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글쓰기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유머] 1950년대 그림 수준ㅋㅋㅋ [53]


profile_image
profile_image (4083868)
139 | 53 | 30027 | 비추력 415021
프로필 열기/닫기
글쓰기
|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댓글 | 53
1
 댓글


(IP보기클릭)211.232.***.***

BEST
실물 아트는 온전히 느낌을 받으려면 실물을 직접 접하는게 존나 중요하긴 함.
25.11.14 15:53

(IP보기클릭)182.229.***.***

BEST

25.11.14 15:56

(IP보기클릭)182.229.***.***

BEST
게르니카가 벽 한 면을 가득 채울 정도라 엄청나다던데
25.11.14 15:55

(IP보기클릭)118.235.***.***

BEST
유화는 진짜 전부 직접 봐야함. 그 두께감이라던지 유화의 반질거림이라던지 붓터치의 거칠기에서 나오는 그 모든 감각이 다르기 땜에... 보는 각도 따라서도 다르게 느껴지고.
25.11.14 15:58

(IP보기클릭)211.232.***.***

BEST
붓터치나 화구의 질감이나 두깨감 크기가 주는 박력 런건 화면으로는 느끼기 어려워서
25.11.14 15:54

(IP보기클릭)106.102.***.***

BEST
예술 작품들 실물로 보면 압도당하는 무언가가 있음
25.11.14 15:56

(IP보기클릭)106.102.***.***

BEST
생각보다 작네
25.11.14 15:57

(IP보기클릭)211.232.***.***

BEST
실물 아트는 온전히 느낌을 받으려면 실물을 직접 접하는게 존나 중요하긴 함.
25.11.14 15:53

(IP보기클릭)211.232.***.***

BEST
짜장면맨
붓터치나 화구의 질감이나 두깨감 크기가 주는 박력 런건 화면으로는 느끼기 어려워서 | 25.11.14 15:54 | | |

(IP보기클릭)116.46.***.***

짜장면맨
그림가지고 유난떠네 라고 생각했는데 전시회 가서 직접보니까 저말이 이해되더라 | 25.11.14 16:01 | | |

(IP보기클릭)218.239.***.***

짜장면맨
특히나 유화는 더더욱 실물을 봐야함. | 25.11.14 16:08 | | |

(IP보기클릭)118.235.***.***

짜장면맨
ㄹㅇ 나도 몬드리안 그림들 걍 시쿤둥하다가 실물로보니까 느낌이 확다르더라 | 25.11.14 16:08 | | |

(IP보기클릭)223.39.***.***

짜장면맨
규모에서 주는 압도감이 있지 미디어 아트 전시관 같었는데 높이 10미터 폭 50미터쯤 되는 벽에 작품을 전시하니 압도 당하더라 | 25.11.14 16:16 | | |

(IP보기클릭)182.229.***.***

BEST
게르니카가 벽 한 면을 가득 채울 정도라 엄청나다던데
25.11.14 15:55

(IP보기클릭)182.229.***.***

BEST
긴글

| 25.11.14 15:56 | | |

(IP보기클릭)106.101.***.***

긴글
나치 : "당신이 게르니카를 그렸소?" 피카소: "아니. 당신들이 그린거요." | 25.11.14 16:03 | | |

(IP보기클릭)106.102.***.***

BEST
예술 작품들 실물로 보면 압도당하는 무언가가 있음
25.11.14 15:56

(IP보기클릭)118.235.***.***

와츄고나두
25.11.14 15:56

(IP보기클릭)175.196.***.***

그대로만봐도 역동성이 오짐
25.11.14 15:56

(IP보기클릭)124.216.***.***

제주도에 이중섭 박물관 있는데 가서 실물보면 느낌이 많이 다르긴하죠
25.11.14 15:56

(IP보기클릭)118.235.***.***

소닉워터
난 그 바로 앞에 있는 호텔에서 머물고 실제 가봤는데 나한테 와닿는건 없었음.....취향 차이일듯 | 25.11.14 16:02 | | |

(IP보기클릭)118.235.***.***

비밀암호요원
미적 소질이 난 없어서 그런가.. | 25.11.14 16:02 | | |

(IP보기클릭)39.7.***.***

비밀암호요원
미술은 원래취향 차이임. 여기에 역사성도 중요. 단적으로 모나리자는 원래 이정도로 유명한 작품이 아니었음. 무엇보다 작품가격과 해당작품의 미적 수준은 별개니까 그냥 맘편하게 보고 님 맘에 들면 그게 님한테는 좋은 작품인거고 여기에 님 맘에 안들어도 아 남들은 좋아할수있겠구나 이런 마음이면 충분함 | 25.11.14 16:13 | | |

