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픽셀이 일본 시장에서 입지를 넓혀나가고 있습니다.
시장조사기업 Counterpoint Research의 보고서에 따르면, 구글은 2023년 2분기 일본 스마트폰시장에서 시장점유율 12%로 2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같은기간의 2%에 대폭 증가한 것입니다.
가장 큰 피해를 본 것은 애플입니다. 애플은 시장점유율 46%로 큰 차이로 1위 자리를 지켰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의 58%에 비해 12%p 줄어든 점유율을 보였습니다. 2, 3분기가 전통적으로 애플의 판매량이 줄어드는 시기임을 감안해도 애플의 일본 점유율이 50% 아래로 내려온 것은 2년만에 처음입니다.
다른 안드로이드 기업들도 조금씩 반사이익을 얻어 샤프는 11%(전년 동기:8%), 소니는 6%(전년 동기:5%)로 점유율이 상승했습니다. 삼성은 6%로 그대로였고, OPPO는 점유율이 줄어들어 5%를 기록했습니다.
본문
[하드웨어] 구글 픽셀, 일본에서 시장점유율 대폭 증가해 2위 차지 [30]
ID | 구분 | 제목 | 글쓴이 | 추천 | 조회 | 날짜 |
---|---|---|---|---|---|---|
118 | 전체공지 | 업데이트 내역 / 버튜버 방송 일정 | 8[RULIWEB] | 2023.08.08 | ||
2243652 | 하드웨어 | 스텔D | 622 | 00:56 | ||
2243649 | 하드웨어 | 스텔D | 4 | 4902 | 2023.12.09 | |
2243637 | 하드웨어 | Landsknecht™ | 6 | 6767 | 2023.12.09 | |
2243636 | 하드웨어 | seawi9966 | 5 | 7585 | 2023.12.09 | |
2243626 | 하드웨어 | 스텔D | 7 | 5756 | 2023.12.09 | |
2243624 | 하드웨어 | 스텔D | 6 | 4856 | 2023.12.09 | |
2243612 | 하드웨어 | 스텔D | 8 | 6560 | 2023.12.08 | |
2243611 | 이통사 | 시무라오바상 | 5 | 2310 | 2023.12.08 | |
2243603 | 하드웨어 | 시무라오바상 | 2 | 1155 | 2023.12.08 | |
2243565 | 하드웨어 | 사쿠라모리 카오리P | 1429 | 2023.12.08 | ||
2243554 | VR | V-DKB | 5 | 5499 | 2023.12.08 | |
2243551 | 하드웨어 | 건전한 우익 | 8 | 17248 | 2023.12.08 | |
2243546 | 하드웨어 | Hawaiian | 1 | 9758 | 2023.12.07 | |
2243544 | 하드웨어 | 운김 | 1 | 3468 | 2023.12.07 | |
2243529 | 하드웨어 | Landsknecht™ | 7 | 8732 | 2023.12.07 | |
2243523 | 기타 | 곰표소주 | 9 | 5769 | 2023.12.07 | |
2243519 | 기타 | 운김 | 6 | 8507 | 2023.12.07 | |
2243512 | 기타 | 건전한 우익 | 1 | 1675 | 2023.12.07 | |
2243511 | 하드웨어 | 건전한 우익 | 15 | 8894 | 2023.12.07 | |
2243510 | 하드웨어 | 사쿠라모리 카오리P | 6 | 7721 | 2023.12.07 | |
2243504 | 하드웨어 | Landsknecht™ | 11 | 14877 | 2023.12.07 | |
2243497 | 하드웨어 | 건전한 우익 | 6 | 6287 | 2023.12.07 | |
2243496 | 하드웨어 | 건전한 우익 | 11 | 15528 | 2023.12.07 | |
2243490 | 하드웨어 | 시무라오바상 | 1 | 2830 | 2023.12.06 | |
2243483 | 기타 | 사쿠라모리 카오리P | 5 | 2755 | 2023.12.06 | |
2243480 | 하드웨어 | 오덕살맨 | 12 | 6208 | 2023.12.06 | |
2243434 | 기타 | 사쿠라모리 카오리P | 1165 | 2023.12.06 | ||
2243433 | 하드웨어 | 스텔D | 3 | 3495 | 2023.12.06 |
(IP보기클릭)60.119.***.***
픽셀 광고를 엄청 때리는게 드디어 효과가 나오나.. 아이폰이 너무 비싼거도 있고
(IP보기클릭)117.111.***.***
일본도 최근 들어서 소규모 브랜드들이 oem 포함해서 많이 줄었더라고요. 그 영향도 있을듯
(IP보기클릭)114.206.***.***
보통 시장점유율(Market Share)이라고 하면 판매점유율을 뜻합니다.
(IP보기클릭)14.6.***.***
일본에서 픽셀은 공짜폰이예요..;; 그러니 그렇죠..
