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의 군인 황제
가이우스 율리우스 베루스 막시미누스 트락스
분명 작성한 글이라 생각하는데 없어서 다시 올립니다.ㅜㅜ
위 글과 아래 글 사이에 들어가는 내용입니다.
자 이 세 가지 금액 중 어느 것이 맞는지를 알 수 있는 근거는 파피루스에서 찾을 수 있다.
세베루스 시기의 것인지, 카라칼라 시기의 것인지 정확하지 않은 이 파피루스에는 보조병이 분할급 중 주둔지 경비로 257 데나리우스 22 3/4 오볼을 받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금액을 연봉으로 계산해본다면 773.4 데나리우스로 보조병과 군단병의 대우를 생각해본다면 군단병은 이 보다 더 받았을 것이라는 사실을 알수가 있는데 그러하다면 세베루스가 100% 인상을 감행했다 할지라도 600데나리우스에 불과하므로 이 파피루스는 카라칼라가 봉급을 인상한 후의 것이라고 볼수가 있다.
따라서 카라칼라 시기에 군단병의 연봉이 773.4데나리우스보다 낮다는 가정, 즉 세베루스가 50%를 증가하였을 가능성은 배제할수 있다.
가능성 있는 것은 세베루스가 75%를 올려주었을 경우와 100%를 인상했을 경우이다. 이는 보조병의 주둔지 경비가 773.4데나리우스라는것 은 실제 연봉이 이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그렇다면 세베루스가 75% 를 올려주어 카라칼라 시기 787.5데나리우스가 되었을 경우 군단병의 연봉은 보조병과 거의 차이가 없거나 보조병보다 더 낮은 금액이 될 수 있다는 비 현실적 결과가 도출된다. 따라서 세베루스가 75% 인상하였을 가능성역시 배제해 볼수 있다.
결과적으로 세베루스는 기존의 연봉 300데나리우스에서 100% 인상하여 600데나리우스로 만들었고, 카라칼라는 이를 다시 50% 인상하여 900데나리우스로 만들었다고 볼 수 있다.
이후에는 기원후 235년 막시미누스가 봉급을 두 배로 뻥튀기 한 후 따로 봉급이 인상되었다는 기록은 없다.
봉급 문제는 여기까지 보고 다른 문제를 보자면 상여금이 있다. 로마의 군인들은 공화정 후기와 마찬가지로 상여금을 받았다.
이 상여금은 현재의 보너스와 지극히 똑같은 개념으로 특별히 경축할 일이 있을 때나 황제가 승천하셨을 때 또는 좋게 말해 군인들의 충성심을 확보할 필요가 있을 때 단적으로 못 믿겠을경우 지급되었는데 이 문제는 다음 글에서 다루어 보도록 하자.
(IP보기클릭)121.172.***.***
지금으로 환산해주세요
(IP보기클릭)203.234.***.***
지금으로 환산한 금액을 저 주세요
(IP보기클릭)118.52.***.***
노예사야지
(IP보기클릭)211.217.***.***
이런 연재 좋다
(IP보기클릭)210.103.***.***
후 저때 세이브 파일 로드하는데 천년걸렸지 아마
(IP보기클릭)124.60.***.***
서기 1~3세기 기준으로 대충 500데나리우스 정도니까 대충 로마의 봄 몇번 겪으시면서 전역하실때까지 버티시면 됩니다..
