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막 무침을 먹어야 하는데 집에 야채가 없군요.
그러니 야채 수집부터 해야합니다.
집 뒷마당으로 가봅니다.
이 시기가 되면 집에 개들이 마당 나가면 뜯어먹는 풀입니다.
꽃이 냉이와 같은데 사실 무슨 풀인지 모름.
맛은 약한 머스타드? 후추? 같이 톡 쏘는 상쾌한 향이 있고 쓴맛은 전혀 없고 잎이 매우 야들야들하고 식감이 아삭하니 좋습니다.
그래서 문의를 넣어봅니다. 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60770032
아무도 모르는군요.
구글질을 해본 결과..
이거인 것 같습니다.
Hairy bittercress 라고 식용 가능한 잡초이군요.
한국 이름은 모르는데 아시는 분 답변 좀..
먹기로 합니다.
캐옵니다.
꼬막은 동원 꼬막 매콤 비빔.
마당에서 뜯어온 건 헤어리 비터크레스와 야생 달래 (?) 입니다.
저거도 사실 달래인지 뭔지 모르겠는데. 그런 마늘과 파 중간스러운 맛이 납니다.
이것도 정확히 뭔지 아시는 분은 알려주세요 ㅋㅋㅋ
잡소리인데 우리 집 마당 흙 핵고급인듯.
하나 뽑을 때마다 지렁이 한 마리씩 딸려 올라옴. 히이이익..!!
밥을 할 동안 잘 다듬어 줍니다.
매우 힘드네요.
여러분은 꼭 사드세요.
마늘도 잘 다져서 넣어줍니다.
해외러의 경우 정기적으로 마늘을 섭취 해야 하는데 혈당 마늘 함량이 미달될 경우 한국인 정액제가 만료되기 때문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마늘을 타고 냉동실에 짱박아둔 고추도 넣어줍니다.
고추는 이웃이 텃밧에서 기르고 남는 걸 나눔하는 건데 그때 가져와서 얼려둔겁니다.
자 이렇게 양념장이 완성 되었습니다.
이제 꼬막을 까봅니다.
...?
뭐야. 왜 양념장이 들어있어.
기껏 양념장을 다 만들었는데..!
뭐 둘 다 먹으면 되지.
꼬막을 까봅니다.
이렇게 생겼네요.
구성은 꼬막. 새송이 버섯. 그리고 고추? 가 들어있군요.
잘 무쳐서 소면 위에 얹어줍니다.
양념장도 한 숟가락 얹어줍니다.
맛은 아주 안정적이네요.
꼬막이 생꼬막은 아니지만 나름 양도 넉넉하고. 새송이랑 궁합이 잘 맞네요.
호로록 먹어줍니다.
양념장과 갓 지은 밥과도 먹어줍니다.
국은 배추 된장국.
히히히...
완식 했습니다.
미국 살면 꼬막 무침 먹기가 이렇게 힘듭니다. 흑흑흑흑흑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21.158.***.***
아무리 그래도 너무 위험한 짓을 하셨어요.. 개량되지않은 야생의 식물은 대부분 독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게 인간에게 통하지않거나 통하지않게 조리하여(고사리 등) 먹는것일뿐.. 확실하지 않은건 먹지않는게 답입니다. 친구가 가족이랑 시골갔다가 가족들이랑 냉이랍시고 독초 뜯어서 국끓여먹고 단체식중독 걸려서 실려간것도 본적 있는 저로써는...정 드시고 싶다면 샐러드용 채소를 사드시길 권합니다.
175.112.***.***
https://en.wikipedia.org/wiki/Cardamine_hirsuta https://ko.wikipedia.org/wiki/%ED%99%A9%EC%83%88%EB%83%89%EC%9D%B4 이름으로 구글링 하니까 황새냉이라고 나오네요 냉이랑은 같은 배추과로 분류되있습니다
211.196.***.***
와 베어그릴스 ㄷㄷㄷ 잘만드셨겠네요 맛있겠어요
125.137.***.***
어디서 봤는데 미국은 거의 전국토가 1등급 땅이라 농작물이 잘자란답니다. 우리나라는 5등급이라 비료를 쏟아부어야 한다더라구요..;; 정말 미국은 복받은 땅입니다.. 부럽..
