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word":"\u3147\u3147\u3131","rank":0},{"keyword":"\ube14\ub8e8\uc544\uce74","rank":0},{"keyword":"\uc820\ub808\uc2a4","rank":4},{"keyword":"\ubc84\ud29c\ubc84","rank":-1},{"keyword":"\ucf00\uc774\ud31d","rank":-1},{"keyword":"\ud2b8\ub9ad\uceec","rank":-1},{"keyword":"\ub9bc\ubc84\uc2a4","rank":-1},{"keyword":"\uba85\uc870","rank":1},{"keyword":"\ub2c8\ucf00","rank":1},{"keyword":"\ub358\ud30c","rank":-2},{"keyword":"\ub9c8\ube44m","rank":8},{"keyword":"\ub864","rank":"new"},{"keyword":"\ub9d0\ub538","rank":-1},{"keyword":"\uc6d0\ud53c\uc2a4","rank":1},{"keyword":"\uc6d0\uc2e0","rank":-4},{"keyword":"\ub3c4\ub85c\ub871","rank":4},{"keyword":"\uc11c\ucf54","rank":-4},{"keyword":"@","rank":-2},{"keyword":"\uac74\ub2f4","rank":-1},{"keyword":"\uc720\ud76c\uc655","rank":2},{"keyword":"\uc6cc\ud574\uba38","rank":-7},{"keyword":"\ub77c\uc624","rank":-1}]
(IP보기클릭)223.39.***.***
인건비 상승이 물가상승의 요인중에 하나인건 그냥 팩트 아닌가 이걸 부정하는건 좀 물론 물가가 오르니 인건비 상승이 요구가 되는거고 기업은 손해보기 싫으니 가격 인상으로 대응하고 원자재 가격이 내려오면 그걸 마진으로 챙기고 욕심의 문제라 해결 하기 힘듬
(IP보기클릭)106.102.***.***
근데 다른 요인을 최저임금만큼이나 다루르냐 하면 그게 아님. 최저임금인상이 만악의 근원인 것처럼 대하니 문제지.
(IP보기클릭)119.207.***.***
최저임금이 물가 상승률에 영향이 크다 = 최저임금을 최고임금으로 주는 직종이 많다라고 생각하고 있음
(IP보기클릭)175.204.***.***
왜 안 끼치겠오...
(IP보기클릭)118.235.***.***
인건비가 고정지출액 대비 큰 부분을 차지하는가를 따져봐야지
(IP보기클릭)218.148.***.***
그건 그냥 사람 쳐내는게 쉽고 빨라서 그런거 아님? 원자재값, 물류 운송비용, 환율 이런건 다 기업이나 공장에서 어떻게 할 수가 없으니 못 건드리는거고
(IP보기클릭)211.235.***.***
임금상승이 물가상승에 영향을 준 큰 요소중 하나일 뿐인데 최저임금때문에 물가가 자꾸 오르고 물가가 오르니까 임금은 동결해야한다고 주장하는 게 존나 가증스러운거지. 실질적 임금상승속도보다 물가상승 속도가 훨씬 빠른데 무슨 임금때문에 물가가 오른대
(IP보기클릭)223.39.***.***
인건비 상승이 물가상승의 요인중에 하나인건 그냥 팩트 아닌가 이걸 부정하는건 좀 물론 물가가 오르니 인건비 상승이 요구가 되는거고 기업은 손해보기 싫으니 가격 인상으로 대응하고 원자재 가격이 내려오면 그걸 마진으로 챙기고 욕심의 문제라 해결 하기 힘듬
(IP보기클릭)1.227.***.***
그런데 진짜 영향을 미칠정도냐는거지 | 25.07.14 11:26 | | |
(IP보기클릭)59.12.***.***
