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word":"\uac74\ub2f4","rank":0},{"keyword":"\ube14\ub8e8\uc544\uce74","rank":1},{"keyword":"\ubc84\ud29c\ubc84","rank":-1},{"keyword":"\ub9d0\ub538","rank":0},{"keyword":"\uc6d0\uc2e0","rank":0},{"keyword":"\uc2a4\ud0c0\ub808\uc77c","rank":0},{"keyword":"@","rank":2},{"keyword":"\uc824\ub2e4","rank":-1},{"keyword":"\uc720\ud76c\uc655","rank":1},{"keyword":"\uc6d0\ud53c\uc2a4","rank":-2},{"keyword":"\ud6c4\ubc29","rank":0},{"keyword":"\ub77c\uc624","rank":0},{"keyword":"\uc778\uc5b4\uacf5\uc8fc","rank":0},{"keyword":"\uc778\uc5b4","rank":2},{"keyword":"\uc6cc\ud574\uba38","rank":"new"},{"keyword":"\ub9bc\ubc84\uc2a4","rank":1},{"keyword":"\ube14\ub9ac\uce58","rank":"new"},{"keyword":"\ub2c8\ucf00","rank":-4},{"keyword":"\ube14\ub8e8","rank":"new"},{"keyword":"\uc2a4\uc988\uba54\uc758 \ubb38\ub2e8\uc18d","rank":"new"},{"keyword":"\u3147\u314e","rank":"new"},{"keyword":"\uacf5\uc8fc","rank":-7}]
222.100.***.***
ㅇㅏㄴㅣㅅㅣㅂㅏㄹ ㅇㅣㄱㅔ ㅁㅜㅓㅇㅑ
119.192.***.***
개인적으로 대한민국 해방 이후의 현대로 한정한다면 공병우 선생의 업적은 다섯 손가락 안에 들어갈 정도로 위대한 업적이라고 생각함. 너무 저평가 되어 있고 너무 안 알려져 있음.
183.101.***.***
2벌식 효율이 미쳤음 일본어는 숫자키 까지 올라가는데 우린 영어키있는곳에서 멈춤
223.39.***.***
그리고 한분 더 최정호 님도 잊지 말자.
59.26.***.***
공병우 선생님은 노벨상 받아야됨
14.53.***.***
공병우 선생님 항상 감사합니다 흐흐흑
182.214.***.***
진짜 저렇게 안 돼서 천만다행이다.
183.101.***.***
2벌식 효율이 미쳤음 일본어는 숫자키 까지 올라가는데 우린 영어키있는곳에서 멈춤
218.37.***.***
그러고보면 어떻게든 한글 자모는 키보드에 엄청 효율적으로 때려박아지네 | 23.05.26 14:51 | | |
39.7.***.***
근데두벌식은 타자기에는 사용하기가 힘들어서 공병우타자기는 세벌식 빨랫골체긴 함 | 23.05.26 14:54 | | |
119.192.***.***
사실 역사적으로는 두벌식이 제일 늦게 대중화 됐기 때문에 선점효과는 제일 못 누렸다고 보는게 맞음. 두벌식의 최대 강점은 조금 과장해서 '한국인이라면 1분이면 배울 수 있다' 라는 점에 있지. | 23.05.26 14:56 | | |
61.84.***.***
일본도 가나 자판은 희귀하게 쓰고 대부분 알파벳 변환식을 씀. | 23.05.26 15:01 | | |
183.101.***.***
스마트폰 이전부터 알파벳 변환식? | 23.05.26 15:02 | | |
122.38.***.***
ㅇㅇ 실제로 쳐보면, 빠르기도 3벌식이 더 빠르다. 2벌식이 쉬움이라는 이유 하나로 걍 다 씹어 먹은거. | 23.05.26 15:03 | | |