220.89.***.***
따-먹 이 걸린듯 하네요. □□
211.196.***.***
와 베어그릴스 ㄷㄷㄷ 잘만드셨겠네요 맛있겠어요
100.11.***.***
아직 살아있습니다. 식용이 맞는 것 같습니다 ㅎㅎ | 23.03.18 07:38 | |
99.167.***.***
100.11.***.***
집 마당에 약을 안 뿌리니 온갖 잡초가 쑥쑥 자라는데 제가 있는 곳은 외곽 지역이라 공기도 깨끗한 동네니까 먹어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민들레랑 땅딸기도 많이 자라서 이건 차로 잘 해먹어요 ㅎㅎ | 23.03.18 11:41 | |
39.7.***.***
100.11.***.***
한국은 마트에 깨끗이 씻어서 파닠ㅋㅋ 양녕잠 만들어셔 드셔보세요. 콩나물밥에 양념장은 밥도둑..! | 23.03.18 11:42 | |
220.87.***.***
100.11.***.***
논냉이 비슷한 친구인가봅니다. 역시 나물의 민족. 안먹을리가 없지.. ㅎㅎ | 23.03.18 13:20 | |
100.11.***.***
아 그리고 저 풀 늦여름? 되면 바늘 같이 생긴 가늘고 긴 콩깍지가 생기는데 그거 건드리면 토토토토톡 하고 씨앗을 마구 뿌립니다. | 23.03.18 13:21 | |
220.87.***.***
그래도 용기가 대단하시네요. 전 미국 생활할 때 뒷뜰에 고사리도 미국껀 너무 커서 나물해 먹어야겠단 생각은 못해봤거든요. 그나마 깻잎은 한국마트에 씨앗 팔길래 심었더니 미친듯이 자라서 겨울오기 전에 바비큐 할 때마다 풍성하게 먹었던 기억이 나네요. 물론 그것도 중서부 지방의 유명한 메뚜기들이 반은 먹어치웠지만... | 23.03.18 13:27 | |
100.11.***.***
개들이 뜯어먹는 걸 너무 좋아해서. 아 이건 식용이구나 싶었습니다. 땅딸기도 엄청 잘 □□습니다. 중서부라면 저도 콜로라도 스프링스에 살았었는데. 한국 상추 씨를 구해서 심었지만.. 음. 상추가 이렇게 길고 가늘게 유채처럼 자랄 수 있다는 걸 그때 처음 알았습니다. 결국 포기함. | 23.03.18 13:31 | |
100.11.***.***
내가 뭐라고 썼길래 하트로 뜨는거죠? 필터링 걸릴 만한 게 없는데. | 23.03.18 13:32 | |
220.87.***.***
CO 는 평균 고도가 높아서 OK 에서 MO 에 걸치는 미드웨스트보다는 기온도 낮고 일조량이 적어서 그럴지도 모르겠네요. 미드웨스트 평야지대는 상추든 깻잎이든 물만 잘 줘도 정말 미친듯이 자라더군요. | 23.03.18 13:36 | |
100.11.***.***
고도도 높고 건조한 곳이라 물을 퍼줘도 금방 말라버려서 그런게 아닌가 싶습니다. 주위에 선인장도 있고 프레리독도 있고 텀블위드도 굴러다니고 그런 곳이었습니다 ㅎㅎ 아마 콜로라도가 고도가 낮았으면 백프로 사막이었을거에요. | 23.03.18 13:44 | |
220.89.***.***
젠주흐트
따-먹 이 걸린듯 하네요. □□ | 23.03.18 18:19 | |
100.11.***.***
앗.. 아앗.. | 23.03.18 22:02 | |
118.235.***.***
전 처먹 인줄 | 23.03.29 12:07 | |
175.112.***.***
https://en.wikipedia.org/wiki/Cardamine_hirsuta https://ko.wikipedia.org/wiki/%ED%99%A9%EC%83%88%EB%83%89%EC%9D%B4 이름으로 구글링 하니까 황새냉이라고 나오네요 냉이랑은 같은 배추과로 분류되있습니다
100.11.***.***
아하!!! 냉이류가 맞기는 하네요! 어쩐지 약간 그쪽 특유의 향이 있더라니..! 감사합니다 ㅋㅋㅋㅋ | 23.03.18 22:03 | |
218.152.***.***
100.11.***.***
제가 사는 곳에는 너무 많이 자라는 잡초입니다. 이웃이 봤더라면 아마 "음. 이웃이 제초 작업을 열심히 하고 있군." 이라고 생각했을 겁니다. | 23.03.19 13:33 | |
106.240.***.***
안타깝게 너무 빨리 가심 ㅠㅠ | 23.03.28 19:55 | |
100.11.***.***
앗.. 아아.. | 23.03.29 01:01 | |
71.197.***.***
100.11.***.***
집 주위에 풀이 많다보니 이것저것 자라네요 ㅎㅎ | 23.03.29 01:02 | |
125.137.***.***
어디서 봤는데 미국은 거의 전국토가 1등급 땅이라 농작물이 잘자란답니다. 우리나라는 5등급이라 비료를 쏟아부어야 한다더라구요..;; 정말 미국은 복받은 땅입니다.. 부럽..
