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텔스 가오의 외장 런너인 I.
굳이 나눌 필요가 없는 날개와 몸통이 스위치로 분리되어 있습니다.
설명서도 날개와 몸통을 각기 따로 조립한 뒤에 합치는 구조죠.
구조상 날개는 아마도 재활용, 몸통만 스텔스 가오 II로 바꾸는 구조로 짐작되네요.
이 경우 날개 끝 외장 부품이 끼워지는 조인트로 프로팰런트 탱크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냐가 관건이겠네요.
노란색 계통의 시스템 인젝션 런너인 A.
만약 개틀링 드라이버가 동봉될 경우 드라이버의 몸통이나 갈기 파츠 등은 공용이므로 스위치가 없습니다.
예외적으로 날개의 GGG 마크만 스위치로 분리되어 있죠.
대부분의 스타 가오가이가 상품이 스텔스 가오 II를 통째로 교체하는 이유 중의 하나가
스텔스 가오는 2부 시점에서 울테크 엔진을 내장하면서 GGG 로고가 녹색으로 변경되기 때문에 1부의 금색 로고는 등장하지 않지만
입체물은 1부의 금색 로고와 상충하는 문제로 그냥 스텔스 가오 II를 통째로 교체하는거죠.
스텔스 가오 II가 나온다면 GGG 마크만 따로 녹색으로 사출하는 구조 같네요.
메인 컬러의 시스템 인젝션 런너인 B.
날개의 라인이나 엔진포트의 부품은 공용인 만큼 따로 구별 없이 하나의 런너이지만
스텔스 가오의 캐노피는 스위치로 분리되어 있습니다.
런너 왼쪽 절반을 공유하는 B2를 위한 설계인 동시에 스텔스 가오 II에서는 필요없기 때문에 빼기위한 설계임을 짐작할 수 있죠.
메카닉 디테일 런너인 H.
콕핏이나 등의 스러스터 등 스텔스 가오의 메카닉 디테일이 스위치로 분리되어 있습니다.
같은 영역에 디바이딩 드라이버의 부품이 포함되는데 개틀링 드라이버가 제공될 경우엔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인것 같네요.
오른쪽 하단은 녹색 클리어 파츠인 H2 런너를 위한 공간입니다.
검은색 외장 런너인 D.
스텔스 가오의 인테이크 커버 파츠가 스위치로 분리되어 있습니다.
해서 런너 배치를 보면 런너 설계 단계에서 재활용을 염두한 날개와 엔진포트, 헬멧 등의 공용 파츠를 제외한
스텔스 가오 I의 대부분의 내외장 파츠는 스위치로 분리되어 있습니다
설정상으로든 작중 묘사로든 스타 가오가이가는 스텔스 가오 I에 추가적인 외장 커버를 씌우고 프로팰런트 탱크를 장비한 것으로 묘사되지만
런너 배치를 보아하니 그것 보단 그냥 몸통만 스텔스 가오 II로 교체할 것 같네요.
(IP보기클릭)211.36.***.***
(IP보기클릭)218.51.***.***
지금까지 나온 입체물 상품중에 커버를 씌우는 기믹을 구현한게 브레이브 합금 하나라고 하더라구요. | 23.10.01 16:15 | |
(IP보기클릭)175.125.***.***
(IP보기클릭)218.51.***.***
다 좋은데 그놈의 전지가동손이 진짜.... 그냥 주먹손 헬앤드헤븐 프로텍트 쉐이드 이렇게 3종 주면 되는데 왜 굳이 전지가동손을 줘가지고 이 난리인지 참... | 23.10.01 16:15 | |
(IP보기클릭)59.15.***.***
(IP보기클릭)218.51.***.***
그냥 이렇게 나올거같다 는 행복회로죠 뭐(...) | 23.10.01 16:1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