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은 원래 카드 게임 만화가 아니었고, 무엇보다 만화의 주제는 '게임'이 아니라 '게임을 통해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입니다.
그렇기에 만화 내에서는 '게임 같은 것보다 사람이 더 중요하다'는 장면이 자주 강조되고, 오히려 듀얼같은 게임 따위로 사람을 다치거나 죽을 수도 있게 만드는 부류의 인간이 사악하거나 추하게 묘사됩니다.
때문에 작중에서 듀얼은 대화의 수단이자 은유입니다. 원작의 게임 룰이 다소 일관적이지 않고 추상적인 면모가 있는 것도 바로 그 때문입니다.
- 유희왕 문고판 13권 후기 中
카이바는 아버지 고자부로의 승리중심주의 사상과 본인의 심한 애정결핍의 결합 때문에 승리에 집착해왔다는 설정이 있습니다.
카이바의 원래 목적은 아템에게 승리하여 배틀시티에서 우승하는 방식으로 최종적으로 고자부로에 대한 콤플렉스를 넘으려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그런 방식은 결국 끝내 고자부로의 사상에 얽매인 채일 뿐입니다.
작가분 또한 배틀시티에서 카이바는 비록 패배했지만, 그로 인해 고자부로에게서 완전히 해방될 수 있었기 때문에 어떤 의미로는 승자라고 표현하신 바 있습니다.(문고판 18권 후기 中) 배틀시티 결말부의 알카트라즈 폭파가 갖는 의미가 바로 그것입니다.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작중에서 듀얼은 대화의 수단이자 은유입니다. 이러니저러니 해도 카이바가 가장 격렬하고 진심으로 부딪쳤던 상대는 아템입니다.
그렇기에 카이바의 인생에서 자신을 가장 잘 이해해줄 수 있는 사람은 바로 아템이었을 것입니다. 유희는 그냥 실력만 좋은 생판남일 뿐이지요.
때문에 저는 신극장판의 일들은 카이바가 자신을 이해해줄 사람이 없어졌기에 생긴 것이라 해석합니다. 그렇기에 신극장판에서 카이바는 거의 기뻐하거나 웃지 않으며, 시종일관 우울하고 조급한듯한 모습을 보입니다.
오벨리스크의 임팩트에 가려지기 쉬운 부분인데요, 그 승부욕 강한 카이바가 유리한 상황임에도 먼저 듀얼 중단을 선언하고 자리를 뜹니다.(DVD 비하인드 영상에도 이에 대한 언급이 있다고 합니다)
오벨리스크가 나왔으니 사실상 카이바의 판정승이라는 평가가 크기도 하지만, 뒤에 나올 아이가미 vs 유희 직전에 자신이 아이가미를 먼저 상대하겠다는 투의 태도로 보아 본인 또한 확실히 결판이 나지 않았음을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거기에 분명 아템과 함께 사라졌을 오벨리스크를 직접 눈 앞에 데려왔으니, 카이바의 아템을 만날 수 있을 것이라는 집념 또한 한층 더 확고해졌을 것입니다.
신극장판에서의 연설 장면입니다.
저는 이 장면이 작가분의 사상을 표현하는 데 사용된 장면이라고 생각합니다.
요약하면 사람은 태생적으로 싸워야 하는 생물이지만, 듀얼을 통해 이제 아무도 다치거나 죽을 필요 없이 마음껏 싸워도 된다는 내용입니다.
현실 세계에서도 경쟁은 절대 없어져선 안되는 것이니만큼, 이렇게 다치거나 죽는 사람 없이 경쟁이 지속되며 끊임없이 발전해나가는 모델이 제가 꿈꾸는 이상적인 사회의 모습이기도 합니다.
마지막 명계 엔딩입니다.
사실 신극장판 이전 단편 만화 TRANSCEND GAME에서부터 이미 카이바는 명계에 진입을 시도한 적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불완전한 시스템 및 키사라로 추정되는 인물과 모쿠바의 개입으로 중단되었지요.
하지만 신극장판의 일들로 인해 결점이 보완되었고 최종적으로 카이바는 목적을 이루는 데에 성공합니다.
때문에 저는 처음 봤을 때 꽤나 감명깊었던 장면이었는데, 언제부턴가 산 자가 저승으로 가면 된다느니 하는 광기 밈으로만 쓰이는 것 같아서 안타깝습니다. 저승으로 간다는 건 여러 신화 등에서도 빈번하게 나오는 소재라 딱히 이상하게 느끼지 않기도 했고요.
어째 카이바에 대한 옹호글을 자주 쓰는 것 같습니다만 제가 원작에서 가장 좋아하는 캐릭터는 죠노우치입니다.(...)
언제부턴가 유희의 무한루프 밈과 더불어(혹시 몰라서 덧붙이지만 애니의 삼환신 공략에서 마그넷 워리어는 합체한 적도 없고 나아가 루프 자체가 나온 적이 없습니다) 카이바도 밈에 먹힌 것 같아서 참 안타깝습니다. 좀 깊게 파고들면 카이바는 열등감에 찌든 캐릭터로 볼 수가 없거든요. 오히려 투쟁광에 가까울 것입니다. 정확하진 않겠지만 당장 생각나는 캐릭터 비유로는 블리치의 자라키 켄파치가 있겠군요.
