한 거만 번역해봤습니다. 의역 많습니다
1. 정식 출시된 레지던트 이블 4 RE는 데모 버전과 거의 같은 그래픽과 성능을 가집니다.
2. PC 에서의 좋은 면은 PC 버전이 콘솔 버전보다 성능 , 텍스처, 머리카락 렌더링에 더 좋은 모습을 보여줍니다.
3. PC 에서의 안좋은 면은 약간의 퍼포먼스 문제와 에러 (튕김) 이슈가 있습니다.
4. 과거의 게임들 보다 다양한 그래픽 옵션 선택을 제공하는 것은 좋지만, 해상도 옵션 변경시 바로 해상도가 변경 되어 변경 중 모니터 신호가 끊기고 마우스 커서가 해상도 선택 박스에서 벗어 납니다. 이건 나쁜 유저 경험입니다.
5. 또 다른 나쁜 유저 경험의 예는 게임중 퍼포먼스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옵션 (레이트레이싱 , 헤어 스트렌드 , 시신 물리 등)을 게임중에 변경할 수 없습니다.
6. re엔진 게임들의 이미지 퀄리티가 좋아 보이지 않습니다. 안티에일리어싱 TAA는 게임에 잘 적용된 거 같지 않으며 샤프닝 조절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TAA는 계단 제거 효과에 탁월하지만 텍스처를 흐리게 만들어 몇몇 게임은 샤프닝 조절 기능을 제공하고 있음)
7.인터레이스 렌더링 모드는 정말 쓸모가 없습니다. 적용시 게임이 끔찍해 보이며 TAA는 제대로 작동하는 거 같지 않고 안티에일리어싱이 아예 없는 거 처럼 보입니다.
8. FSR1 성능이 안좋으니 선택할 필요가 없고 아래와 같은 세팅을 추천합니다.
AMD 유저는 네이티브 해상도에 TAA 또는 4K 해상도에 FSR2 품질 세팅
NVIDIA 유저와 인텔 유저는 XESS와 DLSS를 위한 RE프레임워크 모드를 설치합니다.
9. RTX 그래픽카드의 유저인 경우 VRAM (비디오 메모리) 관련하여 게임이 크래시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화자의 경우는 그림자 퀼리티를 '최대'에서 '높음'로 내렸더니 게임 재부팅 후 게임이 튕기지 않았습니다.
원래 VRAM의 용량 넘어가는 경우 가상 메모리로 자원이 넘어가 프레임, 퍼포먼스가 낮아지는 경우가 있어도 게임이 튕기는 경우가 있으면 안됩니다.
여기부터 알렉스의 최적화 세팅
1. 퍼포먼스를 중요시 한다면 헤어 스트렌드를 끄세요
2. 레이트레이싱을 끄세요 콘솔 퍼포먼스 레벨에 최적화된 게임이라 괜찮은 레이트레싱이 아닙니다.
3. 사진처럼 텍스처 8GB를 무턱대고 설정하는 것이 아닌
해상도와 텍스처 옵션 조합에 따른 지형 텍스처 렌더링이 다 다르니 자신의 시스템에 맞는 텍스처 옵션을 찾으세요
전 이 게임의 텍스처 캐시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모르겠습니다.
39.116.***.***
4번 항목은 RE시리즈 전통적 단점인데 옥의 티 같음 올만에 실행했더니 해상도 어정쩡하게 설정돼있어서 본래 4K로 맞출려고 하니까 모니터 블랙아웃 반복이 아주 그냥 난리도 아니었음 또한 RE엔진의 RT는 반사같은 눈에 확 드러나는 효과와는 결을 달리 하는 것으로 보임 (RE2~3, 빌리지의 선례와 본작의 경험을 봤을 때)
210.99.***.***
ign 리뷰에서 2070 이면 콘솔이랑 근접한 퍼포먼스 보인다는 이야기 거짓말이 아니였네
39.116.***.***
4번 항목은 RE시리즈 전통적 단점인데 옥의 티 같음 올만에 실행했더니 해상도 어정쩡하게 설정돼있어서 본래 4K로 맞출려고 하니까 모니터 블랙아웃 반복이 아주 그냥 난리도 아니었음 또한 RE엔진의 RT는 반사같은 눈에 확 드러나는 효과와는 결을 달리 하는 것으로 보임 (RE2~3, 빌리지의 선례와 본작의 경험을 봤을 때)
210.99.***.***
210.99.***.***
멸균중
ign 리뷰에서 2070 이면 콘솔이랑 근접한 퍼포먼스 보인다는 이야기 거짓말이 아니였네 | 23.03.30 07:17 | | |
220.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