100.11.***.***
어쩐지 여긴 동네 사람들이 막 키우는 토마토도 주먹 주개만하더군요. 마트에서 파는 야채도 한국 저와 사이즈가 다릅니다. 하지만 딸기는 압도적으로 한국이 맛있지.. | 23.03.29 01:03 | |
220.86.***.***
100.11.***.***
비오면 여기저기 지렁이 대잔치 됩니다. 히이이익..!!! | 23.03.29 01:04 | |
114.129.***.***
100.11.***.***
대충 먹고 살겠다는 의지입니다. | 23.03.29 01:04 | |
221.158.***.***
아무리 그래도 너무 위험한 짓을 하셨어요.. 개량되지않은 야생의 식물은 대부분 독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게 인간에게 통하지않거나 통하지않게 조리하여(고사리 등) 먹는것일뿐.. 확실하지 않은건 먹지않는게 답입니다. 친구가 가족이랑 시골갔다가 가족들이랑 냉이랍시고 독초 뜯어서 국끓여먹고 단체식중독 걸려서 실려간것도 본적 있는 저로써는...정 드시고 싶다면 샐러드용 채소를 사드시길 권합니다.
100.11.***.***
사실 평소에 개들이 그 풀만 열심히 뜯어먹길래 저도 옆에서 몇번 뜯어먹어봄 풀이에요 ㅎㅎㅎ 왜 저리 열심히 뜯어먹나 해서요 ㅋㅋ 민들레랑 땅딸기도 잘 찾아먹더군요. 저는 어렸을때 부모님 따라서 나물 캐러 잘 돌아다니고 그래서 딱히 위험하다는 생각은 안했는데 생각해보니 야생풀은 조심해야겠네요.. ㅠ 아 야생 버섯은 절대 안먹습니다. | 23.03.29 01:07 | |
182.227.***.***
아 그리고 젠주흐트님의 강아지가 풀을 뜯어먹는다면 못먹게 하는게 좋습니다.. . 이식증이라고 해서 소화가 잘안되니 설사약 대신 풀을 뜯어먹는 본능이라고 하더군요. 하지만 처음부터 알고 풀을 구별해서 뜯어먹는게 아니기때문에 가급적 못먹게 하라더군요...만약 특정 풀만 먹는개라면 상당히 지능이 높은 나이가 좀 있는 개가 그 풀먹으면 설사한다는걸 경험적으로 알고 뜯어먹는 경우가 있긴하다고 하더라구요.... | 23.03.29 03:05 | |
100.11.***.***
두마리 다 노견인데 딱 민들래 꽃. 땅딸기. 짭냉이 그렇게 골라먹더군요. 둘 다 오이랑 당근이랑 배추 같은 야채도 잘 먹고 토도 안 하고 설사도 안하는 걸 보니 그냥 맛있어서 먹는 것 같습니다. 저도 먹어봤는데 맛있더군요. (...) 다른 건 안건드리긴 하던데 그래도 조심하겠습니다ㅎㅎ | 23.03.29 04:11 | |
27.110.***.***
비터크레스..황새냉이 랍니다 식용이래오.. | 23.03.29 10:35 | |
112.221.***.***
이런 분들이 많아서 우리나라에 나물 먹게 된 계기가 생긴 듯 하네유......몸소 실험체가 되셨군요.....ㅠㅠ | 23.03.29 11:05 | |
118.43.***.***
100.11.***.***
다음 당에 이사가는데 텃밧 쬐그맣게 해볼까 생각이 듭니다. 선인장도 죽이는 똥손이지만 땅이 좋으니까 대충 심어도 잘 자랄 것 같은 근거없는 자신감이랄까.. | 23.03.29 01:09 | |
220.70.***.***
125.179.***.***
지력이 새뺑이라 그렇죠 아시아쪽은 수천년동안 문명으로 농사지으면서 지력 갉아먹어왔고, 아프리카쪽 이집트쪽도 어마어마하게 오래전부터 지력을 죄다 써서 이미 사막이죠 ㅋㅋ 미국은 거의 새거고 | 23.03.28 22:38 | |