다른 요인의 영향이 있긴 하지만 없다고도 못한다는 거잖음 | 25.07.14 11:30 | | |
(IP보기클릭)175.204.***.***
Bsi인증 루리웹_맑스
왜 안 끼치겠오... | 25.07.14 11:31 | | |
(IP보기클릭)106.102.***.***
야자와 니코니코
근데 다른 요인을 최저임금만큼이나 다루르냐 하면 그게 아님. 최저임금인상이 만악의 근원인 것처럼 대하니 문제지. | 25.07.14 11:32 | | |
(IP보기클릭)175.116.***.***
인건비 오르는데 영향이 없을수가 있나. | 25.07.14 11:32 | | |
(IP보기클릭)223.39.***.***
https://www.bok.or.kr/portal/bbs/B0000347/view.do?nttId=10071844&menuNo=201106 한국은행 자료 | 25.07.14 11:33 | | |
(IP보기클릭)211.234.***.***
기업들, 특히 공장에서 어려워지면 왜 사람부터 쳐내겠냐고ㅋㅋㅋ 비중은 몰라도 인건비가 물가에 영향이 없을 수가 없지 | 25.07.14 11:33 | | |
(IP보기클릭)61.99.***.***
결국 증명이 안됐다는거지 어느정도 영향력을 가지는지 그리고 관계가 어떤관계인지 | 25.07.14 11:33 | | |
(IP보기클릭)59.12.***.***
이 글이 말하는 그 글이 내가 본 그 글이 맞다면 그냥 외식물가는 소비자 물가보다 영향이 좀 더 크긴 함. 이정도의 뉘앙스긴 했음. 타 영향이 있다는 거 작성자도 부정하지 않았고 | 25.07.14 11:33 | | |
(IP보기클릭)223.39.***.***
환급해주면 물가 오르니 환급하지 말자라고 하면 수긍할래? | 25.07.14 11:34 | | |
(IP보기클릭)1.227.***.***
하지만 다른 외부 요인들도 비교 안하고 영향있다고만 하면 최저임금 오로지 때문에 오른걸로 오해받을 수 있잖아 | 25.07.14 11:34 | | |
(IP보기클릭)121.165.***.***
이건 너무 억지아닌교 | 25.07.14 11:35 | | |
(IP보기클릭)218.148.***.***
아리마스펜
그건 그냥 사람 쳐내는게 쉽고 빨라서 그런거 아님? 원자재값, 물류 운송비용, 환율 이런건 다 기업이나 공장에서 어떻게 할 수가 없으니 못 건드리는거고 | 25.07.14 11:36 | | |
(IP보기클릭)118.235.***.***
소상공인에겐 직격타가 맞긴해. | 25.07.14 11:36 | | |
(IP보기클릭)211.36.***.***
그게 미비하다는게 논문으로 나오고 있어서 | 25.07.14 11:37 | | |
(IP보기클릭)211.234.***.***
설비 유지보수 비용을 겁나게 줄이거나 원자재도 알게 모르게 비율 조정해서 절감 오지게들 해... 당장 우리 회사만 해도 ㅅㅂ 하 베어링이랑 케이싱까지 해서 3천원짜릴 어디서 구해오는건지; 차장놈 갈통 열어보고싶네 | 25.07.14 11:38 | | |
(IP보기클릭)223.39.***.***
그렇지 않다는 결과도 있잖음... 보고싶은거만 볼게 아니라 다른것도 보고 그래야지 물론 나도 돈 더 받고 싶은 노동자이긴하지만... | 25.07.14 11:39 | | |
(IP보기클릭)218.148.***.***
같은 비율, 재료 원자재랑 비교해야지 비율 조정해서 절감하는 원자재랑 비교를 왜 해.. | 25.07.14 11:40 | | |
(IP보기클릭)211.234.***.***
어떻게 손 못댄다니까 한 이야기인데 음.... 아무튼 인건비 절감할 때 오면 다른곳도 다 손보니까 | 25.07.14 11:43 | | |
(IP보기클릭)1.227.***.***
여기 들가서 보면 과거 90년대 임금 상승률로 인플레 영향 설명하고 있음 근데 내가 가져온 논문은 2010부터 17까지이고 모든 임금상승이 아니라 최저임금만을 사용해서 가져온 논문임 90년대에는 10퍼씩 최저 올리기도 했는데 그때는 맞았을 지도 모르지만 이걸 최근 상황이랑 비교는 안맞는거 같음 | 25.07.14 11:44 | | |
