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탭갈 했음, 어려운 이야기임, 아무리 쉽게 하려 해도 아직 공부하고 있는 전공자로서는 쉬운 이야기가 안되더라.
배움이 부족한 나를 욕하자---
한 베스트 글에서 암흑물질 그거 관측기술 부족 문제 아님? 이라는 글이 있길래 써봄.
물론 많은 근거들이 있지만, 관측 기술 문제로 암흑물질의 문제를 주장했으니, 특히 은하를 직접 관측한 것을 기반으로 논해볼거임
astro.virginia.edu
만약 암흑물질과 물질이 6:1정도의 질량비를 가진다고 치고,
그러면 시뮬레이션으로 추정되는 암흑물질이 포함된 은하 질량보다 관측되는 (암흑물질이 아닌) 은하 질량의 개수비가 6배 더 적을 것이다! (두번째 사진)
라는 추정으로 관측해보니까 그거보다 더 동떨어짐(첫 번째 사진)을 확인했음
그리고 그 이유로 역학적 문제로 인해서 그거보다 편차가 생김을 추측했고,
Illustris (Genel et al. 2014, MNRAS)
그러면 까짓거 싹 다 시뮬레이션 해보죠? 하니까
이제는 역학적 문제로 인한 오차가 현실과 일치하는 모습을 보여줌
결국 이런 시뮬레이션에서, 관측된 것과 아닌 것으로 시뮬 돌려봐도 그렇고, 암흑물질이 단순히 관측 기술 부족으로 인한 오류로 치부할 순 없음
이 외에도 정말 많은 주장이 암흑물질을 지지하고 있어서
오히려 보이지 않는 질량, 암흑물질이 있어야만 모든 관측이 동시에 설명되기 시작함
그러니 암흑물질이 단순히 안보이는거 아니야? 라는 이야기는 많이 부족한 면이 있음
이 주장이 사실이 되려면 넘어야 할 산이 너무도 많다
(IP보기클릭)59.15.***.***
그냥 임의의 함수값으로 놔둔걸 이름만 좀 간지나게 지었을 뿐인데 사람들은 약간 폴로지스톤/에테르같은 과도기적 공상과학정도로 치부해버리더라고
(IP보기클릭)58.78.***.***
말그대로임 "아니 시팔 여기에 중력이 있을라면 이정도의 질량이 있어야 하는데 왜 관측이 안돼!"<<<이상태가 수십년
(IP보기클릭)110.10.***.***
암흑물질이 무슨 과도기적 임시땜빵 요소 정도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 정도가 아니라 실제 관측결과를 설명하기위한 필수적인 장치임. 암흑물질을 부정하려면 이미 검증이 완벽하게 끝난 기본 물리법칙까지 부정해야돼서 그러는 쪽이 오히려 망상적 헛소리임.
(IP보기클릭)121.139.***.***
(IP보기클릭)116.127.***.***
보이지 않는 질량이라니 개념부터 이해가 안되네;
(IP보기클릭)106.101.***.***
그냥 관측이 안되는거임 예를 들자면 공기는 눈에 안 보이잖아 하지만 존재하는건 알지 우주는 망원경으로 보는 것 이외에는 정보를 얻기 너무 어려워서 빛을 안 내는 애들은 관측이 안됨
(IP보기클릭)122.254.***.***
암흑물질이라고 표현하긴 했지만, 물질이 아니라 아직 우리가 관측하지 못한 에너지의 일종일수도 있다고 하던데. 나도 잘은 모름.
