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스타일에 따라 크로스 올리는 위치/방향/타이밍이 다르다보니, 같은 선수라도 뚝배기 체감은 가지각색이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라인 브레이커'가 뚝배기시 가장 체감이 좋고 저에게 잘 맞는 체감인데요.
(그래서 콜러보다 드록바를 더 선호했고 최근에는 베흐보다 쇠를로트를 더 선호했네요)
저같은 경우에는, 크로스를 올릴때 사이드 너무 깊숙히 들어가서 올리지 않으려고 항상 신경을 씁니다. (상대 압박에 어쩔수없이 깊히 들어가는 경우를 빼고는요)
사이드 깊숙히 들어가지 않고 페박 모서리 부근에서 올리는 '얼리 크로스' '얼리 붕크'를 많이 쓰구요.
그리고 제가 드리블을 좋아하다보니, 사이드에서 수비수를 벗겨낸후 빠르게 달려서 얼리 크로스로 일찍 많이 올립니다. (이때도 최대한 페박 모서리 부근)
이렇게 되면 템포 자체가 빠르다보니 헤딩을 하는 공격수가 대부분 '러닝후 점프' 를 하게 되는데 헤더가 라인 브레이커일때 이 패턴이 꽤 체감이 좋은것 같습니다.
타깃맨의 경우에는 문전안에 공격수와 수비수가 모두 자리를 다 잡은 상태에서 서로 비비고 경합해야할때 은근 잘 이겨내는 체감이고, 라인 브레이커의 경우에는 빠른템포(사이드에 윙이 역습하는듯한 템포)에서 달리면서 헤딩시 득점률이 좋은 체감입니다.
라인 브레이커 선수인 드록바, 쇠를로트, 홀란드와 같은 선수로 헤딩 플레이를 하시는분들은 평소 하시는것보다 조금 빠른 타이밍에 '얼리 크로스'로 한번 올려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윙이 사이드를 달리거나, 2대1 연계 등을 할때, 최대한 페박 모서리 지점을 지나지 않고(더 깊숙히 들어가지 않고) 올린다는 느낌으로 해보시구요.
윙이 사이드에서 너무 빨리 역습을 해서 헤딩할 공격수가 문전안에 들어와있지 않더라도 그냥 한번 올려보세요.
윙이 달리다가 크로스 하기위해 감속하고 자세 잡는 시간 + 킥 게이지 올라가는 시간 + 킥후 볼이 날아가는 시간... 이 시간동안 페박 밖에 있었던 공격수가 금새 문전안에 들어와 헤딩을 할거에요.^^
윙백을 열고 공격형사이드백을 쓰시는 경우에는,
윙이 드리블을 하면 윙백이 오버래핑하고, 윙백이 드리블 하면 윙이 사이드 깊숙히 뛰는 경우들이 자주 나오는데요.
이때 윙백이 오버래핑하면 윙이 키핑하고 있는 위치가 대부분 페박 모서리 부근이고, 윙이 사이드 깊숙히 뛰는 상황이면 윙백이 키핑하고 있는 위치가 대부분 페박 모서리 부근인데요.
이럴때 사이드 깊숙히 뛰는 윙에게 또는 오버래핑하는 윙백에게 주지말고 잽싸게 얼리 크로스(L1 + 동그라미)로 올려보시기 바랍니다. (기습적인 얼리 크로스)
이런 경우에도 헤더가 라인브레이커이면 대부분 러닝 점프를 많이 하더라구요.
영상은 라인 브레이커 로켓선수인 쇠를로트의 '러닝 뚝 사례'와 이번에 뽑은 홀란드의 간단한 뚝 체감입니다.
최근까지 많이 사용해서 사례들이 좀 있는 쇠를로트 영상으로는 '라인브레이커 러닝 뚝'에 대한 사례를 만들어봤구요.
홀란드는 뽑은후 4판하고 만든 영상이라, 사례가 많지않고 그냥 '뚝 첫인상?' '첫느낌?'이 어느정도인지 수준입니다.^^
제가 사용하는 홀란드의 스텟과 기술을 공유하지 않은 이유는,
저도 뽑고 몇판 안해본 상황이라, 스텟 조정해가며 조금 더 써본후 차후에 공유해보겠습니다.
