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명 내 눈으로 볼땐 멋지고 이쁜 구도인데, 이상하게 카메라에 담으면 그 느낌이 망가진다는 경험 많으시죠?
그 이유는 바로 시야각의 차이로 인해 피사체의 원근감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시야각이 넓으면 넓을 수록 원금감 또한 깊어지게 되어 피사체의 입체감이 시야각에 따라 달라지게 되죠.
사람 눈으로 작은 모형을 볼때는 작은 피사체에 집중을 하기 위해 자연스럽게 시야각이 좁아지게 됩니다. 그에 반해 카메라로 피사체를 담을때는 시야각이 넓은 상태로 가까이에서 찍게 되기에 눈으로 보는 것과 느낌이 상당히 달라지게 되는 것이죠.
이 부분을 이해했다면 해결책은 간단합니다. 시야각을 좁히면 되죠.
시야각은 간단히 말하면 화면 안에 얼마나 넓은 공감을 담을 수 있느냐입니다. 카메라의 줌을 당겨 주면 담을 수 있는 공간이 좁아지게 되고 이는 시야각을 좁히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습니다.
피규어나 프라모델을 촬영하는 전문 사진사의 모습이 담긴 사진을 보신적이 있을겁니다. 그 사진 속의 사진사들은 절대 모형을 가까이에서 찍지 않습니다. 전부 한걸음 물러난 거리에서 찍고 있죠. 그것은 바로 카메라가 피사체에 다가가는 것이 아닌 물리줌을 이용해 확대해서 찍기 위해서입니다.
서론이 길어졌습니다만 실제 촬영 결과물을 보시면 이해가 바로 되실 겁니다.
211.114.***.***
아이폰 프로맥스같이 아예 망원렌즈가 부착된 스마트폰의 망원과 1렌즈로 디지털줌으로 하는 3배줌은 원근감이 전혀 다릅니다. 후자는 걍 확대라 의미없어요. 광각도 구도에 따라 느낌이 많이 다르니 여러 각도에서 찍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걸프라 같은건 좀 로우앵글로 찍어도 느낌 좋아요
211.114.***.***
좀 더 부가 설명을 해드리자면 광각(넓게)으로 갈수록 원근감이 많아서져 입체적인 느낌이 되고 망원으로 갈수록 배경이 압축되어 좀 더 평면화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물론 이건 디지털방식으로 확대하는게 아닌 아날로그 방식으로 실제 망원렌즈를 사용했을때 이야기입니다.
118.37.***.***
61.41.***.***
211.114.***.***
아이폰 프로맥스같이 아예 망원렌즈가 부착된 스마트폰의 망원과 1렌즈로 디지털줌으로 하는 3배줌은 원근감이 전혀 다릅니다. 후자는 걍 확대라 의미없어요. 광각도 구도에 따라 느낌이 많이 다르니 여러 각도에서 찍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걸프라 같은건 좀 로우앵글로 찍어도 느낌 좋아요
118.223.***.***
제자리에서 디지털줌(크롭)을 하나 광학줌을 땡기나 원근감은 동일합니다. 줌렌즈가 있으면 삼각대에 고정하고 직접 테스트해보면 알 수 있을거고, 없다면 검색하면 관련 자료를 쉽게 찾을 수 있을겁니다. | 23.03.25 23:03 | |
211.114.***.***
네 요건 제가 잘못 이야기했네요 | 23.03.26 00:14 | |
211.114.***.***
좀 더 부가 설명을 해드리자면 광각(넓게)으로 갈수록 원근감이 많아서져 입체적인 느낌이 되고 망원으로 갈수록 배경이 압축되어 좀 더 평면화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물론 이건 디지털방식으로 확대하는게 아닌 아날로그 방식으로 실제 망원렌즈를 사용했을때 이야기입니다.
118.223.***.***
원근감은 피사체와 촬상면과의 거리에 따라서 정해지는거구요, 렌즈 화각과 관계가 없습니다. 광각 렌즈를 사용할 때 망원 렌즈보다 원근감이 더 크게 보이는 이유는 피사체와 카메라의 거리가 더 가까워지기 때문입니다. 위 대댓글과 동일하게 삼각대에 카메라를 고정하고 피사체의 위치도 고정하고 광각 렌즈와 망원 렌즈로 촬영하면 원근감이 동일하단걸 알 수 있습니다. 차이는 망원 렌즈가 확대돼서 보이는 것 뿐이죠. | 23.03.25 23:07 | |
211.114.***.***
고배율 줌렌즈로 직접 나가서 찍어보세요. 광각이랑 망원이랑 배경이 압축되는 느낌부터가 현저하게 차이납니다. 작은 피사체라 그게 덜 두드러지게 보이는 것뿐이지 실제로 렌즈 화각에 따라 그 차이가 느껴집니다. 그리고 당연히 거리에 따라 정해지는건 맞지만 동일한 크기로 찍기 위해 광각으로 앞에서 찍는거와 망원으로 뒤에서 찍는게 원근감이 같아질 수가 없죠. 망원렌즈를 이용한다는게 그런거지 무슨 특성 부위 확대해서 찍는다는 이야기가 아니므로 렌즈 화각과 관계가 없다는 말은 맞지 않습니다. | 23.03.26 00:00 | |
211.114.***.***
자 실 예를 보여드리죠. 얼추 비슷한 크기로 피사체가 들어오게 광각으로 찍은거와 망원으로 찍은겁니다. 이게 화각에 따른 원근감이 없다고 할 수 있나요? 님이 말씀하신건 표현의 범위가 아닌 단순 계산인거죠. 지금 광각과 망원에 따른 표현이나 왜곡등에 대해 이야기 하는데 광각과 망원을 같은 거리에서 찍어서 비교하라는건 여기에 전혀 맞지 않는거죠 | 23.03.26 00:09 | |
116.40.***.***
172.226.***.***
윗분도 말씀하셨다시피 렌즈를 이용한 물리줌을 해야 효과를 볼 수 있는 방법이라, 해당 줌을 이용하면 화질 저하가 전혀 일어나지 않습니다. 원근감이 필요한 피사체나 구도가 아닌 한 줌을 많이 할 수록 깔끔한 사진을 얻을 수 있지만 사실 3~5배를 넘어가면 큰 효과를 보기는 어려워 3배를 추천드립니다. | 23.03.25 21:13 | |
116.40.***.***
오오 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 23.03.25 22:36 | |
118.46.***.***
118.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