(IP보기클릭)1.231.***.***
그냥 다른 이유 없고 싸서 잘 팔리는 거임 구글이 일본 시장에 엄청 공들이고 있음
(IP보기클릭)60.119.***.***
픽셀 광고를 엄청 때리는게 드디어 효과가 나오나.. 아이폰이 너무 비싼거도 있고
(IP보기클릭)117.111.***.***
일본도 최근 들어서 소규모 브랜드들이 oem 포함해서 많이 줄었더라고요. 그 영향도 있을듯
(IP보기클릭)96.232.***.***
(IP보기클릭)207.244.***.***
(IP보기클릭)116.44.***.***
(IP보기클릭)60.34.***.***
(IP보기클릭)104.28.***.***
대폭…? 2%가 대폭은 아니죠. 그리고 주변에 픽셀 사는 사람들은 다 기존에 안드로이드 쓰던 사람들입니다. 저건 판매 점유율이지 이용 점유율이 아니죠. 여전히 아이폰 점유율은 거의 70%입니다… 픽셀 인기가 비교적 높아진건 사실이지만 애플이 피해를 입었다는 서술에는 실제 일본 내의 실정을 그다지 잘 파악하지 못한것 같네요. 애초에 픽셀은 1엔폰이라 거의 항상 무료로 풀림…
(IP보기클릭)104.28.***.***
실제로 일본 내 활성 iOS 이용자를 보면 작년 이후로 딱히 줄지 않았습니다. 가장 큰 타격을 받은건 애플이 아니라 오포나 비보같은 중국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들이죠. iOS에서 안드로이드로 넘어가기보단 그냥 새 폰을 안사고 기존에 쓰던 아이폰을 쭉 쓰는게 보편적인 일본 시장 분위기인것 같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제 주변에도 보면 평균적으로 아이폰 12~13정도 모델을 쓰는듯. | 23.09.29 01:17 | | |
(IP보기클릭)104.28.***.***
아 그래프 보니 2% 증가했다는게 아니라 작년 동기 2%에서 증가했다는 말이군요. 직전 분기 대비 2% 증가했다는줄. | 23.09.29 01:20 | | |
(IP보기클릭)114.206.***.***
보통 시장점유율(Market Share)이라고 하면 판매점유율을 뜻합니다. | 23.09.29 07:56 | | |
(IP보기클릭)180.228.***.***
(IP보기클릭)172.58.***.***
(IP보기클릭)111.188.***.***
(IP보기클릭)39.7.***.***
(IP보기클릭)180.228.***.***
이악물고 안쓰는게 아니고 삼성 자체가 일본에서는 불신의 아이콘임. 1990년대 불량 가전으로 악명이 높았고 일본내 가전사업 두번이나 철수하고 통수친 전력 있음 갤럭시 와서 신뢰 회복하나 싶었더니 노트7 폭발로 개박살나서 삼성 로고 빼버릴 정도 반면 엘지는 꾸준하게 판매 잘하고 있었고 삼성에 비해 제품 이미지 상당히 좋음. 삼성이 20여년전 LCD특허로 미쯔비시와 소송전 했을때 엘지는 그동안에 점유율 높이고 있었고 현재 일본에서 티비로 잘나감 | 23.09.29 07:11 | | |
(IP보기클릭)121.153.***.***
일본에게 삼성은 불신의 상징 그 자체라... | 23.09.29 08:35 | | |
(IP보기클릭)59.147.***.***
중국폰조차 싸다고 다들 사는거 보면 삼성이 불신의 아이콘이라는 것도 나이든 사람들이 정신승리하는 핑계 같고 보면 그냥 삼성폰 통신사 조건이 별로라 안사는게 정답일듯 한때 소니나 화웨이폰이 안드로이드 점유율 1위할때도 공짜폰 엄청 풀었고 보조금 깎이기전에 아이폰조차 연말이면 공짜폰 풀어댔는데 삼성은 한 2세대쯤 지난 구형폰이나 겨우 풀까말까라 일본 시장 신경 안쓰거나 자존심 때문인건지 보조금도 적어서 일본에선 삼성폰이 미칠듯이 비싸서 안사는거죠... | 23.09.29 14:33 | | |
(IP보기클릭)126.227.***.***
(IP보기클릭)121.153.***.***
(IP보기클릭)121.142.***.***
(IP보기클릭)14.6.***.***
일본에서 픽셀은 공짜폰이예요..;; 그러니 그렇죠..
(IP보기클릭)59.16.***.***
(IP보기클릭)222.108.***.***
(IP보기클릭)1.231.***.***
그냥 다른 이유 없고 싸서 잘 팔리는 거임 구글이 일본 시장에 엄청 공들이고 있음
(IP보기클릭)1.243.***.***
(IP보기클릭)218.147.***.***
싸서요..구글이 프로모션을 엄청 풀어서 공짜폰급으로 살수 있다더라고요 | 23.09.29 10:44 | | |
(IP보기클릭)1.243.***.***
아..공짜폰이면 뭐..그냥 써야죠 ㅋㅋㅋ | 23.09.29 13:14 | | |
(IP보기클릭)223.38.***.***
근데 커스텀된 안드로이드가 순정 안드보다 편한 것도 한국 한정 아닌가요? | 23.09.29 18:34 | | |
(IP보기클릭)1.243.***.***
저가형 포함 전세계 갤럭시와 중국폰 많이 쓰지 않나요? 중국 안드로이드는 삼성 one ui 공개적으로 차용했다고 하고 그렇다면 기본 안드로이드 보다 커스텀을 많이 쓰겠죠. | 23.09.30 10:54 | | |
(IP보기클릭)22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