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비디오 게임 구독 시장은 플레이어 지출 측면에서 정체기에 접어든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분석 업체 Circana의 새로운 데이터에 따른 것입니다.
6월 7일, Circana의 매트 피스카텔라 전무이사는 자사의 게임 시장 역학 보고서에서 한 가지 구체적인 통계를 공유했습니다. 2023년 4월, 미국의 게임 구독 지출은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2% 증가에 그쳤습니다.
피스카텔라는 "콘솔 소유층을 넘어서는 신규 구독자를 확보하는 것은 지금까지 매우 어려웠습니다."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또한 "반면에 2023년에 출시될 대작 프리미엄 신작은 특히 디지털 분야에서 좋은 성과를 거두었습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신규 가입자 유치의 문제는 시장의 두 가지 주요 서비스인 Microsoft의 Game Pass와 Sony의 PlayStation Plus를 살펴보면 명확하게 드러납니다
•소니는 최근 비즈니스 브리핑에서 전체 사용자 중 800만 명(17%)이 프리미엄 티어에 가입하고 610만 명(13%)이 PS+ 엑스트라를 사용한다고 자랑했습니다
•3월 31일에 마감된 22 회계연도 보고서에 따르면, PS Plus 가입자 수는 4,740만 명으로 21 회계연도 4분기 말(2022년 3월 31일)과 비교하여 제로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FY20 말(2021년 3월 31일)의 가입자 수 4,760만 명에 비해서도 소폭 감소한 수치입니다
•전반적으로 PS Plus 가입자 수는 빠르게 증가하지 않았으며, 4,500만 명을 돌파한 2020년 6월(Statista 기준) 이후 정체 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Game Pass의 경우 2022년 1월에 구독자 수가 2,500만 명을 돌파했지만 Microsoft는 그 이후로 데이터를 업데이트하지 않았습니다
•필 스펜서에 따르면, 회사는 Game Pass가 주요 수입원이 될 것으로 기대하지 않으며 "전체 매출의 10~15%에 머물고 수익성이 있다면 괜찮다"고 말합니다
•그 외에 Microsoft는 PC Game Pass 구독이 159% 성장했다는 것과 같은 모호한 통계만 공유하는 것을 선호하는데, 이는 화려하게 들리지만 서비스의 실제 상태에 대해서는 많은 것을 말해주지 않습니다
•그러나 소니는 2022년 10월 영국 경쟁 및 시장 당국에 제출한 답변서에서 "Game Pass의 구독자 수는 2,900만 명이며 앞으로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모든 데이터는 Circana의 연구 결과와 일치합니다. 성장 둔화는 피할 수 없지만, 더 중요한 문제는 신규 가입자를 유치하지 않고도 PS Plus 및 Game Pass와 같은 수익성 있는 서비스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104.28.***.***
애초에 상황이 좋았으면 게임패스에 호그와트 레거시나 스타워즈나 서드 신작들도 줄줄이 들어왔겠죠
39.122.***.***
1.풀프라이스 게임구매를 망설이게 함 2.구독제 올라오기만을 기다림 3.게임불감증 올확율 대단이 높음 4.고민해서 구매한게 아니라 쉽게 접음 5.구독제 해보고 게임산다는건 ㅋ 구독제 올라간 순간 그게임의 수명자체가 끝났다 봐도 무방 구독제 한달하고 바로 해제 했네요...
110.70.***.***
플스랑 엑박 보급대수 차이를 감안해도 엑박에선 AAA급 게임들이 너무 안 팔리더라고요. 사실상 판매저하요인...
39.122.***.***
1.풀프라이스 게임구매를 망설이게 함 2.구독제 올라오기만을 기다림 3.게임불감증 올확율 대단이 높음 4.고민해서 구매한게 아니라 쉽게 접음 5.구독제 해보고 게임산다는건 ㅋ 구독제 올라간 순간 그게임의 수명자체가 끝났다 봐도 무방 구독제 한달하고 바로 해제 했네요...
110.70.***.***
루리웹-9603615534
플스랑 엑박 보급대수 차이를 감안해도 엑박에선 AAA급 게임들이 너무 안 팔리더라고요. 사실상 판매저하요인... | 23.06.08 22:36 | | |
222.108.***.***
104.28.***.***
애초에 상황이 좋았으면 게임패스에 호그와트 레거시나 스타워즈나 서드 신작들도 줄줄이 들어왔겠죠
210.103.***.***
210.103.***.***
결국 가장 중요한 콘솔에서 충실한 경험을 제공해야 하는데 듀얼센스의 차별화에 엑박은 고가의 장비에서나 미세한 차별화되는 애트모스 돌비비전만 있어서 스팀과 에픽에 차별점도 없음. 결정적으로 피씨유저들은 굉장히 스팀에 충성적이라 엑박에 라이브러리 축적은 거의 안하니까요. | 23.06.08 22:39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