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word":"\u3147\u3147\u3131","rank":0},{"keyword":"\ucf00\uc774\ud31d","rank":3},{"keyword":"\ube14\ub8e8\uc544\uce74","rank":0},{"keyword":"\ud2b8\ub9ad\uceec","rank":-2},{"keyword":"\ubc84\ud29c\ubc84","rank":-1},{"keyword":"\uba85\uc870","rank":0},{"keyword":"\uc6d0\uc2e0","rank":2},{"keyword":"\ub358\ud30c","rank":4},{"keyword":"\ub9bc\ubc84\uc2a4","rank":-2},{"keyword":"\ub9d0\ub538","rank":-2},{"keyword":"\uc57c\uad6c","rank":-1},{"keyword":"@","rank":2},{"keyword":"\uc18c\uc804","rank":-2},{"keyword":"\uc18c\uc8042","rank":2},{"keyword":"\ub9c8\ube44m","rank":2},{"keyword":"\uac74\ub2f4","rank":-3},{"keyword":"\ub2c8\ucf00","rank":-2},{"keyword":"\uc820\ub808\uc2a4","rank":1},{"keyword":"\uc720\ud76c\uc655","rank":"new"},{"keyword":"\ub124\uc774\ubc84\ud398\uc774","rank":-2},{"keyword":"\ucf00\ub370\ud5cc","rank":"new"},{"keyword":"\ub77c\uc624","rank":-1}]
(IP보기클릭)220.89.***.***
(IP보기클릭)175.113.***.***
(IP보기클릭)182.218.***.***
나 궁굼한게 화산재가 햇빛을 가려서 지구가 추워졌다고 하지만 화산재로 층이 생기고 오히려 색이 검으니깐 빛을 더 흡수하는데 지상에서는 대기로 열 발산하려면 화산재를 지나야 하니깐 오히려 털옷 껴입은것 처럼 더 더워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 | 25.07.09 19:48 | | |
(IP보기클릭)175.113.***.***
지구에는 대류라는 순환 시스템이 있단다. | 25.07.09 19:49 | | |
(IP보기클릭)182.218.***.***
근데 그 대류가 일어나려 해도 화산재 아래가 찬 공기가 되어야 하는데 화산 터지기 전에 더운 공기였다면 화산재가 터진 이후에도 더운공기고 빛을 못받아 차가워지려 해도 화산재를 뚫고 지나가야 할텐데 아니면 극지방 빼고 화산재가 덮친거로 봐야할까? | 25.07.09 19:53 | | |
(IP보기클릭)182.218.***.***
혹은 반대로 화산재가 열전도율이 대기보다 낮다면 열발산이 빨라져서 이해가 되는데 오히려 온실가스가 나오잖아 그러면 반대로 화산재가 빛을 흡수하는 검은빛이 아닌 오히려 반사하는 하얀색이어야 할텐데 지상의 식물색보다 밝아서 그렇다고 생각하면 될까?... ㄹㅇ 궁굼해서 물어보는거임 | 25.07.09 19:55 | | |
(IP보기클릭)175.113.***.***
??? 대류 시스템에 대해 잘 모르는 것 같아서 어디서부터 설명을 해줘야 할지 모르겠다...... | 25.07.09 19:56 | | |
(IP보기클릭)182.218.***.***
대류가 일어난다 해도 열에너지가 소실되지 않잖아 열에너지가 나갈 공간이 있어야지 대류로 이동한다 한들 공기가 차가워져야 하는게 우선인데 어떻게 차가워졌냐는거야 | 25.07.09 19:58 | | |
(IP보기클릭)175.113.***.***
1. 화산재는 성층권에 일종의 막을 형성함. 이건 태양에서 직접적으로 쏘아지는 직사광선을 막아 그늘을 형성하고 일부를 반사함. 일부는 흡수하지만 그보다 차단하는 양이 더 많아서 지구의 온도는 내려감. 2. 성층권의 대기 순환은 수평적이고 대류권의 대기 순환은 수평적인 동시에 수직적임. 대류권 상부의 차가운 공기는 아래로 내려가고 대류권 하부의 뜨거운 공기는 위로 솟구치는 현상이 발생하고, 거기에 더해 지구 자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지역적 바람(무역풍, 편서풍 등등)까지 더해져서 대류권의 열기는 손쉽게 이동함. 일단 이 정도만 알아도 될 것 같다. | 25.07.09 19:59 | | |
(IP보기클릭)182.218.***.***
그럼 1번이 정답이네 화산재가 검어봤자 지상과 바다보다는 빛을 흡수 못한다는게 | 25.07.09 20:00 | | |
(IP보기클릭)175.113.***.***
공기는 직접적으로 데워지는 게 아니라 간접적으로 데워짐.(물론 공기 분자가 직접적으로 데워지지 않는 건 아닌데, 워낙 작고 빈 공간도 많기 때문에 무시해도 된다.) 따라서 지상에서 발생하는 복사열에 의해서 데워지기 때문에, 높이 올라가면 에너지를 잃고 차가워진다. 그렇게 차가워진 공기는 밀도 문제로 인해서 다시 아래로 내려옴. | 25.07.09 20:00 | | |
(IP보기클릭)175.113.***.***
화산재의 색은 검은색인 게 아니다. 구성 물질에 따라서 검을 수도 있고 하얀 색일 수도 있다. 보통은 회색인데 이것도 케이스 바이 케이스임. | 25.07.09 20:01 | | |
