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권 내 전용 주력 가변 모빌슈트 구입을 검토하고 있던 카라바의 요청에 의해 애너하임 일렉트로닉스 社로부터 대여된 MSZ-006-3 Z 건담 3호기의 장비를 FXA-01K-VW2 스트라이크 유닛으로 환장한 대기권 내 강습용 테스트 사양. 당초 Z 건담 3호기에는 카라바의 주문에 맞춰, 다양한 추가 옵션 장비가 준비되었고, 그중 하나로 개발된 것이 FXA-01K 웨이브 슈터 유닛의 발전형에 해당하는 강습용 대형 플라잉 아머인 스트라이크 유닛으로, 이를 장착한 MSZ-006-3S 스트라이크 제타는 카라바에 대한 구매를 촉구하기 위해 애너하임 일렉트로닉스 측에서 제안한 사양이다. 기체명은 단순히 '스트라이크 유닛'을 장비한 Z 건담 3호기에 붙은 속칭으로, U.C.0088년 상반기에 배포된 에우고의 출자자 전용 보고 자료에서 그 모습과 명칭이 확인되었다. 덧붙여, 해당 자료에선 스트라이크 유닛의 도입을 위해 출자자들에게 협력을 호소했으며, 최소 시제기 1대가 제작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전에 있어서 스트라이크 제타를 대기권 내 공격기로서 운용하기 위해서는 '공격력의 증강'이 무엇보다 필요했기 때문에, 카라바 상층부에서는 공격력 증강안의 일환으로 그리프스 전역에서 카미유 비단의 MSZ-006-1 Z 건담 1호기가 사용해 큰 전과를 올렸던 FXA-03M2 하이퍼 메가 런처급의 빔 캐논의 탑재가 검토됐다. 그러나, 그 크기나 중량, 형상을 고려하면 대기권 내에서 운용하는 것은 곤란했기 때문에, 이 문제는 난항을 겪게 되었으나 최종적으로는 변형용 서브 유닛에 메가 빔 런처를 편입하는 방안으로 해결안을 찾았다. 이 빔 런처를 구동시키기 위해 서브 유닛 측에는 독립된 제너레이터가 탑재됐으며, 이에 따른 출력 공급에 의해 연사 능력을 획득했다. 이처럼 거대한 메가 입자포를 대기권 내에서 운용한 예는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으며, MS 단체의 전력으로서는 당대 최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또한 본 사양에는 대지·대함 공격용 병장의 탑재도 요구되고 있었기 때문에 각종 미사일과 레이저 유도 폭탄 및 지하 시설 공격용 폭탄을 비롯한 모든 종류를 폭탄을 탑재할 수 있는 격납식 웨폰 베이도 구비되어, 1호기 이상의 종합적인 파괴력을 갖게 되었다.
그뿐만 본 유닛은 멀티 웨폰 유닛이면서도 대기권 내 비행을 위한 변형용 서브 유닛으로서의 역할도 있었기 때문에, 최신 항공역학에 근거한 설계로 제작되어, 플라잉 아머와 조합함으로써 높은 기동성을 기체에 부여하는 공기 역학 기능이 도입되었다. 또한 유닛의 끝 부분에 코제너네이터와 열핵 제트 엔진을 탑재해 각종 무장 장비에 의한 중량 증가에 의한 속도 및 기동력의 저하를 보완했다. 여기에 더해 탑재된 복합 사이클 엔진에 의해 저속에서 마하 10의 극초음속 영역에서의 비행이 가능하며, 1개의 엔진으로 4개의 엔진 특성(제트엔진, 램제트, 스크램 제트, 로켓 엔진)을 구조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처럼 항공역학에 기초한 설계와 고기동성, 모든 목표를 격파 가능한 화력을 갖춘 스트라이크 제타는 슈퍼 멀티 롤 MS라고도 부를 수 있는 다용도 MS로서 완성되었다.
그 밖에 본체는 Z 건담 3호기와 크게 다르지 않지만, 카라바의 주문을 반영한 각 옵션 파츠 및 사이드 아머에 가동식 빔 캐논을 추가 장착하고 있으며, 컬러링은 통상 사양과 동일하면서도 회색 및 보라색 라인 패턴은 모두 배제되어 더욱 심플한 패턴으로 마무리되었다. 또한 전신인 웨이브 슈터나 후에 개발되는 Z 플러스 계열과도 공통점이 많다. 덧붙여, 기체의 소유권은 어디까지나 애너하임 일렉트로닉스에 있기 때문에 실드 표면에 AE의 로고가 마킹되었다.
결과적으로 상당한 비용을 자랑하는 기체가 되었기 때문에, 카라바가 끝내 이 기체를 구입했는지에 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덧붙여, Z 건담 및 그 대기권 내용 장비에 대한 평가 시험을 실시 테스트 파일럿은 여러 명이 담당하고 있지만, 그중에는 1년 전쟁의 영웅이었던 아무로 레이 대위도 포함되어 있다는 미확인 정보도 있다.
Z 건담 3호기의 베리에이션 중 하나인 스트라이크 제타입니다.
특징이 저 실드인데, 설정을 보면 아시겠지만 사실상 이름만 실드지 실드처럼 생긴 메가 빔 런처입니다.
스트라이크 제타의 경우는 첫 출전이 <마스터피스 제타 건담>이라는 서적이고,
해당 서적 때 초출되었을 때는 "이 녀석은 공식 아니에요~"라고 코멘트에 대놓고 박아놨었는데
이후 마스터 아카이브에도 해당 설정이 그대로 기재되었습니다. (그때는 공식 아니라는 코멘트가 없음.)
팩트인지는 모르겠지만, 제가 예전에 나무위키에서 어떤 항목을 봤었는데 (무슨 항목인지는 기억이 안남)
모빌슈트 아카이브 같은 경우는 선라이즈 검수를 안하고 나오는데 마스터 아카이브는 선라이즈가 검수한 공식 설정이다...
...라는 서술을 봤었습니다. 정말 구매하신 분들이 알겠지만은...
뭐 사실 대놓고 비공식인 설정이라는 애들도 결국은 설정 창작자들이 공식 설정에 종사하는 사람들이라
나중에 그 설정이 공식적으로 언급되는 사례도 상당히 많긴 하지요.
참고로 보는 실드의 빔 캐논
121.168.***.***
이것은 수박바어택을 하고도 나는 죽지 않겠다는 강한 의지의 표현
121.168.***.***
이것은 수박바어택을 하고도 나는 죽지 않겠다는 강한 의지의 표현
211.176.***.***
175.208.***.***
223.39.***.***
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