(IP보기클릭)116.127.***.***
보이지 않는 질량이라니 개념부터 이해가 안되네;
(IP보기클릭)122.254.***.***
루리웹-034626775
암흑물질이라고 표현하긴 했지만, 물질이 아니라 아직 우리가 관측하지 못한 에너지의 일종일수도 있다고 하던데. 나도 잘은 모름. | 25.07.10 02:09 | | |
(IP보기클릭)58.78.***.***
루리웹-034626775
말그대로임 "아니 시팔 여기에 중력이 있을라면 이정도의 질량이 있어야 하는데 왜 관측이 안돼!"<<<이상태가 수십년 | 25.07.10 02:12 | | |
(IP보기클릭)106.101.***.***
루리웹-034626775
그냥 관측이 안되는거임 예를 들자면 공기는 눈에 안 보이잖아 하지만 존재하는건 알지 우주는 망원경으로 보는 것 이외에는 정보를 얻기 너무 어려워서 빛을 안 내는 애들은 관측이 안됨 | 25.07.10 02:13 | | |
(IP보기클릭)110.10.***.***
중략 외에는 어떤 상호작용도 없는 입자로 보는거. 그러니 빛과 전파로 우주를 관측하는 인간 입장에서 보이지 않는다고 하는거고. 비유하자면 과거에는 실제 존재하는 전자기파를 눈으로는 볼 수 없어서 직접적으로 존재를 못 느껴왔지만 측정하는 방법을 발견한 후에야 인식이 바뀐거랑 비슷함. 아직 인류는 암흑물질을 검출하는 방법을 못 찾은 것뿐 많은 정황증거가 실제 존재함을 보여주고 있음. | 25.07.10 02:19 | | |
(IP보기클릭)110.10.***.***
중략 -> 중력 | 25.07.10 02:19 | | |
(IP보기클릭)210.222.***.***
물 속에서 물이 잘 안 보이지만 팔 휘적이면 질량 느껴지자나. | 25.07.10 02:21 | | |
(IP보기클릭)14.44.***.***
공기는 눈에 안 보임. 그런데 질량이 있음. 이런게 우주 전체적으로 쫘악~ 퍼져 있다는 말임. 문제는 공기는 측량기기가 존재 하는데 요 녀석은 측량 할 방법을 아직 못 찾고 있음. 이 차이일 뿐임. | 25.07.10 08:10 | | |
(IP보기클릭)121.139.***.***
(IP보기클릭)223.38.***.***
얘 입에서 나오는게 암흑물질이잖아 | 25.07.10 02:11 | | |
(IP보기클릭)223.38.***.***
내 설명능력의 부족이다... | 25.07.10 02:19 | | |
(IP보기클릭)59.15.***.***
그냥 임의의 함수값으로 놔둔걸 이름만 좀 간지나게 지었을 뿐인데 사람들은 약간 폴로지스톤/에테르같은 과도기적 공상과학정도로 치부해버리더라고
(IP보기클릭)112.148.***.***
근데 플로지스톤/에테르도 당시 학자들이 ‘이론상 이런 게 있어야 할 거 같은데…‘라고 생각해서 만든 개념이니까 본질적으로 암흑물질이랑 비슷한 게 맞는 거 아냐? | 25.07.10 02:17 | | |
(IP보기클릭)110.10.***.***
플로지스톤 에테르는 기존 패턴을 보니 이런게 당연히 있겠지?로 시작해서 나온 개념을 실험으로 부정한건데 암흑물질은 관측해보니 이런게 있어야되는데?로 시작한거라 정반대임. | 25.07.10 02:24 | | |
(IP보기클릭)211.234.***.***
그럼 둘 다 관측으로부터 도출한 건데 왜 정반대임? | 25.07.10 02:26 | | |
(IP보기클릭)112.148.***.***
둘 다 이론과 실제 관측결과가 달라서 간극을 메꾸기 위해 만든 개념 아냐? | 25.07.10 02:29 | | |
(IP보기클릭)59.15.***.***
플로지스톤/에테르는 선험적 추론이 우선되어서 제창된 가설이고 관측결과로 이를 부정한것 암흑물질은 목적없이 관측한 결과 중에 선험적 추론으로는 설명이 안되는 관측값이 존재한거고 이를 암흑물질로 임의 명명함 | 25.07.10 02:36 | | |
(IP보기클릭)112.148.***.***