(현재는 헤딩 94로 체감해보고 있으며 부스터와 기술은 하나도 달아주지 않은 상태입니다)
홀란드는 큰키에, 공센, 골결, 헤딩, 피지컬, 점프 스텟이 상당히 높고 기술도 헤딩, 로켓, 공중볼경합을 다 갖춘 선수라, 최적의 스텟과 뚝 활용법만 찾는다면 충분히 괴물이 될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IP보기클릭)14.241.***.***
포메이션은 이렇게 쓰고 있습니다. 개별지시는 RWF 카운터 타깃 DMF 수비형, 앵커링 하나 남는거는 상대 윙이나 격수 타이트마크 걸구요. 서브전술에서는 네이마르와 딩요 위치가 달라져서 상대가 딩요 타이트를 걸면 서브전술울 가동합니다. 둘다 타이트 걸면 LMF 카운터타깃걸고 좌측을 공략하구요^^ 감독은 이름은 잘 모르겠고 역짧 88, 측돌 88 되는 감독 사용중입니다.
(IP보기클릭)14.241.***.***
네~ 좋게봐주셔서 감사드려요~^^ 현재는 이렇게 사용중이구요. (골결에 힘 실어) 앞전에 헤딩에 힘실은(헤딩 95) 버전으로는 디1 상대로 뚝 해트리릭 한번 했고 지금은 몇판 안했는데 두번했네요. ㅎㅎ 마지막 공센에 힘 실은 버전으로 테스트해본후 최종 뚝스텟을 결정하려 합니다.^^ 코나미가 숨겨놓은 란드의 최적 뚝 스텟을 찾아라!!
(IP보기클릭)58.78.***.***
'러닝 뚝' 미쳤네요ㄷㄷ👍 안그래도 이번 쇼타임 로켓 헤더 홀라드 뽑아서 해보고 있는데, 헤딩 잘 안되더니 영상보고 참고해 봐야겠네요 혹시 [개별지시] 를 따로 걸어두고 하는게 있을까요? 예를들어 앵커링을 건다는지요..
(IP보기클릭)58.78.***.***
그리고 혹시 라브 홀란드 재능디자인 공유 부탁드러봐도 될까요?😭🙏
(IP보기클릭)14.241.***.***
좋게봐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홀란드에게 개별지시는 따로 주지않고 하는중이구요. '앵커링'은 저도 나중에 한번 해보려구요~^^
(IP보기클릭)58.78.***.***
'러닝 뚝' 미쳤네요ㄷㄷ👍 안그래도 이번 쇼타임 로켓 헤더 홀라드 뽑아서 해보고 있는데, 헤딩 잘 안되더니 영상보고 참고해 봐야겠네요 혹시 [개별지시] 를 따로 걸어두고 하는게 있을까요? 예를들어 앵커링을 건다는지요..
(IP보기클릭)14.241.***.***
좋게봐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홀란드에게 개별지시는 따로 주지않고 하는중이구요. '앵커링'은 저도 나중에 한번 해보려구요~^^ | 24.12.03 04:19 | |
(IP보기클릭)58.78.***.***
그리고 혹시 라브 홀란드 재능디자인 공유 부탁드러봐도 될까요?😭🙏
(IP보기클릭)14.241.***.***
네~ 지금은 재능 '골결 3 / 민첩 5 / 하체 2 / 공중볼 19'로 세팅해서 해보고 있어요. 공센 89, 골결 90, 헤딩 94, 점프 100, 피지컬 101, 속도 89, 킥파 91 나오더라구요. 부스터는 제가 토큰이 없어서 아직 미장착이구요. 공중볼 부스터 +1 달아주면 골결 91, 헤딩 95, 점프 101, 피지컬 101 될거 같아요. 지금은 홀란드가 뚝배기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테스트중이라, 스텟을 극단적으로 헤딩에 집중했는데요. 뚝배기가 어느정도 되는 헤딩 수치가 조금 분석되면 (헤딩 90~93정도로) 공센이나 골결, 속도쪽을 좀 더 올려서 해보려고 하구요.^^ | 24.12.03 04:25 | |
(IP보기클릭)119.199.***.***
(IP보기클릭)14.241.***.***
좋게봐주셔서 감서드립니다. 사이드 전환 또는 수비수가 윙으로 찢을때에는 일반 롱패스로는 잘 연결이 안되어서요. 패스가 느려 수비수랑 거의 경합하게 되구요. 낮은로빙 기술을 달고 신들린으로 롱패스하면 볼이 워낙 낮고 빨라 수비수가 도달하기전에 꽤 연결이 잘 됩니다.^^ 예전에는 신들린 헤딩슛을 많이 썻는데 이풋볼25 업뎃후에는 그냥 슛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만, 신들린으로 크로스 올렸을때는 R1 누른채(파워는 약하지만 정확도가 높은 컨트롤슛) 헤딩을 많이하구요. 신들린은 크로스가 워낙 강하니 정확하게 방향만 살짝 틀어주는 느낌이랄까요.^^ | 24.12.03 08:29 | |
