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페이 이용 시 비자·마스터카드에 토큰 발행 명목으로 건당 30원 지급
애플페이 평균 건당 결제액 약 1만3000원의 0.23% 수준… 결제 수수료인 0.15%보다 높아
머니투데이
머니투데이
ID | 구분 | 제목 | 글쓴이 | 추천 | 조회 | 날짜 |
---|---|---|---|---|---|---|
2269394 | 아이폰 | 0M0) | 2 | 4105 | 2025.03.16 | |
2269383 | 기타 | 사쿠라모리 카오리P | 23 | 22909 | 2025.03.15 | |
2269362 | 아이폰 | Landsknecht™ | 12 | 10089 | 2025.03.15 | |
2269361 | 기타 | 사쿠라모리 카오리P | 3 | 3588 | 2025.03.15 | |
2269360 | 아이폰 | 특이점온다 | 7 | 11459 | 2025.03.15 | |
2269359 | 아이폰 | 루리웹-9024997701 | 1046 | 2025.03.15 | ||
2269355 | 아이폰 | 0M0) | 3 | 8086 | 2025.03.15 | |
2269354 | 맥 | 페도라 | 3 | 3688 | 2025.03.14 | |
2269352 | 아이폰 | 루리웹-0361909151 | 4 | 10135 | 2025.03.14 | |
2269350 | 아이폰 | Landsknecht™ | 14 | 9430 | 2025.03.14 | |
2269347 | 아이폰 | 사쿠라모리 카오리P | 7 | 8804 | 2025.03.14 | |
2269331 | 기타 | 사쿠라모리 카오리P | 6 | 6297 | 2025.03.14 | |
2269328 | 기타 | 0M0) | 2 | 2336 | 2025.03.14 | |
2269323 | 아이폰 | 루리웹-0361909151 | 9 | 8938 | 2025.03.14 | |
2269319 | VR | 심심해♥ | 8 | 6382 | 2025.03.14 | |
2269318 | 아이폰 | Exclusive | 8 | 9865 | 2025.03.14 | |
2269299 | 아이폰 | 스텔D | 19 | 8879 | 2025.03.14 | |
2269276 | 아이폰 | 스텔D | 12 | 15946 | 2025.03.13 | |
2269254 | 아이폰 | Landsknecht™ | 5 | 8728 | 2025.03.13 | |
2269253 | 아이폰 | 사쿠라모리 카오리P | 2 | 2868 | 2025.03.13 | |
2269249 | 아이폰 | 루리웹-0361909151 | 9 | 6817 | 2025.03.13 | |
2269234 | 아이폰 | 루리웹-0361909151 | 9 | 9201 | 2025.03.13 | |
2269225 | 맥 | 사쿠라모리 카오리P | 1 | 4090 | 2025.03.13 | |
2269222 | 아이폰 | 루리웹-0361909151 | 18 | 18348 | 2025.03.13 | |
2269218 | 아이폰 | Landsknecht™ | 4 | 8301 | 2025.03.13 | |
2269210 | 아이폰 | 루리웹-0361909151 | 1 | 2940 | 2025.03.13 | |
2269209 | 아이폰 | 루리웹-0361909151 | 1 | 3060 | 2025.03.13 | |
2269202 | 아이폰 | 0M0) | 6 | 11296 | 2025.03.12 |
(IP보기클릭)1.243.***.***
현대카드가 1위해서 지네들이 급해서 애플한테 수수료까지 준다면서 하는데 발광을하네 ㅋㅋㅋㅋ 돈 안되면 안할쌔끼들이 카드사다 으이구
(IP보기클릭)121.173.***.***
그게 꼬우면 EMV 규격 만들때 참여를 하든가... 돈 들여서 표준 제정에 참여하는거도 싫고 나중에 국제 규격 쓰면서 나가는 돈도 싫고 뭐 어쩌란건지 모르겠네요 돈 나가는게 아까워? "그럼 죽어"
(IP보기클릭)1.252.***.***
언플 본격적으로 하는거 보니 곧 다른 카드사들도 애플페이 들어오겠네
(IP보기클릭)1.243.***.***
현대카드는 좋은카드가 없음 단종 많이시켜도됨 원래 쓰레기
(IP보기클릭)114.206.***.***
현카 애플페이 나오기 전이랑 똑같은 반응이구만
(IP보기클릭)222.107.***.***
(IP보기클릭)211.36.***.***
대표적인 허위 사실입니다. 한국의 신용카드(체크카드) 평균 수수료율은 OECD 평균보다도 높은 수준으로 한국 카드사들이 매년 수조원대 영업이익(매출 X) 남길 수 있는 EU 입니다. ”현재 외국의 경우, 신용카드 수수료가 평균 1.58%, 직불카드는 0.47%이다. 한국의 신용카드 수수료는 현재 약 1.8~2.3%, 체크카드는 약 1.7%로 외국의 평균에 비하여 높은 수준이다. 신용카드 수수료를 국가별로 본다면 미국이 2%, 영국이 1.65%, 프랑스는 0.7%, 덴마크는 0.95%이다. 직불카드 수수료를 국가별로 본다면 미국이 0.7%, 영국이 0.3%, 프랑스는 0.7%, 덴마크는 0.15%로 가장 낮다. 이처럼 우리나라는 체크카드 수수료가 선진국 평균에 비하여 많이 높다.“ http://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464277 | 25.03.10 00:30 | | |