(IP보기클릭)125.185.***.***

비밀암호요원
개인적으론 너무 작아서 의외로 나도 그냥 그냥이였어.. 차라리 화면으로 보는게 더 강렬하고 인상적이였음.. 가로 세로 3배만 컸어도 안그랬을 것 같은데, 의외로 그림이 너무 작았어. | 25.11.14 17:58 | | |

(IP보기클릭)14.49.***.***

비밀암호요원
그야 이중섭 박물관에는 저 흰소.를 포함한 이중섭의 대표작들은 없으니까.. | 25.11.14 18:02 | | |

(IP보기클릭)106.102.***.***

BEST
생각보다 작네
25.11.14 15:57

(IP보기클릭)125.185.***.***

지구폭팔
이중섭 작가가 원채 없이 살아서 그런가 그림들이 대부분 작아. 꽤 유명한 것중에 엽서 크기인 것도 있음.. 그래서 개인적으로 이중섭 작가껀 걍 큰 화면으로 보는게 더 압도적인 위압감이 있음.. 전짜 의외로 너무 작아. | 25.11.14 18:00 | | |

(IP보기클릭)1.239.***.***

지구폭팔
수특이었나 거기서 시가 나오는데 해석보니까 엄청 가난하더라 | 25.11.14 21:02 | | |

(IP보기클릭)14.35.***.***

코스모스창고
사실 담배 은박지에 그린 일화를 보면 그럴법도 하다 싶음 | 25.11.14 21:39 | | |

(IP보기클릭)223.39.***.***

지금 다시 봐도 엄청난 그림이야
25.11.14 15:57

(IP보기클릭)118.235.***.***

BEST
유화는 진짜 전부 직접 봐야함. 그 두께감이라던지 유화의 반질거림이라던지 붓터치의 거칠기에서 나오는 그 모든 감각이 다르기 땜에... 보는 각도 따라서도 다르게 느껴지고.
25.11.14 15:58

(IP보기클릭)223.39.***.***

30cm 황소 쥬지면
25.11.14 15:58

(IP보기클릭)118.235.***.***

보추의칼날
유게이 합격 | 25.11.14 16:03 | | |

(IP보기클릭)211.234.***.***

이건희 컬렉션에 있었던
25.11.14 15:58

(IP보기클릭)211.234.***.***

유화는 실물로보면 입체적이기도 해서
25.11.14 15:59

(IP보기클릭)14.49.***.***

크기까지 그림에 포함된 것이니
25.11.14 15:59

(IP보기클릭)106.101.***.***

진짜 크기라는건 생각보다 감상에 엄청 큰 영향을 주더라 42cm짜리 로리피규어 실물로 보니까 엄청나더라고
25.11.14 15:59
파워링크 광고

(IP보기클릭)222.106.***.***

행인A씨
그건 ㅇㅈ이지 | 25.11.14 16:00 | | |

(IP보기클릭)118.235.***.***

행인A씨
? | 25.11.14 16:00 | | |

(IP보기클릭)121.183.***.***

행인A씨
어... 그치 | 25.11.14 16:02 | | |

(IP보기클릭)118.235.***.***

암만 봐도 저 눈깔이 날 미치게 해
25.11.14 16:00

(IP보기클릭)124.50.***.***

예전에 책에서 그냥 캔버스에 빨간칠 한게 뭐가 그림이고 예술이냐 했었는데 나중에 기회가 생겨서 미술관 가서 본 비슷한 그림이 서로 다른 방향과 크기로 붓질이 되어있고 크기도 한 2미터 라서 색깔에 압도되는 기분이었음
25.11.14 16:04

(IP보기클릭)121.190.***.***

30cm × 41.7cm 작은 거 아냐? 아닌감?
25.11.14 16:10

(IP보기클릭)118.235.***.***

서르
첨에 m를 장못 적었나? 했음.. cm면 너무 작으것 아님? A3사이즈 정도려나.. | 25.11.14 17:34 | | |

(IP보기클릭)125.185.***.***

서르
이중섭 작가는 못살아서 그런가 작품들이 대부분 작음.. 엽서에 그린 그림도 많은 상황. | 25.11.14 18:01 | | |

(IP보기클릭)116.32.***.***

루리웹-92736366
420x297 a3 맞네 | 25.11.14 20:11 | | |

(IP보기클릭)118.39.***.***

근데 그냥 봐도 이게 뭔가 싶은 추상화들도 없는건 아님. 제목마저 없음. 해설자 없으면 그냥 물감낭비같은 작품인데 알고보니 옛 추억과 그리움이라던가 그런 의미였다.
25.11.14 16:10

(IP보기클릭)211.234.***.***

나 저거 실제로 봤었는데 뭔가 나는 저 그림보다 가족보고싶어서 편지쓴거가 더 눈길가더라 좀 슬펐음
25.11.14 16:12

(IP보기클릭)121.152.***.***

실물로 한 번 봤는데 진짜 개쩌는 그림이 뭔지 알게 됨. 초중고 미술사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이유가 있음.
25.11.14 16:13

