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이 좀 많이 깁니다.
루트슈터 장르에서 흥한 게임중
현실 장비를 가지고 PvP와 PvE를 같이하면서 불릿 스펀지가 없는 건 딱 하나 있습니다.
타르코프 입니다.
디비전은 너무 많은걸 한바구니에 담을려고 했어요.
루트 슈터는 유져가 레벨업을 하고 파밍을 합니다.
즉 PvP에서 동등한 게임이 불가능 합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스펙을 인정 하거나, 강제로 스펙을 보정해줘야 합니다.
타르코프는 급소 한방에 훅 가니까 전자를 인정할만 했어요.
디비전은 좀 더 "지혜롭게" 후자를 선택했지만
후자를 선택했을땐 또 다른
아주 심각하고 거대한 문제가 생깁니다.
PvE와 PvP의 스펙 보정에 따른 차이 때문에 모두 다같이 게임을 할수가 없어요.
새로운 스펙을 가진 사람이 낄때마다 스펙이 자꾸 자꾸 바뀌든가
고정된 PvP 스펙이 따로 존재 해야 합니다.
오픈 월드가 불가능 합니다.
고정된 PvP 스펙이 적용되는 장소가 존재해서
사람 모일때마다 인던 열리듯 열리는게 가장 합리적이겠죠.
그 결과가 다크존입니다.
이런 고정 PvP 스펙을 시트로 만들어야할 사람이 있습니다.
밸런스 기획자겠죠?
이 사람이 굉장히 근면하다면
좋은 밸런스를 만들고 과로사 할수 있어요.
이미 눈치 채신 분들이 있겟지만,
신무기 신방어구 나올때마다 PvP 스펙 밸런스 수정해야 할게 팩토리얼 함수로 늘어나요.
스펙 보정은 PvE와 PvP간의 플레이 경험차를 만듭니다.
밸런스를 끝짱나게 잡아도
PvE 성능에 비해 PvP 성능이 상당히 저열해지는게 보통입니다.
PvE에서 스펙을 쌓고 PvP 유져로 유입되는거라 이런 성능차는 유입을 방해합니다.
따라서 밸런스 담당자는 이 경험차를 줄여야하는 임무도 가지고 있습니다.
몹 상대로는 좀 덜떨어진 밸런스여도 티가 잘 안나요.
좋으면 좋은대로 나쁘면 나쁜대로
PvP에선 그게 안됍니다.
그걸 또 PvE 경험이랑 비슷하게 맞춰 줘야해요.
근면하면 과로사 하기 딱 좋습니다.
디비전은 결과적으로 근면하지 못한 밸런서가 과로사를 모면했고
디비전의 PvE 와 PvP 는 아주 완벽하게 다른길을 가고 있죠.
디비전 1, 2 는 실패한 게임이 아니에요.
시계에 주황색 동그라미만 보면 디비전 에이전트를 상상할 정도로
충분히 흥한 게임입니다.
다만 유져입장에선 아쉬움 남는게 너무 많지요.
만약 디비전 3가 유져의 바램을 따라갈려면
선택을 해야합니다.
지나치게 많이 담은 여러 요소들중 몇가지를 버려야 합니다.
그 과정에서 삭제된 요소를 좋아하던 유져를 잃겠구요.
그렇게 정리된 디비전이 기다리던 디비전이라고 유져가 인정할까요?
디비전 파생작에 대한 관심을 보면 아닐거 같습니다.
파생작으로 유져 간을 본 유비는 더 잘 알고 있을겁니다.
결국 디비전 3도 디비전 1, 2와 같은 길을 갈겁니다.
단호함이 즐겁죠?
당연한거에요.
또 매시브인것도 당연한 거구요.
(IP보기클릭)211.219.***.***
전 타르코프 처럼 되는건 반대입니다. 고리랑 다를게 없어진다고 봐요. 철저하게 rpg의 느낌을 가진 루트슈터 쪽으로 남아줬으면 합니다. 불릿스펀지는 메시브이넘들이 답을 알껀데 몹 못늘림 패턴 꼬임 이런소리나 하고있으니 ㅡㅡ 이긍 일해라 메시브! 아 그리고 pvp이야기도 나와서 그런데 이참에 확실히 때버렸으면 싶습니다. 확실히 분리해서 pvp는 별도 능력치 적용되었으면 좋겠네요. 아이템 그만 쫌 너프시켜라!