(IP보기클릭)1.231.***.***
인건비 별것 아닌것 처럼 생각하는 사람들 많은데 연봉 2천 5명이면 단순 급여만 1억임. 거기에 부대비용까지 따지면 쭉쭉 오르죠. 여기서 좃소취급하는 기업들도 연 인건비만 몇억에서 몇십억대에 달하는 경우가 허다하죠. 인건비가 상승하면 생산비용도 따라 오르고 그냥 모든게 오르죠. 거기서 비용절감을 하려면 어떻게 될까요. 요즘 일반 프랜차이즈에서 키오스크를 많이 두고 공장들에서도 기계화를 서두르는 이유는 뭐 뻔한거죠. | 25.07.14 11:49 | | |
(IP보기클릭)211.234.***.***
어지간한 사람들도 알고는 있긴 할 거야 문제는 기업 따까리질하는 경제지놈들부터 시작해서 최저임금이 물가에 어쩌고저쩌고 하다보니; 임금을 믈가에 엮으면 조건반사마냥 부정적으로 나오는 사람들이 있어서 말할 때 조심하긴 해야지... | 25.07.14 11:54 | | |
(IP보기클릭)1.227.***.***
인원 한명 더 추가 하는것도 아니고 기존 인원에 최저 상승률 맞춰서 못준다는건 걍 사장 그만두고 알바하는게 낫지 | 25.07.14 11:55 | | |
(IP보기클릭)1.231.***.***
문제는 내 인건비만 오르는게 아니라서죠. 그래서 비용절감에 최선을 다하는거겠죠. 그리고 님 말마따나 인건비 상승을 못따라가서 고용축소, 가족경영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죠. 그래서 서민들 일자리가 축소되어 가고 있구요. 이건 인건비 상승을 막자는게 아니라 정부 단위의 대책이 필요한것임. | 25.07.14 12:06 | | |
(IP보기클릭)1.231.***.***
경제지야 뭐...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물자를 수입에 의존하다보니 변동성도 심하고 아직 제조업 비중이 높아서 초저가 물량공세를 하는 중국영향이 커서 참 문제죠. | 25.07.14 12:09 | | |
(IP보기클릭)118.235.***.***
말한대로 가게, 사업 그만두고 일자리 구하는 사람들 많음. 그리고 그만큼 일자리도 줄었음. | 25.07.14 12:18 | | |
(IP보기클릭)1.227.***.***
그게 최저임금상승 때문이면 그냥 부동산만 쥐고 나라망하는게 맞지 | 25.07.14 12:22 | | |
(IP보기클릭)118.235.***.***
하다 못해 카페나 편의점같은거만 봐도 최저임금이 늘면 들어오는 재료나 물건값, 알바생 임금같은거 해서 추가지출 수십만원이 늘어남. 이런걸 생각 안 하고 최저임금 상승이 미치는 영향이 미비하다 말해봐야 실제로 가게운영 한번이라도 해본 입장에선 어이가 없을 수 밖에 없음. | 25.07.14 12:27 | | |
(IP보기클릭)119.207.***.***
최저임금이 물가 상승률에 영향이 크다 = 최저임금을 최고임금으로 주는 직종이 많다라고 생각하고 있음
(IP보기클릭)1.231.***.***
각 업종마다 시장 규모도 다르고 이득도 달라서 어디는 최저임금의 수십배를 어디는 최저임금도 간신히 인 경우도 있죠. 잘난척 오지게 하던 유럽국가들도 불체자와 이민자를 초저임금으로 착취해서 특정분야 저물가를 유지해 오던게 발각되기도 했죠. 산업의 단계가 낮으면 낮을 수록 수익 자체도 작다보니 일어나는 일이기도 한듯. | 25.07.14 11:43 | | |
(IP보기클릭)175.117.***.***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211.235.***.***
(IP보기클릭)211.235.***.***
Cacocia-Homu!