61.84.***.***
ㅇㅇ디지몬 본적 있음? 99년도 작품인데 거기서도 알파벳식 씀 | 23.05.26 15:17 | | |
211.234.***.***
근데 두벌식은 글자 모양이 안이쁨 문자의 모양도 신경쓰자면 세벌식이 속도도 빠르고 자음이 초성 종성 각각 있어서 글자 모양이 그나마 이쁘게 나오지 | 23.05.26 15:18 | | |
211.234.***.***
하지만 두벌식이 확실히 배우기 편하고 아날로그 타자기에서 워드프로세서로 바뀌면서 글자를 하나씩 때려찍는게 아니라 한글자를 쓰면 자동으로 글자가 완성되어 찍히는 전자식은 딱히 세벌식이 아니라도 글자도 이쁘게 나오니까 두벌식이 대중화되게 된거고 | 23.05.26 15:20 | | |
172.226.***.***
일본어는 거진 영어로 써서 나오게끔 쓸걸 폰도 그렇고 | 23.05.26 15:45 | | |
223.62.***.***
기계식 타자기시절엔 두벌식이 헬난이도 자판이었음 컴퓨터가 자동으로 교정해준뒤부터 두벌식이 편해진거지 | 23.05.26 15:47 | | |
211.234.***.***
그래도 세벌식보단 직관적이었음 세벌식은 자음이 초성용 자음 종성용 자음 다 따로 있어서... 두벌식은 자음은 동일하게 쓰고 받침으로 쓸땐 쉬프트같은거 누르면 종이가 위로 올라가서 글자 아래 받침으로 찍히는 구조 배우긴 두벌식이 훨씬 쉬웠지 지금 키보드랑 거의 동일한 형태 단지 글자 모양이 존나 안이뻤던거 뿐 ㅎ | 23.05.26 15:58 | | |
59.26.***.***
공병우 선생님은 노벨상 받아야됨
14.53.***.***
공병우 선생님 항상 감사합니다 흐흐흑
221.146.***.***
222.100.***.***
ㅇㅏㄴㅣㅅㅣㅂㅏㄹ ㅇㅣㄱㅔ ㅁㅜㅓㅇㅑ
114.204.***.***
이래도 읽는데 크게 문제 없다고 느끼는거 보니까 한글의 위대함을 느낀다. | 23.05.26 15:08 | | |
182.214.***.***
진짜 저렇게 안 돼서 천만다행이다.
59.14.***.***
한글을 알파벳처럼 바꿔서, 풀어쓰기를 하면, 이렇게 되는 거 아님? "nim, gosu? bbal mu, go go " | 23.05.26 21:44 | | |
175.210.***.***
220.93.***.***
175.212.***.***
175.212.***.***
내가 많이 당해봐서 알고있었지 | 23.05.26 14:52 | | |
59.11.***.***
118.130.***.***
중국어, 일본어 : 네? 뭐가 불편하다구요?? | 23.05.26 14:59 | | |
59.11.***.***
그 두 나라 언어와 똑같이 2바이트 언어로 묶인게 한글이긴 해서. | 23.05.26 15:02 | | |
123.142.***.***
요즘시대에 그거로인해불편함이있나 히라가나대신에한글하나하나넣어서번역하던시대도아니고 | 23.05.26 15:06 | | |
118.130.***.***
그런 기술적인 문제는 접어두고 실제 사용에 있어서 불리함이 어느 쪽에 있는가를 봐야지. 글자가 하도 많아서 알파벳으로 발음을 적었다가 한자로 치환해야 하는 중국어나 히라가나 가타가나로 발음을 쓰고 의미가 맞는 한자 단어를 찾아서 바꿔야 하는 일본어에 비해서 한글이 불리한 점이 뭐가 있어? | 23.05.26 15:07 | | |
59.11.***.***
폰트 제작자 : 살려줘요 | 23.05.26 15:08 | | |
59.11.***.***
비교군이 1바이트 언어인 알파벳권 언어잖음. 살짝 불편하다는 거였지, 제일 불편하단 소리가 아님 | 23.05.26 15:11 | | |
39.7.***.***
메모리 비용이 낮아지고 유니코드가 보급되면서 구현 번거로운 조합형보다는 완성형으로 가는쪽으로 90년대에 이미 결론난 문제기는 함 | 23.05.26 15:11 | | |
118.130.***.***