(IP보기클릭)175.213.***.***
(IP보기클릭)14.241.***.***
포메이션은 이렇게 쓰고 있습니다. 개별지시는 RWF 카운터 타깃 DMF 수비형, 앵커링 하나 남는거는 상대 윙이나 격수 타이트마크 걸구요. 서브전술에서는 네이마르와 딩요 위치가 달라져서 상대가 딩요 타이트를 걸면 서브전술울 가동합니다. 둘다 타이트 걸면 LMF 카운터타깃걸고 좌측을 공략하구요^^ 감독은 이름은 잘 모르겠고 역짧 88, 측돌 88 되는 감독 사용중입니다. | 24.12.03 08:34 | |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14.241.***.***
아이구 좋게봐주시니 저도 감사드립니다. 제가 이번 페이즈 한달은 승률, 레이팅 다 버리고 (디1도 못가고 있네요) 피네스 드리블만 주구장창 연습 하고 있는데.. 좀 더 분발해서 드리블 관련 더 유익한 영상 만들어보겠습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4.12.03 08:39 | |
(IP보기클릭)183.98.***.***
(IP보기클릭)14.241.***.***
네~ 좋게봐주셔서 감사드려요~^^ 현재는 이렇게 사용중이구요. (골결에 힘 실어) 앞전에 헤딩에 힘실은(헤딩 95) 버전으로는 디1 상대로 뚝 해트리릭 한번 했고 지금은 몇판 안했는데 두번했네요. ㅎㅎ 마지막 공센에 힘 실은 버전으로 테스트해본후 최종 뚝스텟을 결정하려 합니다.^^ 코나미가 숨겨놓은 란드의 최적 뚝 스텟을 찾아라!! | 24.12.03 17:22 | |
(IP보기클릭)183.98.***.***
재능디자인 참고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24.12.04 11:50 | |
(IP보기클릭)14.241.***.***
네~ 스샷에 나오는 골결 위주 스텟이랑 공센 85, 골결 92, 헤딩 96, 점프 102, 피지컬 102 (부스터 공중볼 +1) 스텟도 꼭 한번 해보세요^^ 저는 현재 이걸로 해보고 있는중인데 헤딩 하나만 보면 현재까지 이게 가장 체감이 좋으네요. | 24.12.07 23:45 | |
(IP보기클릭)221.144.***.***
(IP보기클릭)14.241.***.***
네~ 감사합니다.^^ 얼리 붕크는 얼리크로스랑 동일한 커맨드에서 파워만 90~100% 줘서 올리는걸 말합니다. 홀란드가 반대쪽 가장 멀리 위치하고 있을때 높고 천천히 날아가도록요~^^ | 24.12.03 17:23 | |
(IP보기클릭)112.167.***.***
아~ 그렇군요! 세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항상 방송 잘 보고 있어요! | 24.12.04 11:42 | |
(IP보기클릭)14.241.***.***
1. 붕크 : 사이드를 깊숙히 들어간 지점 (페박 모서리를 기준으로 그이상 들어간)에서 키+점프+피지컬+헤딩 능력이 좋은 선수가 문전안에 있을 경우(가장 먼쪽에 위치) 동그리마 버튼만 눌러 파워 90~100%정도로 올리는걸 말합니다. 장점은 키크고 피지컬 좋고 헤딩 능력이 좋은선수(베흐, 쇠를로트 같은)가 있을 경우 꽤 득점률이 높습니다. 2. 얼리 붕크 : 붕크와 비슷한데 크로스 올리는 위치가 페박 모서리 부근이거나 페박 모서리를 기준으로 더 들어가지 않은 지점에서 좋은것 같습니다. 3. 얼리 크로스 : 사이드에서 2대1 패스 또는 세컨볼이 흘러나왔을경우, 페박 모서리 부근에서 기습으로 올릴때 좋습니다. 4. 신들린 얼리크로스 : 역습 상황으로 사이드를 엄청 빠르게 치고 들어갈때, 페박 모서리 지점을 지나 더 들어가지말고 페박모서리 부근에서 사용하면 좋은 체감입니다. (빠른 역습 상황이라, 헤딩할 격수의 위치를 보면 페박박스안에 들어오지 못한 경우도 많은데요. 그래도 신들린 기 모으는 시간과 킥후 볼이 날아가는 시간이 있기때문에 헤더가 번개같이 들어와 헤딩을 잘합니다.^^) | 24.12.07 23:5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