116.47.***.***
아 이런 이유일수 있겠네요. 신기 | 23.03.28 23:28 | |
100.11.***.***
이건 맞는거 같은 게 대충 길거리 가로수도 한국과 사이즈가 다릅니다. 오래되어서 그런 것도 있지만 일단 우람합니다. 새로 심은 나무도 겁나 빨리 자라요. | 23.03.29 01:10 | |
180.83.***.***
100.11.***.***
맛있는거만 뽑아가시네요. 부추는 위에만 잘라주면 계속 자라는데 아깝습니다. 외가집이 한국에서 부추농사 하세요 ㅎㅎ 다음달에 이사가는데 텃밧 하나 해볼까 생각중입니다. 키우기 쉬운 토마토나.. 토마토 정도..? 사실 과일 나무를 키우고 싶은데 이건 손이 너무 많이 갈 거 같아서 똥손인 저는 죽일 것 같아요. 바구니에 키우는 딸기 같은 것도 팔던데... 나중에 키우게 되면 인증 올리겠습니다 ㅎㅎ | 23.03.29 01:17 | |
180.83.***.***
블루베리, 무화과는 과실수 중에서는 키우기 쉬운편이긴 합니다. 토마토도 야채지만 과일이상의 활용성이 대단하고 키우기도 쉽고, 생존력이나 번식력이 👍대단하지요. 곁순 따서 땅에 버리면 그자리에서 뿌리 뻗어서 다시 한그루의 토마토나무 한그루가 되어버리니까요.ㅎㅎ 토마토는 진짜 강추입니다. 사스카툰 베리라고 캐나다 사스카툰지역에서 나온 과실수 있는데 이 나무도 완전 강추입니다. 꽃, 낙엽, 열매 모두 예뻐서 조경수로써 관상용으로도 좋고, 열매도 먹을수 있습니다. | 23.03.29 02:47 | |
100.11.***.***
블루베리 무화과 둘 다 제가 좋아하는거라 이사하고 정원 정리 좀 하고 하나 심으려고 합니다. 사실 가장 키우고 싶은건 등나무 인데 이건 관리를 계속 해줘야해서.. 게다가 열매를 못 먹어.. ㅜ 사스카툰 베리는 처음 들어보는 건데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 23.03.29 04:16 | |
203.149.***.***
우리나라 토양의 평균적인 토양 구성은 모래41.7%, 미사 41.5%, 점토 16.8%이 입니다. 토성별로는 사양질(44.5%)과 식양질(34.1%)이 우세하게 나타나서 이들 토양이 전체 토양의 78.6%에 해당하죠. 역질 역시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여 전체지역의 5.9%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토성으로 인해 토양 내 공극률이 높고 토양 배수가 양호한 특징을 보입니다. 하지만, 유기물과 영양염류의 함량이 낮아 토양의 비옥도가 낮아요. 미국 토양에 비해 좋지 않은 땅이죠. 한국의 물이 비교적 깨끗한 이유도 미네랄이 적은 땅이라서 그런겁니다. | 23.03.29 09:36 | |
100.11.***.***
루리웹에도 교수님의 냄새가 납니다 킁카킁카.. | 23.03.29 10:50 | |
180.83.***.***