뭐 아직도 80바이트 제한이 있는 문자 메세지가 주류던 시절까지는 너가 한 말이 맞다는 생각이 들긴 해. 근데 지금에 와선 카톡 라인같은 메신저가 주류가 됐고, 그런 메신저에는 한번에 보낼 수 있는 용량에 제한이 없으니 1바이트인지 2바이트인지에 대한건 이미 오래전에 의미가 사라졌다고 생각해야 할 것 같음. 지금에 와서는 용량적인 부분 보다는 실제 사용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이 있는가를 더 따져야 한다고 생각하는거지. | 23.05.26 15:24 | | |
59.11.***.***
가끔 도트겜에 글자를 이미지로 박아서 한글화 어렵거나 알파벳권만 상정하고 코딩해버려서 한글화 살짝 복잡해지는 게임들 같은 경우도 있어서 그럼. | 23.05.26 15:26 | | |
118.130.***.***
그거야 뭐 그런 한글화 작업 하는 사람들이 생각해야 할 문제지, 우리같은 일반 사용자들이 고려할 만한 사항은 아닌 것 같음. 너가 그런 작업을 하는 사람이라면 또 모르겠다만... | 23.05.26 15:29 | | |
168.126.***.***
도트겜에 글자를 이미지로 박아놓는것과 절대 다수의 사람이 사용에 불편함을 느끼는걸 동급으로 놓고 생각한다는데서 놀라움을 금치 못하겠다야... | 23.05.26 16:45 | | |
119.192.***.***
개인적으로 대한민국 해방 이후의 현대로 한정한다면 공병우 선생의 업적은 다섯 손가락 안에 들어갈 정도로 위대한 업적이라고 생각함. 너무 저평가 되어 있고 너무 안 알려져 있음.
117.111.***.***
공문서들을 타자기로 작업해야 하니 자연스럽게 탈한자화가 이루어졌고 윗분들이 탈한자를 하니 일반 시민들까지 자연스럽게 탈한자화가 진행 사실상 한자에서 해방시켜주시분 | 23.05.26 15:07 | | |
119.192.***.***
우리나라 모든 학문의 기초 베이스를 탄탄하게 만들어 준거나 다름없지. 사실 학문만이 아니라 산업 사회 문화까지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서. | 23.05.26 15:09 | | |
223.39.***.***
223.39.***.***
마치카네 후쿠키타루
그리고 한분 더 최정호 님도 잊지 말자. | 23.05.26 14:54 | | |
121.130.***.***
진짜 우리가 모르고 지나가는 숨은 위인들이 너무나 많다...넓게 보면 한국이 이만큼 발전한것도 이름없는 수많은 노동자들의 피와땀이고.... | 23.05.26 15:00 | | |
110.70.***.***
최정호- 대한민국의 1세대 한글 폰트 디자이너로 사실상 이 분야의 길을 처음 개척한 사람이다. 감사한 지식이 늘었다 | 23.05.26 15:04 | | |
121.140.***.***
여기만 간판 이미지가 다름 ㅋㅋㅋ | 23.05.26 15:05 | | |
49.142.***.***
49.142.***.***
alt+shift 로 입력 언어 바꾸니 해결은 됐는데 입력 언어를 하나만 사용하는 시스템에서는 어떻게 해결하지? 더 쉬운 방법이 있을텐데... | 23.05.26 14:56 | | |
220.74.***.***
119.197.***.***
183.96.***.***
183.96.***.***
뭔가 미국이 잘나가니깐 미국 따라할라고 변형 시킨 느낌이 커서 ... | 23.05.26 14:57 | | |
119.192.***.***
몇 가지 장점을 위해 기존의 수많은 장점을 다 버리는 방향성이었지. | 23.05.26 14:59 | | |
122.38.***.***
풀어쓰기는 그나마 이해가 되는데(타자기 있고 없고가 진짜 천지차이라..), 두번째건 진짜 그냥 사대주의 산물이지.. | 23.05.26 15:05 | | |
59.152.***.***