임금상승이 물가상승에 영향을 준 큰 요소중 하나일 뿐인데 최저임금때문에 물가가 자꾸 오르고 물가가 오르니까 임금은 동결해야한다고 주장하는 게 존나 가증스러운거지. 실질적 임금상승속도보다 물가상승 속도가 훨씬 빠른데 무슨 임금때문에 물가가 오른대 | 25.07.14 11:34 | | |
(IP보기클릭)220.87.***.***
(IP보기클릭)218.158.***.***
하나일 뿐인걸 전체로 호도하다가 이제 반박하니 아닌데 무조건최저임금탓인데수 하는 놈들이 꽤 있음. 위에도 보이네 머. | 25.07.14 11:35 | | |
(IP보기클릭)211.234.***.***
(IP보기클릭)118.235.***.***
인건비가 고정지출액 대비 큰 부분을 차지하는가를 따져봐야지
(IP보기클릭)106.102.***.***
근데 보면 지출중에 본사 납입금이 젤큼. 임대료도 만만찮고 여기서 여겨볼건 본사랑 건물주를 건드리기엔 그들 체급이 건들기 힘들다는거지 그러니 최저임금으로 난리인거고 차라리 임대료나 본사납입금같은 것도 같은 수준으로 다루면 최저임금 상승률로 불만나오는게 더 줄듯? | 25.07.14 12:08 | | |
(IP보기클릭)61.99.***.***
(IP보기클릭)61.84.***.***
(IP보기클릭)218.148.***.***
그렇다고 최저임금 동결 내지 내리면 물가도 동결 내지 내리나? 하면 또 아닌데 최저임금만 붙잡고 늘어지는게 웃긴거임. | 25.07.14 11:48 | | |
(IP보기클릭)61.84.***.***
최저임금이나 물가가 동결되거나 내린적이 있었어? 매년 꾸준히 올랐고, 10년단위로 보면 최저임금이 물가보다 더 상승률이 높았는데? | 25.07.14 11:50 | | |
(IP보기클릭)119.198.***.***
(IP보기클릭)61.84.***.***
상가 임대료에 대해 들고 일어나는 집단이 없다고? 그럼 그동안 정치권에서 계속 개정한 상가임대차 보호법은 뭐였는데. 일부 대형부동산이나 기업용 부동산을 제외하면 전국 대부분의 상가 임대인은 조금씩 차이는 있어도 임차인과 다를게 없는 위치임. 상가 한두개 가지고 들어오는 임대료로 노후를 보내는 노인네들이거나 영끌해서 투자한 일반사람들임. 그나마도 요새 상가수익률은 은행이자보다 못한곳도 수두룩하다. | 25.07.14 11:56 | | |
(IP보기클릭)1.231.***.***
재미있는게 온갖 잘난척 하던 유럽국가들이 이민자와 불체자를 초저임금으로 굴려서 낮은 물가를 유지해 왔다는게 발각됐죠. 실제 현지인들이 직접 일하는 외식업계는 살인적인 가격을 보여주는 중이구요.중국의 경쟁력도 이 초저임금이 기본 바탕이죠. 우리도 선진국의 격에 맞는 임금이 되면 유럽처럼 외식은 꿈도 못 꾸고 수리 등도 직접 하게 되겠죠. | 25.07.14 12:31 | | |
(IP보기클릭)211.189.***.***
그냥 최저임금이 높으니까 그만 올리라고 하는거에요. 최저임금이 높을수록 좋으면 그냥 2만원으로 만들면 되는거 아닌가요? 그게 아니죠 최저임금도 적정한 금액이 있는거입니다. 최저임금이 중위소득 대비 60%가 넘어가는 상황에서 | 25.07.14 12:47 | | |
(IP보기클릭)211.189.***.***
최저임금을 올려야 될 명분 자체가 없는거죠. 최저임금을 중위소득 대비 60%가 적정인데, 이미 62% 넘어서고 있죠. 이제는 부작용이 더 많은 지점입니다. | 25.07.14 12:48 | | |
(IP보기클릭)112.216.***.***
상가 임대료야 시장에서 가격이 결정되지 정부가 개입하지 않으니까요 상가 임대료를 법적으로 제한하는 제도가 나오면 최저임금처럼 미친듯이 들고 일어 날겁니다 | 25.07.14 12:54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