(IP보기클릭)1.243.***.***
현대카드가 1위해서 지네들이 급해서 애플한테 수수료까지 준다면서 하는데 발광을하네 ㅋㅋㅋㅋ 돈 안되면 안할쌔끼들이 카드사다 으이구
(IP보기클릭)1.243.***.***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루리웹-7922566397
현대카드는 좋은카드가 없음 단종 많이시켜도됨 원래 쓰레기 | 25.03.09 18:59 | | |
(IP보기클릭)210.179.***.***
루리웹-7922566397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같이 소상공인한테 수수료 받아가는 간편결제서비스들한테는 별 말 안하던데 | 25.03.09 19:12 | | |
(IP보기클릭)210.179.***.***
루리웹-7922566397
매출에 따라 수수료에 차등을 둘 뿐 기본적인 수수료가 발생되는데 왜 무료지? | 25.03.09 19:45 | | |
(IP보기클릭)210.179.***.***
루리웹-7922566397
? 카드결제 말고도 계좌이체나 포인트결제도 있는데 무슨 애시당초 돈 벌려고 운영하는 서비스가 수수료가 없다고 생각하는 게 웃기는 거 아닌가 | 25.03.09 19:50 | | |
(IP보기클릭)210.179.***.***
루리웹-7922566397
"기업들 이권다툼에 소비자들만 피해보는 형태"에 기형적인 간편결제 환경때문에 emv기반 간편결제 서비스들 진입에 차질이 있었던 것도 포함된다는 생각은 못함? | 25.03.09 20:14 | | |
(IP보기클릭)210.179.***.***
루리웹-7922566397
...네이버가 네이버페이 현장결제 수수료 8개월 치를 돌려주기로 했다.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관련 간편결제 시장 규모를 고려하면 환급 총액은 1억원 안팎일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파이낸셜은 지난해 11월 1일부터 오는 6월 30일까지 발생한 네이버페이 현장결제 수수료 전액을 환급한다고 20일 밝혔다. 해당 서비스에 가입한 사업자는 10만여 곳 정도로, 오는 7월 9일까지 네이버 캠페인 페이지에서 결제 수수료 환급 신청을 하면 된다. 수수료는 오는 7월 26일 일괄 지급된다. 네이버페이 현장결제는 제로페이처럼 QR코드 인증을 통해 이뤄진다. 온라인에서 적립·충전한 네이버페이 포인트를 사용해 편의점이나 커피·음료 전문점 등 네이버페이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결제할 수 있다. https://economist.co.kr/article/view/ecn202105220001 서비스 확산을 위해 부분적으로 수수료 환급이벤트를 했던거지 수수료 자체는 무조건 발생하는 구조임. 애시당초 운영비용이 있는데 어떻게 무료일거라 생각하는거지? | 25.03.09 20:15 | | |
(IP보기클릭)221.150.***.***
네이버페이같은경우는 플랫폼 수수료가 없다고 안내하는서같더군요. 다만 네이버페이포인트같은걸로 결제할경우는 직불결제수단에 준하는 수수료를 받는다고합니다. | 25.03.09 20:31 | | |
(IP보기클릭)210.179.***.***
결국 기본적인 비용은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 소리지 결론적으로. 애시당초 전산 유지비용때문에라도 완전 무료라는 말 자체가 불가능하고. 간편결제서비스회사들이 자선단체는 아니니까. 결국 어떤 식으로든 서비스운영을 위한 수수료가 발생하는 구조고, 무료라 하더라도 서비스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반드시 어떤 식으로든 이득을 보는 구석이 있어서 무료로 운영하는건데 소비자들 혜택을 명분삼아 특정서비스만 공격하는 건 모순이라는 소리. | 25.03.09 20:36 | | |
(IP보기클릭)221.150.***.***
첨부하신 기사는 2021년도인데 저때는 네이버페이에 카드결제가 아마 없었을때던가 그럴겁니다. 해당기사에서도 체크카드에 준하는~ 수수료라고 적혀있네요. 여튼 운영비를 충당해야하는건 맞지만, 간편결제 플랫폼수수료가 없는건 맞기때문에 현장결제에서 딱히 수익을 보는 구조는 아닌걸로 보입니다. | 25.03.09 20:38 | | |
(IP보기클릭)211.36.***.***