그게 다 옛날에 6.25이후에 나라개판되면서 산에서 나무, 낙엽이고 뭐고 죄다 긁어가서 그래요. 지금은 부엽토, 낙엽 이런거 구하기가 옛날에 비해서 너무 쉽고, 한번 밭 흙 만들어두면 언급하신데로 배수가 잘 되므로 과실수 키우기는 더없이 좋습니다. 관행농법으로 Ctrl + C ~ Ctrl + V식으로 획일적으로 비료에 의존하는 농법을 해서 그렇습니다. 미국도 농약치고 비료주는 것은 비슷하지만, 최대한 부산물을 활용해서 땅심을 보존하려고 노력을 하지요. 어찌보면 한국이 제법 농업기술력이 올라오기는 했으나 여전히 농업기술력이 네덜란드, 미국 같은 선진국에 못미칩니다. 그러니 땅관리 하천관리 등등 자원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그러지요. 최신 농기술이 죄다 농업선진국들에서 수십년~십수년 전에 나온 것들이죠. 저만 하더라도 화분흙이 처음에는 언급하신 질 낮은 저급한 흙에서 시작했으나 키우면서 나오는 부산물을 계속 모와서 부숙시켜서 기존 흙에 부엽토미생물을 더해줍니다. 그러면서 점점 흙의 색상이 짙은 검정색으로 변하지요. 이게 3년만에 일어난 변화인데... 가끔 지나가시는 어르신들이 놀라서 묻습니다. 이흙은 뭐냐? 어떻게 만들었냐 물어요. 그러면 방법 알려드리면 또 깜놀해요. 우리나라 소로 밭갈던 시대 방법과 유사하다고해요. 방법은 이미 있는데 한국은 소위 관행농법에 너무 치중한 나머지 안그래도 척박한 밭은 더 황폐화 시키고 있는 거지 처음부터 한국의 땅이 농사짓기 나쁜땅은 아닙니다. 유기물이 풍부하면 물론 식물에 좋지만, 유기물보다 더 중요한 것은 실은 미네랄성분들이예요. 유기물은 몇사이클만 거치면 혹은 짧게 몇년이면 금방 토양 비옥하게 만들수 있어요. 하지만 미네랄은 그 땅에 생성된 무기질에서 비롯해서 없으면 별도로 공급해주는 수밖에 없죠. 한국에서 또 한가지 더 초대박난 농사법중 하나가, 갯벌흙 퍼다가 밭에 뿌려서 염분기 우기같은거 지나서 농사 심으면 최고로 잘된다고 해요. 이유가 육지에서 오랜세월 흘러나온 온갖 좋은 미네랄성분들이 갯벌에 풍부하게 있기 때문이지요. 거기에 낙엽과 부엽토만 잘 혼합해주면 식물에 좋은 최고의 땅이 되는 것이지요. 물론 미국처럼 자연이 만들어서 선물해준 땅이야 고마운거지만, 한국도 조금만 노력하면 반복적으로 비옥한 땅으로 일굴수 있다고 봅니다. 다만 안할 뿐이지요. 관행농법이 워낙 편하니까요. | 23.03.29 18:44 | |
61.85.***.***
100.11.***.***
그러네요.. 개가 저거만 주워먹네? 나도 먹어봐야지. 괜찮네? 많이 먹어봐야지 ㅋㅋㅋㅋㅋㅋ | 23.03.29 01:53 | |
87.208.***.***
100.11.***.***
감사합니당! ㅎㅎ | 23.03.29 04:23 | |
61.35.***.***
100.11.***.***
사유지 개념이 아주 강하기 때문에 아무데서 채취하면 ㅈ됩니다. 낚시도 허가증 받고 해야하는 나라입니다. 하지만 뭐 우리집 뒷마당은 제꺼니까 막 뜯어도 괜찮습니다! (당당) | 23.03.29 11:48 | |
61.35.***.***
사유지가 아닌 나라땅에서 뜯으면 불법이겠네여 | 23.03.29 16:08 | |
61.97.***.***
100.11.***.***
달래 뽑으면서 확 느껴지더군요. 한 번 뽑을 때마다 지렁이가 한 마리씩. 히이이익.. | 23.03.29 14:08 | |
61.97.***.***
원래 달래가 봄기운이 충만하게 해 준다지 않습니까~? ^^ | 23.03.29 14:5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