(IP보기클릭)121.136.***.***
디비전의 PVP가 여타 다른 FPS 게임과 똑같다고 생각하시는 건가요? 전 아예 다른 장르라 봅니다. 여태까지 없던...그래서 인기를 끌 수가 없던 FPS 같아요. 오버워치처럼 탱/딜/힐로 나뉘어 신중하게 한타 싸움을 이끌어 가는 것도 아니고 콜오브듀티의 런앤건처럼 순간의 TTK로 킬스트릭을 쌓아가는 것도 아니고 중간지점에서 애매하게 밸런스가 잡혀있습니다. 불쾌한 골짜기처럼요. 개인적으로 저는 FPS보단 RPG의 PK 느낌이 강하다고 봅니다 이는 1:1 싸움에선 밸런스가 극명하게 갈리지만 다대 전투에선 밸런스가 확연하게 잡히는 특징이 있죠. 그런데 1:1 싸움이 가장 난해하다는 건 가장 큰 약점으로 다가와집니다. 내 빌드는 가위바위보 처럼 한계치가 있고 상대방의 빌드를 이길려면 내가 없던 수, 가위말고 바위 말고 보 말고 "닭발" 이 있어야 됩니다. "닭발"을 파밍하려고 시간을 갈아서 빌드를 맞춰도 상대방이 해당 빌드를 안 들고오면 말짱도로묵이에요. 그래서 하...이 게임의 PVP를 굳이 해야될까라는 박탈감이 오집니다. 이게 정말 악순한의 고리에요. 해당 빌드를 잡으려고 다른 빌드를 들고왔는데 그 빌드를 파밍해놨더니 다른 빌드 들고와서 무용지물로 만들고... 그냥 내가 좋아하는 빌드 하나 챙겨서 내 피지컬이 좋다면 다 이길 수 있게 밸런스를 잡으면 안되는 걸까요. 다른 FPS게임처럼? 전 FPS 게임의 가장 큰 매력이 특정무기 잘 다루면 다 죽이고 다닐 수 있는 거라고 봅니다. 디비전의 PVP는 이런 매력이 전혀 없어요. 다른 길을 선택했죠. 그렇다고 오버워치처럼 탱커가 우직하게 버텨주는 것도 아니고, 팀원들을 지켜줄 수 있지도 않습니다. 방패펴봤자 자신만 살고 팀원들은 갈려나가니깐요. 역할군의 매력이 전혀 없습니다. 그냥 상황, 카운터에 맞는 빌드 입고와서 우다다다 갈구는게 디비전 PVP의 끝이에요. 누가 이런 멋도 없고 매력도 없는 PVP에 유입이 들어오겠습니까. 디비전의 PVP는 확실하게 콘셉을 가져야 된다고 봅니다. 애매하게 중간위치에 있지 말고.
(IP보기클릭)14.34.***.***
루트슈터 유명한 게임이 보더랜드 시리즈, 데스티니 시리즈, 디비전 시리즈, 타르코프 이렇게 인데 이중 디비전의 현대 무기를 사용하는 특성과 가장 근접한게 타르코프였을 뿐 타르코프가 되자는것은 아닙니다. 완전 다른 타겟층을 노리는 게임인걸요. 불릿 스펀지는 인간 몹이 현대무기를 쓰는것 때문에 유독 심해보이는거고 타르코프를 제외한 보더랜드와 데스티니의 불릿 스펀지는 디비전을 따위로 만들정도로 압도적이죠. 하지만 SF 판타지라는 설정이 그걸 거의 다 씹어먹어버려요. 디비전이 타르코프 수준으로 가버리면 아마 선빵 필승이라고 욕먹었을겁니다.
(IP보기클릭)14.34.***.***
하지만 타르코프는 맘 편히 무장할수도 없고 시원하게 총을 갈길수도 없죠. 아마 영원히 그럴겁니다. 발목잡는 하드 코딩과 PvP 밸런스 요소만 아니었다면 디비전쪽이 플레이 경험 개선도 훨 잘됐을 건데 이제와서 좀 정상화 되는 분위기죠. 개인적인 예상일 뿐이지만 이 페이스로 개선해 가고 템 추가하면서 최소 3년 더 할겁니다.
(IP보기클릭)123.213.***.***
저는 PVP하려면 다른 대체 게임 선택 범위가 넓어서 굳이 디비전2 안 해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pve에 충실했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시뮬게임도, 현실성 반영하는 타르코프도 아니고 (애초에 탄창크기,휴대 아머량,아머,체력등등 부터 현실성 타르코프와 비교할 것도 아니고.) 루트 슈터 게임이라서. 다크존도 그대로 두고 pve로 바꿔 줬으면 좋겠습니다. PVP 원하는 유저들 위해서 카운트다운 또는 뉴욕맵 같이 아예 분리해 버려서 진입하게 할 수 있게 희망합니다.