뭐 글씨체 바꾸는게 무지성 알파벳 따라하기는 아니고, 풀어쓰기가 특히 모음부분 가독성, 표기성이 많이 떨어지다보니 차라리 모양을 변형시켜서 표기, 읽기 다 효율적이고 쉬운 글자를 만들자는게 논점의 시작이긴 함. 근데 대,소문자는 도대체 왜 만든건지 몰?루 | 23.05.26 15:26 | | |
210.94.***.***
118.235.***.***
203.242.***.***
세벌씩을 개발하셨는데... 정치적 문제 때문인지 묻힘 | 23.05.26 14:57 | | |
58.234.***.***
세벌식 아녀...? | 23.05.26 14:59 | | |
37.120.***.***
203.242.***.***
ㅇㅇ | 23.05.26 14:57 | | |
119.192.***.***
물론 한글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포텐셜도 엄청 크긴 했음. 어쨌든 기본적으로 키 24개만 있으면 조합은 다 만들 수 있으니까. 입력 단계를 좀 더 늘리는걸 감수하면 그보다 더 적어도 가능하고 (대표적으로 핸드폰이나 스마트폰 자판들) | 23.05.26 14:59 | | |
122.38.***.***
맞음. 애초에 상당수의 문자들은 문자 갯수가 많아서 키보드 대부분에 할당해서 치던지(그로인해 숫자칠때 키한번더 눌러야하고) 알파벳으로 치고 전환하는데, 한글은 그럴 필요가 없으니까. | 23.05.26 15:08 | | |
211.207.***.***
203.242.***.***
220.74.***.***
121.130.***.***
121.130.***.***
ㅇㅏㄴㅣㅅㅣㅂㅏㄹ ㅇㅣㄱㅔ ㅁㅜㅓㅇㅑ | 23.05.26 14:58 | | |
211.230.***.***
121.155.***.***
121.170.***.***
121.186.***.***
근데 풀어쓰기도 나름 갬성있고 예쁘다
223.39.***.***
하지만 보자마자 글 안 읽음... | 23.05.26 15:05 | | |
222.112.***.***
211.234.***.***
폰트 제작은 알파벳이나 일본어에 비해선 뭐 헬난이도죠 ㅎㅎㅎㅎ 만드는것 자체는 프로그램으로 조합형으로 글자 몇개만 디자인하면 자동으로 생성해주는데 한글자씩 다듬어 가는게...요샌 대부분 유니코드라 11172자를 만들어야 함 ㅋㅋㅋㅋ 예전에는 ks상용한글 2350자 폰트도 많았음... 그래서 예전에는 쀍뙇끑 같은 실제로 사용할일이 없는 글자는 깨져나오던가 폰트가 기본폰트로 바뀌던가 했었죠 | 23.05.26 16:05 | | |
211.234.***.***
거기다 클리어타입 힌팅까지 들어가면서 더 빡세졌구요... 힌팅은 사이즈별 글자별 하나씩 다 다듬어야해서... 요새는 오토힌팅으로 잘되지만.... 국내 최초 힌팅적용한 유니코드 한글폰트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의뢰한 맑은 고딕이었는데... 그땐 진짜 거의다 수작업... | 23.05.26 16:11 | | |
122.34.***.***
223.62.***.***
106.101.***.***
125.178.***.***
172.226.***.***
122.38.***.***
가독성만 문제가 아니라 칠때 틀린거 알아보기도 힘든듯.. 똥망 틀렸엉. | 23.05.26 15:10 | | |
220.126.***.***
110.8.***.***
222.99.***.***
222.99.***.***
와씨, 그래도 컴터 재시작 하니 정상으로 돌아오네;;;; | 23.05.26 15:43 | | |
1.253.***.***
223.62.***.***
125.133.***.***
118.131.***.***
116.93.***.***
1.233.***.***
125.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