(IP보기클릭)182.218.***.***
아무래도 하얀색이거나 밝은 회색이어야 하겠네 오히려 지상과 같은량의 빛을 흡수한다면 오히려 온실효과가 날테니깐 | 25.07.09 20:03 | | |
(IP보기클릭)175.113.***.***
아예 검은색이어도 같은 물질이 지상에 있는 것보다는 나음. 성층권은 대기가 희박해서 전달받은 에너지를 방출하는 것도 쉽거든. | 25.07.09 20:04 | | |
(IP보기클릭)182.218.***.***
또 물어봐서 미안한데 대기가 희박하면 왜 에너지 방출이 쉬움? 밀도가 높아야 분자간 충돌이 많고 오히려 방출이 더 쉽지 않음? 그래서 같은 온도의 공기와 물 중에서 물속이 더 뜨겁게 느껴지는거 처럼 | 25.07.09 20:06 | | |
(IP보기클릭)175.113.***.***
그야 방출되는 에너지를 대기가 다시 흡수하니까. 단일 물질의 경우는 밀도가 높은 게 방출이 쉬운 게 맞는데, 지구 전체적으로는 방출이 안 된다고 봐야지. | 25.07.09 20:08 | | |
(IP보기클릭)182.218.***.***
근데 그 복사에너지를 흡수하는 대기도 결국 우주로 에너지를 방출하는게 아니야? 대류현상으로 뜨거운 공기가 위로 올라가고 그 뜨거운 공기가 열을 방출하니깐 결과적으로 둘다 우주로 열을 방출하니깐 역으로 화산재는 지상으로도 열을 일부 방출하잖아 예전에 이걸 생각하면서 화산재 높이만큼 반지름이 증가해서 표면적 증가로 그러지 않을까 생각했었는데 아무래도 공기가 대류하니깐 그게 의미 있나 생각이 들었었음 | 25.07.09 20:13 | | |
(IP보기클릭)175.113.***.***
화산재는 성층권까지 올라가니까. 위에서 말했지만 성층권은 수직 순환이 잘 안 됨. | 25.07.09 20:14 | | |
(IP보기클릭)175.113.***.***
대기 역시 우주로 에너지를 방출하기는 하지만 커버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은 차이가 크지. 일반적으로 동일 면적일 때 밀도가 큰 물체가 에너지를 더 빨리 내보내기 때문에, 단순히 대기만 존재하는 것과 대기 외 물질이 있는 건 차이가 크다. 그 차이가 없으면 금성이 수 역시 우주로 에너지를 방출하기는 하지만 커버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은 차이가 크지. 일반적으로 동일 면적일 때 밀도가 큰 물체가 에너지를 더 빨리 내보내기 때문에, 단순히 대기만 존재하는 것과 대기 외 물질이 있는 건 차이가 크다. 그 차이가 없으면 금성이 수성보다 뜨거울 이유가 없지. | 25.07.09 20:17 | | |
(IP보기클릭)182.218.***.***
그럼 성층권은 수직순환이 잘 안되어서 땅이 받은 열을 대류현상으로 방출시키기가 어렵다는거네 반면에 화산재는 성층권에 있어서 방출이 잘된다는거고? 또 물어봐서 미안한데 (귀찮으면 답 안해도됨) 성층권에 대류 현상이 안일어나는게 오존층이 흡수하는 열로 인해서라는데 대기권에서는 위로 갈수록 온도가 낮아지지만 성층권에서는 갈수록 온도가 높아진다 하는데 아무래 오존층이 열을 낸다 해도 대기권에서 위로 갈수록 온도가 낮아지려면 결국 대기권과 성층권 경계에서 대기권의 열이 성층권으로 나가야 하는건데 그 경계 기준으로 올라갈수록 성층권의 온도가 높아지면 대기권으 열 발산이 안되서 위로 갈수록 온도가 내려가면 안되지 않아? | 25.07.09 20:22 | | |
(IP보기클릭)175.113.***.***
열적 평형이 이뤄지는 거지 열 교환이 안 되는 게 아님. | 25.07.09 20:25 | | |
(IP보기클릭)182.218.***.***
대기권 상층부에서 성층권으로 열 방출은 계속 일어난다는걸로 이해해도 될까? 그러면 대기권에서 성층권으로 열이 방출되는데 어째서 성층권은 올라갈수록 뜨거운거야? 열이 우주까지 방출되려면 성층권도 위로 올라갈수록 온도가 낮아져야 할거 같은데 오존층에서 열 흡수하는건 평형이라지 않았어? | 25.07.09 20:30 | | |
(IP보기클릭)175.113.***.***
열 평형은 대기권과 성층권의 온도가 균형을 이루는 걸 말하는 거야. 성층권이 뜨거운 이유는 오존층에서 흡수한 자외선 때문이고(오존의 분해 및 재합성), 성층권 위의 중간권으로 가면 올라갈수록 온도가 낮아져. 그리고 밤인 지역에서는 오존의 분해 및 재합성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대류권에서 올라오는 아주 약간의 에너지를 제외하면 에너지가 방출만 된다. | 25.07.09 20:35 | | |
(IP보기클릭)182.218.***.***
그럼 오존층이 뜨거워봤자 대기권에서 성층권으로의 열 방출은 계속된다고 보아야겠네 그러면 성층권에서는 열이 계속 쌓일테고 (오존층 아래) 이거는 밤에 방출된다고 보면 되겠네 맞지? | 25.07.09 20:37 | | |
(IP보기클릭)39.7.***.***
성층권에서도 수평 대류는 일어나긴 하는데, 대충 그렇게 보면 됨 | 25.07.09 20:41 | | |
(IP보기클릭)182.218.***.***
질문 귀찮을 정도로 많이 했는데 대답해줘서 고마워 | 25.07.09 20:44 | | |
(IP보기클릭)182.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