플로지스톤만 해도 처음 주장된 뒤로 논파당하기까지 수십년은 족히 걸렸을텐데 당시 그걸 주장한 사람들 입장에선 선험적 추론으로 설명이 안 되는 실험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만든 개념이라고 보는 게 맞지 않아? 훗날 플로지스톤이 부정당했으니 암흑물질과 다르다는 건 걍 결과론일 뿐이지 | 25.07.10 02:45 | | |
(IP보기클릭)59.15.***.***
일단 플로지스톤은 이미 당대에 관측값이 이론을 부정하고있었음 나무가 타면 질량이 줄어드는데 금속이 타면 질량이 늘어나거든. 이건 당대에도 관측한 실험값이고 플로지스톤 가설 자체의 무결성을 믿으며 관측값에대한 임의의 가설을 덧붙이던게 당대의 가설이었음 고로 암흑물질 가설과 다름. 지금 이 가설은 관측값으로 부정당하지 않거든. | 25.07.10 02:56 | | |
(IP보기클릭)211.225.***.***
(IP보기클릭)58.78.***.***
하지만 수십년전에 이미 반박됨 그비율차이가 존나 안줄어드는게 밝혀져서 MACHO (Massive Compact Halo Objects) 근데 적색왜성은 수명이 존나긴 별이고 갈색왜성은 별이 되다만 행성도 아닌 무언가 일뿐 마초 조차 아님. 적색, 갈색 왜성은 둘다 빛을 내뿜어서 관측이 가능함. | 25.07.10 02:17 | | |
(IP보기클릭)61.254.***.***
(IP보기클릭)61.39.***.***
현대판 에테르라고 '비유'하면 맞음. | 25.07.10 02:40 | | |
(IP보기클릭)110.10.***.***
(IP보기클릭)58.78.***.***
차원 | 25.07.10 02:17 | | |
(IP보기클릭)39.122.***.***
시커면 마음. 흑심 | 25.07.10 02:17 | | |
(IP보기클릭)59.5.***.***
(IP보기클릭)58.78.***.***
f(x)=y에서 x같은 | 25.07.10 02:18 | | |
(IP보기클릭)110.10.***.***
암흑물질이 무슨 과도기적 임시땜빵 요소 정도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 정도가 아니라 실제 관측결과를 설명하기위한 필수적인 장치임. 암흑물질을 부정하려면 이미 검증이 완벽하게 끝난 기본 물리법칙까지 부정해야돼서 그러는 쪽이 오히려 망상적 헛소리임.
(IP보기클릭)106.101.***.***
실제로 수정뉴턴역학이 있긴하지만, 학계에서 잘 안 받아들이고있긴하지 근거가 암흑물질에 비해 너무 빈약함 | 25.07.10 02:17 | | |
(IP보기클릭)125.181.***.***
(IP보기클릭)122.38.***.***
(IP보기클릭)59.15.***.***
(IP보기클릭)49.173.***.***
(IP보기클릭)118.235.***.***
(IP보기클릭)223.38.***.***
그런 발견되지 않은 천체로 관측된 천체와의 질량비 6:1을 설명하지 못한다는거임 암흑물질이 천체였다면, 천체의 형성을 따져보는 시뮬레이션 시도에서는, 보이는 질량보다 6배 더 큰, 암흑물질 질량곡선을 따라가도록 나타났어야 할테니까 | 25.07.10 02:19 | | |
(IP보기클릭)58.78.***.***
아님. 암흑물질은 중력현상외에 아무것도 관측안됨 적색왜성은 별이라 적외선과 전파, 갈색왜성은 별이 되다만 거라 전파 블랙홀은 강착원반등을 통해 간접적인 빛을 내뿜음 | 25.07.10 02:20 | | |
(IP보기클릭)110.10.***.***
최소 은하스케일의 문제라 그런 작은 애들 질량 긁어모아봐야 의미가 없음. | 25.07.10 02:21 | | |
(IP보기클릭)59.28.***.***
(IP보기클릭)211.235.***.***
(IP보기클릭)211.235.***.***
(IP보기클릭)210.222.***.***
(IP보기클릭)112.162.***.***
(IP보기클릭)1.237.***.***
(IP보기클릭)6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