성질이 급하고 인성이 좀 더러운 건 부정할 수 없겠습니다만. XD
그리고 무엇보다 유희왕은 듀얼에서 이기기만 하면 다 된다거나 유희 짱짱 데단해 하면서 치켜세우는 내용이 아닌데, 라이트팬분들이야 그렇게 이해하실 수도 있겠지만 심한 경우 만화를 제대로 본 적도 없으신 분까지 영향을 받아 이상한 이야기를 하시는 경우까지 있더군요. 요즘 논란되는 요약본만 보는 경우에 비유할 수 있을까요?
아무튼 유희왕 만화를 좋아하기도 하고, 더 깊이 알아보려 여러 자료도 찾아보았지만, 제가 만화와 애니 이야기를 하는 건 이게 마지막이었으면 좋겠군요. 최근 오프 실전 티어게임에도 흥미가 생기게 되면서 여러모로 카드를 보는 마인드가 달라진 것 같습니다.
180.68.***.***
카이바 캐릭터는 전무후무 할 정도로 광기가 가득하고, 신념이 가장 강한 캐릭터 같습니다. 그리고 이 캐릭터에게 서사를 준 작가님도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사족이지만 유희왕 작가님이 보고 싶네요.
118.235.***.***
유대감과 정의는 만화속에서나 나오는 거라 생각했으나 작품처럼 현실에서도 일관되게 용기있고 정의로운 행동 하셨던 유희왕 작가님의 뜻을 기리며... 작가님에 대한 추모의 의미로 유희왕 BGM '우정의 듀얼'을 들으며 작가님의 메시지를 떠올려봅니다
119.204.***.***
여러모로 파격적인 캐릭터이긴 합니다 ㅋㅋ 사인까지 보고 나니 돌아가신 게 더더욱 안타까워요. 참 의인이신데...
1.219.***.***
게임이 아니라 게임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진짜 유희왕이 아니었으면 그 누가 시도했을까..
180.68.***.***
카이바 캐릭터는 전무후무 할 정도로 광기가 가득하고, 신념이 가장 강한 캐릭터 같습니다. 그리고 이 캐릭터에게 서사를 준 작가님도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사족이지만 유희왕 작가님이 보고 싶네요.
119.204.***.***
꿈있는 신의마가
여러모로 파격적인 캐릭터이긴 합니다 ㅋㅋ 사인까지 보고 나니 돌아가신 게 더더욱 안타까워요. 참 의인이신데... | 23.01.29 18:35 | |
1.219.***.***
게임이 아니라 게임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진짜 유희왕이 아니었으면 그 누가 시도했을까..
119.204.***.***
게임도 게임이지만 만화로서도 오랫동안 사랑받는 이유가 있다고 느낍니다. | 23.01.29 18:36 | |
118.235.***.***
유대감과 정의는 만화속에서나 나오는 거라 생각했으나 작품처럼 현실에서도 일관되게 용기있고 정의로운 행동 하셨던 유희왕 작가님의 뜻을 기리며... 작가님에 대한 추모의 의미로 유희왕 BGM '우정의 듀얼'을 들으며 작가님의 메시지를 떠올려봅니다
119.204.***.***
슬프고 안타까운 일입니다.. | 23.01.29 18:37 | |
110.11.***.***
카이바에 대한 해당 분석글이 정말 잘 맞다고 느껴지는 부분이, 마지막 유우기와 카이바의 듀얼에서 나오는 이 장면입니다. 거의 대부분의 상황에서 침착하던 카이바가, 해당 장면에서 아템의 소생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때 그것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정말 드물게도 악에 받혀 소리를 질러가며 부정하는 장면이죠... (성우의 열연이 그야말로 혼연일체가 된 장면입니다) 카이바가 이렇게까지 괴성을 내질렀던 경우는 DM 어느 시즌에도 없었습니다. 굳이 비교하자면 노아 일행과의 듀얼 중 모쿠바를 되돌리기 위한 순간들에서나 비슷하게 있었던 일입니다. 다만 그때는 간절한 마음으로 긍정하는 갈망이였다면, 이때는 필사의 마음으로 부정하는 절규에 가까운 발악이였다는 것이 참 안타까운 부분입니다.
119.204.***.***
재미있게 읽어주셨다니 기쁩니다. 말 나온 김에 저 장면에 대한 개인적인 추측이 있는데요, vs유희 전에서 카이바의 객관적인 패인은 '고속영창'이라는 함정을 발동해버린 것입니다. 하지만 고속영창은 저때 뜬금없이 등장한 카드가 아닙니다. 맨 처음에 아이가미와의 듀얼에서도 패에 잡혀있는 장면이 나오는데, 그때는 전혀 쓸 기회가 없었던 완전한 말림패였습니다. 이름도 '고속영창'이고, 아무짝에 쓸모도 없었고 종국에는 카이바의 패배에 일조하는 역할이니, 저는 저 카드가 카이바의 성급하고 광기어린 마인드를 나타내는 카드가 아니었을까 생각합니다. | 23.01.30 10:11 | |
121.164.***.***
119.204.***.***
재미있게 읽어주신 것 같아 기쁩니다. :) | 23.01.30 10:14 | |
218.157.***.***
119.204.***.***
확실히 그렇게 느끼실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실제로도 그에 대한 별 설명 없이 어물쩡 넘어간 것 같긴 한데, 유희와 아템을 구분하고 있다는 점에서 카이바도 오컬트를 어느 정도는 받아들이지 않았을까 합니다. 마지막 결말과 결부시켜보면 그래도 오컬트보다는 과학을 더 우월시하는 경향은 남아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 23.01.30 10:1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