(IP보기클릭)121.167.***.***
(IP보기클릭)14.34.***.***
디비전 1~2편을 하드코어하면 힘들테니 쉽게 하라고 캐쥬얼하게 만들었는데 불만이 많으니까 그럼 대놓고 더 하드코어하고 PvP를 강화해줄테니 재미지게 해볼래? 하고 하트랜드 아니면 아예 디비전 1에서 더 캐쥬얼하게 놀아볼래? 하고 리서전스 AAA게임은 발표 부터 반응이 후끈해야 높은 실적을 기대할수 있는데 반응이 뜨뜻 미지근 하잖아요. 마침 년말 주가 실적도 이끌어야겠다. 결론이 빠르게 나버린거죠. 구관이 명관이었다. 매시브가 계속 하는게 맞다. 기존 디비전을 더 갈고 닦아봐라. | 23.09.24 01:27 | |
(IP보기클릭)211.219.***.***
전 타르코프 처럼 되는건 반대입니다. 고리랑 다를게 없어진다고 봐요. 철저하게 rpg의 느낌을 가진 루트슈터 쪽으로 남아줬으면 합니다. 불릿스펀지는 메시브이넘들이 답을 알껀데 몹 못늘림 패턴 꼬임 이런소리나 하고있으니 ㅡㅡ 이긍 일해라 메시브! 아 그리고 pvp이야기도 나와서 그런데 이참에 확실히 때버렸으면 싶습니다. 확실히 분리해서 pvp는 별도 능력치 적용되었으면 좋겠네요. 아이템 그만 쫌 너프시켜라!
(IP보기클릭)14.34.***.***
루트슈터 유명한 게임이 보더랜드 시리즈, 데스티니 시리즈, 디비전 시리즈, 타르코프 이렇게 인데 이중 디비전의 현대 무기를 사용하는 특성과 가장 근접한게 타르코프였을 뿐 타르코프가 되자는것은 아닙니다. 완전 다른 타겟층을 노리는 게임인걸요. 불릿 스펀지는 인간 몹이 현대무기를 쓰는것 때문에 유독 심해보이는거고 타르코프를 제외한 보더랜드와 데스티니의 불릿 스펀지는 디비전을 따위로 만들정도로 압도적이죠. 하지만 SF 판타지라는 설정이 그걸 거의 다 씹어먹어버려요. 디비전이 타르코프 수준으로 가버리면 아마 선빵 필승이라고 욕먹었을겁니다. | 23.09.24 12:46 | |
(IP보기클릭)121.136.***.***
디비전의 PVP가 여타 다른 FPS 게임과 똑같다고 생각하시는 건가요? 전 아예 다른 장르라 봅니다. 여태까지 없던...그래서 인기를 끌 수가 없던 FPS 같아요. 오버워치처럼 탱/딜/힐로 나뉘어 신중하게 한타 싸움을 이끌어 가는 것도 아니고 콜오브듀티의 런앤건처럼 순간의 TTK로 킬스트릭을 쌓아가는 것도 아니고 중간지점에서 애매하게 밸런스가 잡혀있습니다. 불쾌한 골짜기처럼요. 개인적으로 저는 FPS보단 RPG의 PK 느낌이 강하다고 봅니다 이는 1:1 싸움에선 밸런스가 극명하게 갈리지만 다대 전투에선 밸런스가 확연하게 잡히는 특징이 있죠. 그런데 1:1 싸움이 가장 난해하다는 건 가장 큰 약점으로 다가와집니다. 내 빌드는 가위바위보 처럼 한계치가 있고 상대방의 빌드를 이길려면 내가 없던 수, 가위말고 바위 말고 보 말고 "닭발" 이 있어야 됩니다. "닭발"을 파밍하려고 시간을 갈아서 빌드를 맞춰도 상대방이 해당 빌드를 안 들고오면 말짱도로묵이에요. 그래서 하...이 게임의 PVP를 굳이 해야될까라는 박탈감이 오집니다. 이게 정말 악순한의 고리에요. 해당 빌드를 잡으려고 다른 빌드를 들고왔는데 그 빌드를 파밍해놨더니 다른 빌드 들고와서 무용지물로 만들고... 그냥 내가 좋아하는 빌드 하나 챙겨서 내 피지컬이 좋다면 다 이길 수 있게 밸런스를 잡으면 안되는 걸까요. 다른 FPS게임처럼? 전 FPS 게임의 가장 큰 매력이 특정무기 잘 다루면 다 죽이고 다닐 수 있는 거라고 봅니다. 디비전의 PVP는 이런 매력이 전혀 없어요. 다른 길을 선택했죠. 그렇다고 오버워치처럼 탱커가 우직하게 버텨주는 것도 아니고, 팀원들을 지켜줄 수 있지도 않습니다. 방패펴봤자 자신만 살고 팀원들은 갈려나가니깐요. 역할군의 매력이 전혀 없습니다. 그냥 상황, 카운터에 맞는 빌드 입고와서 우다다다 갈구는게 디비전 PVP의 끝이에요. 누가 이런 멋도 없고 매력도 없는 PVP에 유입이 들어오겠습니까. 디비전의 PVP는 확실하게 콘셉을 가져야 된다고 봅니다. 애매하게 중간위치에 있지 말고.