(IP보기클릭)121.172.***.***
지금으로 환산해주세요
(IP보기클릭)124.60.***.***
직접적인 1:1 환산은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보자면 1 데나리우스는 기원전 3세기 중엽에는 구리 약 7g의 가치가 있었지만, 기원전 1세기 중엽에는 그 절반의 가치로 하락하였습니다. 또한 로마의 조폐 정책상 은 함량의 절약을 위해 오래된 데나리우스를 모아서 새로운 데나리우스를 만드는데 사용했기때문에 은 함량은 계속 감소하였습니다. 당대의 물가를 확인할 자료는 여럿 있습니다만 이 물가가 현재의 그 것과 100% 대치되는 것도 아니라서 아무래도 대략적인 추정은 가능하나 지금으로 보자면 얼마다 라고 단정 짓는건 사실 많이 어렵지요.. | 25.07.06 10:52 | | |
(IP보기클릭)118.235.***.***
대충 저시기에는 데나리우스 순도가 50퍼 내외정도고 순도 90퍼(당시기술로 더 높이기 힘듬) 시절 데나리우스가 미숙련 노동자 임금 하루치였음. 대충 최저임금정도로 치면 저당시 데나리우스는 0.5최저임금이라 보면 됨 | 25.07.06 10:57 | | |
(IP보기클릭)220.125.***.***
루리웹-887351844
시금 1억원 | 25.07.06 10:54 | | |
(IP보기클릭)211.217.***.***
이런 연재 좋다
(IP보기클릭)118.52.***.***
노예사야지
(IP보기클릭)124.60.***.***
서기 1~3세기 기준으로 대충 500데나리우스 정도니까 대충 로마의 봄 몇번 겪으시면서 전역하실때까지 버티시면 됩니다.. | 25.07.06 10:57 | | |
(IP보기클릭)203.234.***.***
지금으로 환산한 금액을 저 주세요
(IP보기클릭)118.235.***.***
밥사줘요
구글에 물어보니 십파운드 환율 물너보니 천원짜리 18장 | 25.07.06 10:56 | | |
(IP보기클릭)211.226.***.***
밥사줘요
챗지피티가 80달러라 함. | 25.07.06 10:56 | | |
(IP보기클릭)122.32.***.***
고대 로마 시기 숙련공의 하루 일당을 1데나리우스로 하자 하고 시작했는데 고대다보니 각종 외인으로 인해 물가도 계속 바뀌고 인플레이션도 있고 해서 기준 잡기가 애매함 당시 거래자료를 기준으로 역산하면 얼추 4만~12만 정도로 환산되는데 이건 지표로 쓰기에는 너무 레인지가 넓음 | 25.07.06 10:59 | | |
(IP보기클릭)124.60.***.***
밥사줘요
아무래도 경제의 규모나 화폐의 가치 등 고려해야 될 대상이 많다보니 연구 결과에 따라 다르긴 합니다, 성경 - 신약을 기준으로 보면 43.5 달러 수준이지만 단순 물가 비교로는 5달러 선이기도 하구요.. 예를 들어 유니클로 같은 옷이 4데나리우스이지만 올리브 오일은 1데나리우스이고 송아지가 3~4 데나리우스인것 처럼 현재의 그 것과 대조하기가 쉽지 않지요.. | 25.07.06 11:00 | | |
(IP보기클릭)124.60.***.***
아 이 물가는 서기 1~2세기 기준인데 이게 표준은 아닙니다, 어디까지나 남은 기록 가운데 하나라 참고만 될뿐입니다.. | 25.07.06 11:02 | | |
(IP보기클릭)125.181.***.***
밥사줘요
작성자를 조금 거들자면 이게 딱 부러지게 말할 수 없는게 천년단위의 긴 시간동안 그때그때 벌어진 사건에 따라 물가의 변동은 당연한거고 물건의 가치가 지금과는 달라서 그럼. 특히 공산품의 경우 이런 현상이 두드러지는데 과거에는 사람에 드는 비용(인건비)가 낮게 계산되는 경향이 큼. 좀 더 쉽게 옷으로 예시를 들자면 지금은 싸구려 셔츠 한벌은 최저임금 미만으로도 살 수 있고 대충 입다 버려도 되지만 과거 리넨 셔츠 한벌은 지금보다 훨씬 비싸서 그야말로 넝마가 될때까지 입고 넝마마저 모아서 섬유를 풀어서 종이를 만든다던가 하는식으로 다른데 쓰곤했음. 이런식으로 옷이 싸진건 산업혁명으로 인한 대량생산 체계와 유통망이 갖춰진 후 생산성과 효율성이 극도로 올라간 이후임. 아마를 수확해서 섬유를 뽑아내고 천을 직조하고 사람이 일일히 마름질해서 바느질 하던 시절에 비하면 요즘은 진짜 석유 딸깍 실 딸깍 옷감 딸깍 옷 딸깍 하면 만원짜리 티셔츠가 컨테이너짝으로 나오거든 과거로 갈수록 인건비가 싼 시대가 되는 경향이 있음=.=;;; | 25.07.06 11:25 | | |
(IP보기클릭)210.103.***.***
후 저때 세이브 파일 로드하는데 천년걸렸지 아마
(IP보기클릭)222.109.***.***
(IP보기클릭)220.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