(IP보기클릭)175.200.***.***

부산에서 이중섭전 할 때 봤는데... 와 진짜 천하장사 마돈나에서 느꼈던 씨름의 육중함 그런 느낌 같은걸 받았음. 소를 이루는 선들이 모두 힘이 빡들어간 느낌이었음. 그때가 결혼 전이었는데...
25.11.14 16:20

(IP보기클릭)211.196.***.***

소도 굉장한 작품이지만 개인적으로 가족들에게 보낸 편지삽화나 군동화, 가족 생활상을 그린 작품들이 너무 가슴이 따뜻해져서 더 좋음
25.11.14 17:15

(IP보기클릭)112.220.***.***

진짜 명작은 실제로 대면했을때 뭔가 위압감이나 전율을 받는다고 하는데 박물관 가서 그런느낌을 받은적이 없어서 나한테는 그냥 귀신은 영감있는 사람만 보이고 기 쎈사람은 못봐요 같은 소리처럼 들림 뭔가 너는 못느껴요 에베베 같은 선민 사상같아서 기분나쁘기도 하고 본인한테는 진짜일 수 있겠지만 착각은 아닐까? 혹시 진짜랑 가짜랑 놓고 테스트 하면 맞출 수 있을까 같은 실험해보고싶기도 하고
25.11.14 17:27

(IP보기클릭)125.185.***.***

Nintendo®
사실 문화는 취향의 영향을 엄청 탐. 룰웹은 피규어에 돈 퍼붓는 사람들 많지만, 상당수 사람들은 도대체 왜 그런거에 수십만원을 쓰는 거야 하는 것처럼. 자기 취향아니면 당연히 감동이 없을 수 있음. 게다가 문화를 즐기는 부분에선 어릴 때부터 감상의 연습이 좀 필요하긴 함. 다른 뭣보다 이게 얼마나 쩌는 건지를 이해하는게 중요함. 예를 들어 세계 최고 수준의 피아니스트가 연주를 해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게 세계 최고 수준의 연주라는 걸 모름. 이사람이 이번 대회에서 최고상을 수상한 피아니스트입니다 라고 이야기 해줘야 그게 최고수준의 연주라는 걸 이해할 뿐.. 본인이 이런 수준이면 제대로 감상이 될리가 없지. 근데 세상에 문화라고 할만한 분야가 무쟈게 많은데, 모든 문화에 대해서 이런 식견을 가지는건 불가능하니까, 이미 만들어진 자기 취향에 충실하면 됨. 취미로써 늘려보고자 하면, 그때 좀 파보는 거고. | 25.11.14 18:06 | | |

(IP보기클릭)125.185.***.***

Nintendo®
실제로 이런 식이라서, 님이 마지막에 지적한 실험을 진짜로 하면 그냥 아는척 할 뿐제대로 인지 못하는 사람 천지임. 단정할수 있음. 계속 피아노로 예를 들어 보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피아노를 배워보지 않았고, 듣는 연습도 잘 되어 있는게 아니라서, 이게 제대로 연주하고 있는건지 구분못 함. 듣는 연습이 안되어 있는데 확실히 소리가 튀는 거면 모를까 16음표로 연주해야하는 거, 그거 살짝 길게했다고 짧게 했다고 느끼는 사람이 몇이나 되겠음. 그 음식관련 만화 짤방으로 '음식을 먹는게 아니라 정보를 먹고 있는 거다'라는 유명한 문장이 사실은 이 문화 부분에서도 엄청나게 맞는 말임. 그저 위대한 피아니스트의 연주라고 하니까, 그렇게 인식하고 듣는거지. | 25.11.14 18:18 | | |

(IP보기클릭)211.195.***.***

30cm면 a4보다 약간 큰건데 어떻게 압도적으로 느껴지지..
25.11.14 17:36

(IP보기클릭)220.76.***.***

미술 작품은 보는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실제로 봐야 그 크기와 웅장함에 압도 당한다 생각함..
25.11.14 17:38

(IP보기클릭)210.120.***.***

난 아담의 창조랑 피리부는 소년. 바티칸이랑 오르세에서 봤는데 둘다 다른 의미로 좋아서 계속 보고 있었음
25.11.14 18:20

(IP보기클릭)211.106.***.***

사이즈를 표기할 땐 "가로*세로"임.
25.11.14 18:24

(IP보기클릭)27.117.***.***

고흐는 실물로보면 회화라기보다 부조같은 느낌
25.11.15 00:04

(IP보기클릭)182.210.***.***

난 모나리자가 그렇게 작은지 몰랐지..실물 전시로 보니 엄청 작더라.....
25.11.15 03:07


1
 댓글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