(IP보기클릭)14.34.***.***
디비전은 TPS 루트 슈터이고 거의 완전히 동일한 장르인 보더랜드 시리즈, 데스티니 시리즈와 특징을 거의 모조리 공유 합니다. 다만 루트 슈터 장르중 유난히 튀는(장르 문법을 별로 안따르는) 타르코프와 현대 무기를 사용하는 인간만 드글 드글하다는 사실을 공유하지요. 역활군 특성은 TPS 혹은 FPS에 핵 앤 슬레쉬를 도입해서 루트 슈터로 장르화 하는 과정에서 남은 잔재일뿐 새로운 무언가가 아닙니다. 그리고 핵 앤 슬레쉬는 원래 PvP에 매우 약한 장르 입니다. | 23.09.24 13:03 | |
(IP보기클릭)211.169.***.***
(IP보기클릭)14.34.***.***
하트랜드를 통해 우리 타르코프 삘나게 바꾸면 할거지? 하고 간을 봤는데 시큰둥해서 그럴생각이 없어진게 아닌가 싶습니다. 따라서 하트랜드가 정식으로 서비스 되서 어떤 결과를 가져오느냐 따라 달라질듯 합니다. 서비스 자체를 못하면 나가리구요. | 23.09.24 13:05 | |
(IP보기클릭)123.213.***.***
저는 PVP하려면 다른 대체 게임 선택 범위가 넓어서 굳이 디비전2 안 해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pve에 충실했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시뮬게임도, 현실성 반영하는 타르코프도 아니고 (애초에 탄창크기,휴대 아머량,아머,체력등등 부터 현실성 타르코프와 비교할 것도 아니고.) 루트 슈터 게임이라서. 다크존도 그대로 두고 pve로 바꿔 줬으면 좋겠습니다. PVP 원하는 유저들 위해서 카운트다운 또는 뉴욕맵 같이 아예 분리해 버려서 진입하게 할 수 있게 희망합니다.
(IP보기클릭)14.34.***.***
PvE 경험이 PvP 로 연결되지 못해서 PvP를 굳이 해야하나 싶게 만듭니다. PvE와 PvP가 비교적 대등한 경험을 제공했으면 다들 쉽게 쉽게 넘어갔을겁니다. 장비 쓰는거 까지도 달라져버린 현재엔 불가능하진 얘기겠지만요. | 23.09.24 13:07 | |
(IP보기클릭)211.206.***.***
(IP보기클릭)14.34.***.***
하지만 타르코프는 맘 편히 무장할수도 없고 시원하게 총을 갈길수도 없죠. 아마 영원히 그럴겁니다. 발목잡는 하드 코딩과 PvP 밸런스 요소만 아니었다면 디비전쪽이 플레이 경험 개선도 훨 잘됐을 건데 이제와서 좀 정상화 되는 분위기죠. 개인적인 예상일 뿐이지만 이 페이스로 개선해 가고 템 추가하면서 최소 3년 더 할겁니다. | 23.09.25 01:12 | |
삭제된 댓글입니다.
(IP보기클릭)14.34.***.***
듀얼센스엣지
무슨 의도로 이런 글을 쓰신건지는 알겠으나 제가 본문에서 주장하고자 하는 내용과 맥락이 이어지는것 같지 않아서 별달리 할 말이 없네요. | 23.09.25 21:52 | |
(IP보기클릭)125.190.***.***
(IP보기클릭)175.223.***.***
유비는 3에서 더 많은 노가다를 원할 겁니다. | 23.09.26 19:5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