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기 좀 썼습니다.)
비디오 게임 업계는 현재 TV산업과 영화 산업을 합친 것 보다 큽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디오 게임에서 작곡을 하는 사람들은 영화, TV쇼에서 작곡할때 보다 돈을 덜 받곤 합니다.
영화와 TV쇼에서 음악을 만드는 작곡가들은 음악을 작곡하고 녹음하는데 드는 비용을 포함한 수수료를 받습니다.
또 그 영화나 TV쇼가 방송되거나 스트리밍 될 때 추가적으로 로열티를 받습니다.
이를 공연 저작권료라 하는데, 대부분의 나라에서 연극 전시회를 통해 같은 방식으로 돈을 받습니다.(미국에선 안그럽니다.)
또한 대부분의 나라에서 공연 저작권료 외에도 기계적인 복제 저작권료를 지불합니다.
하지만 비디오 게임 작곡가들은 이러한 저작권료를 받지 못합니다.
게임과 게임 플레이의 초기 배포 방식이 TV나 영화 음악과 다른 방식으로 운영된 것이 이어진 것인데
예를 들자면, 90년대에도 게임은 카트리지로 배포됐고, 콘솔의 하드웨어 칩셋을 위해 음악을 작곡했습니다.
이후 비디오 게임 산업의 규모가 엄청나게 커지는 동안에도 게임 작곡가들은 반세기 전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보상을 받았습니다.
비디오 게임 작곡가들은 현재 TV쇼나 영화 작곡가들과 마찬가지로 많은 요구사항을 받으며 작곡중이고
게임의 스케일이 크다보니 영화나 TV보다 더 많은 음악을 만들기도 합니다.
또한 게임이 콘솔 외에도 PC나 모바일로 나아가고, 다운로드, 구독, 게임내 재화 등으로 돈을 벌고 있지만
비디오 게임 작곡가들이 이러한 새로운 수익 시스템으로 돈을 더 받는 일은 없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 할리웃 노동조합에선 비디오 게임 작곡가들의 로열티에 대한 변화를 요구중입니다.
(IP보기클릭)119.201.***.***
이건 단순 임금체불의 문제가 아니라 계약 자체가 개정이 필요하다는 취지입니다.
(IP보기클릭)1.239.***.***
요즘엔 ost 공개될때 게임사 이름 아니라 작곡가나 가수이름으로 내주는경우 많이 늘었던데
(IP보기클릭)80.169.***.***
이 정도면 개발자들도 슬슬 파업하지 않을까 싶음. 가장 핵심적인 일을 하는 사람들이 이런 상황을 관망만 하고 있지 않을 듯
(IP보기클릭)223.39.***.***
썼음 진작에 썼을텐데 왜 안쓰는지 생각 안해보셨군요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119.201.***.***
나는야 멀티유저
이건 단순 임금체불의 문제가 아니라 계약 자체가 개정이 필요하다는 취지입니다. | 23.09.27 05:47 | | |
(IP보기클릭)1.239.***.***
요즘엔 ost 공개될때 게임사 이름 아니라 작곡가나 가수이름으로 내주는경우 많이 늘었던데
(IP보기클릭)80.169.***.***
이 정도면 개발자들도 슬슬 파업하지 않을까 싶음. 가장 핵심적인 일을 하는 사람들이 이런 상황을 관망만 하고 있지 않을 듯
(IP보기클릭)121.135.***.***
(IP보기클릭)203.243.***.***
(IP보기클릭)180.231.***.***
(IP보기클릭)122.42.***.***
(IP보기클릭)182.219.***.***
AI가 짠 시나리오 봤어요? 개구려요. 음악도 마찬가지예요. 독창적인 거 절대 못 만들어요. | 23.09.27 08:31 | | |
(IP보기클릭)223.39.***.***
루리웹-1800906264
썼음 진작에 썼을텐데 왜 안쓰는지 생각 안해보셨군요 | 23.09.27 09:00 | | |
(IP보기클릭)122.42.***.***
미국에선 이미 AI가 서브 작가 할 일 다 가져가고 있어서 파업하고 있는데여? | 23.09.27 12:18 | | |
(IP보기클릭)122.42.***.***
지금 쓰고있는데요. 너무 잘 쓰고 있어서 대규모 파업 일어나가지고 헐리웃 영화들이 줄줄히 밀리고 있는거 몰?루??? | 23.09.27 12:19 | | |
(IP보기클릭)119.203.***.***
잘 모르는 모양인데 절대 그런거아님 | 23.09.27 12:37 | | |
(IP보기클릭)122.42.***.***
ㄴㄴ 잘 알고있음 극소수의 장인들만 살아남을꺼고 그 아래에서 보조하는 역할은 AI가 다 대체 가능함. 당장도 어설프다곤 하는데 그래도 아마추어나 견습생들보다는 세계관 설정 훨씬 잘 짬. 앞으로 디즈니같은 대기업이 잡고 계속해서 AI사업에 투자하게 되면 앞으로 10년도 안되서 전문가 수준으로 업그레이드 가능하다는 전망. 어차피 시나리오도 메인 극소수 빼고는 아래 업무는 노가다성 작업인데 드라마 하나 만들 때 발생하는 수십명의 업무를 AI혼자 다 케어하게 될꺼임. 지금 음악도 이미 딱 3초만 들려주면 알아서 이어서 연주해주거나 원음악에 살을 붙여주거나 변주를 주거나 하는 식의 AI연구결과가 쏟아지고 있음. 거짓말 안하고 음악쪽은 진짜로 AI랑 사람이랑 구분 안 됨. 당장 사회적 파장이 너무 클 것 같아 다들 뒤로 물러서 있는거지 작정하고 파고 들어가기 시작하면 시나리오보다 더 빨리 침투할게 AI음악 사업임. | 23.09.27 12:56 | | |
(IP보기클릭)122.42.***.***
현직자들도 그걸 잘 알고있으니까 당장 지금은 우리 역할을 완벽히 대체 못하는 지금 이 골든타임에 AI 도입반대니 AI 학습 금지니 하면서 파업하고 있는거잖슴? 이건 버티면 AI가 무조건 이기는 싸움임. | 23.09.27 12:59 | | |
(IP보기클릭)119.203.***.***
ㄴㄴ 그런거 절대아님 | 23.09.27 14:43 | | |
(IP보기클릭)118.36.***.***
(IP보기클릭)39.7.***.***
(IP보기클릭)125.133.***.***
(IP보기클릭)175.211.***.***
(IP보기클릭)21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