루리웹-7922566397
한국 카드 수수료 수입 전혀 낮지 않습니다. 관련 링크(https://www.nicerating.com/common/fileDown.do?docId=9c2cb6d0-89e1-4016-a760-970cbd3e8f08)에 나온것처럼 2022년 기준 한국의 평균 가맹점 수수료율은 1.34%입니다. 우대수수료와 환급을 모두 감안해도 한국 카드사들은 평균적으로 모든 거래에서 1.34%의 수수료를 받아갑니다. 반면 호주 중앙은행이 조사한 자료(https://www.rba.gov.au/payments-and-infrastructure/review-of-retail-payments-regulation/2024/merchant-card-payment-costs-and-surcharging-issues-paper.html)에 의하면 신용카드 데빗카드를 모두 합친 평균 카드 수수료(MSF)률은 미국을 제외한 모든 나라들이 1.4%는 커녕 0.8%도 넘지 못하고 있습니다. 왜냐면 해외는 한국과 다르게 대형 프랜차이즈에서도 수수료가 거의 없는 데빗카드(체크카드)가 거래의 대부분을 차지하거든요. 한국은 반대로 수수료가 높은 신용카드결제가 거의 대부분이라 평균적으로 받는 수수료율이 다른 나라의 2배 가까이되는데 왜 수입을 못올린다는겁니까? 당장 작년 한국 카드사 수수료수입 7조가 넘습니다. 상식적으로 카드사 적격비용이 7조가 넘어서 사업 자체가 적자겠습니까? 그랬으면 당장 사업 접었겠죠? | 25.03.10 01:16 | | |
(IP보기클릭)1.252.***.***
언플 본격적으로 하는거 보니 곧 다른 카드사들도 애플페이 들어오겠네
(IP보기클릭)121.173.***.***
그게 꼬우면 EMV 규격 만들때 참여를 하든가... 돈 들여서 표준 제정에 참여하는거도 싫고 나중에 국제 규격 쓰면서 나가는 돈도 싫고 뭐 어쩌란건지 모르겠네요 돈 나가는게 아까워? "그럼 죽어"
(IP보기클릭)211.234.***.***
emv이름 부터가 europay master visa 일꺼임 사실상 독점하는 업체들이 향후에도 독점하기 위해 만든 표준이라... 우리나라는 당연 못낌 | 25.03.10 16:41 | | |
(IP보기클릭)114.206.***.***
현카 애플페이 나오기 전이랑 똑같은 반응이구만
(IP보기클릭)104.28.***.***
당시 세상 망한듯 한탄하던애들은 정체가 뭔지 궁금함 ㅋㅋ 금감원인가 거기서도 카드사 대표들불러서 긴급 회의열고 현대카드만 가능한건 공정하지 못하다며 호소하고 몇달 연기시키고 | 25.03.09 19:08 | | |
(IP보기클릭)210.179.***.***
(IP보기클릭)121.173.***.***
저도 그 글 댓글 봤는데 꼬우면 미국가서 쓰던가 소리로 귀결 되더라고요. 애플페이와 EMV 국내 도입에 대한 반대세력 다 여기에 지령받고 모였구나 싶었던 | 25.03.09 23:05 | | |
(IP보기클릭)223.39.***.***
(IP보기클릭)220.92.***.***
(IP보기클릭)221.163.***.***
(IP보기클릭)211.51.***.***
여봐라~~~ 조선 팔도 동서남북에 척화비를 세우거라~~~ | 25.03.09 20:33 | | |
(IP보기클릭)119.18.***.***
(IP보기클릭)210.179.***.***
이미 EMVco 소속회사들한테 수수료 지급하고 있는 것 같은데. ...해외 가맹점에서 결제를 하면 외국 카드사들은 소비자로부터 브랜드수수료를 받는다. 비자는 결제액의 1.1%, 마스터카드는 1%다. 해외겸용 카드로 국내에서 결제하면 외국 카드사들은 결제액의 0.04% 정도를 국내 카드사한테서 받는다. 이 외에도 국내 카드사들은 카드 1장당 발급유지수수료, 거래 건당 데이터 처리비 등 명목으로 일정 금액을 외국 카드사에 낸다. 카드사는 이런 비용을 고객의 연회비 등으로 충당해오고 있다. 근데 이건 카드사들이 알아서 할 일이지, 소비자들이 신경을 써줘야 하나...? 국내전용카드에 혜택을 몰아주거나 해서 국내전용카드를 사용하게끔 유도하면 될 일이고. | 25.03.09 23:26 | | |
(IP보기클릭)14.32.***.***
(IP보기클릭)220.118.***.***
(IP보기클릭)182.231.***.***
그런 논리로 가면 쟤네들은 최대한 비접촉결제 은폐할놈들이라 ㅋㅋ | 25.03.10 00:29 | | |
(IP보기클릭)182.231.***.***
(IP보기클릭)211.192.***.***
(IP보기클릭)219.249.***.***
(IP보기클릭)211.234.***.***
(IP보기클릭)211.234.***.***
개시키 들이라도 옆동내 양아치에게 상납금 내는게 짜증나는 거 같음. EMV표준에 국내 업체 왜 안했냐고 하기에는... 저쪽도 철저히 자기들끼리 하는거라 우리나라는 안끼어줌... | 25.03.10 16:38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