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글쓰기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유머] ???: 사실 돌솥비빔밥이 일본에서 유래된거거든요 [69]


profile_image_default


(1246480)
46 | 69 | 29239 | 비추력 263749
프로필 열기/닫기
글쓰기
|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댓글 | 69
1
 댓글


(IP보기클릭)61.77.***.***

BEST
???:그럼 그걸 지우세요
20.12.09 17:08

(IP보기클릭)123.215.***.***

BEST
짱ㄲㅐ고 쪽ㅂㅏㄹㅣ고 왜 죄다 지네꺼라고 우기는지... ㅈ 같은 것들은 하는짓도 닮아가네.
20.12.09 17:07

(IP보기클릭)118.235.***.***

BEST

구글 검색해보니까 제일 먼저 나오는게 이 글이네
20.12.09 17:13

(IP보기클릭)121.152.***.***

BEST
일본쪽에서 재일교포가 개발했다고 주장 중인데, 그냥 일본애들이 미는 썰임.
20.12.09 17:13

(IP보기클릭)211.176.***.***

BEST
근데 또 아무나 적을 수 있는 블로그 글이라서... 대충 따봉 이모티콘 붙어있어도 이상할건 없어 보이네
20.12.09 17:17

(IP보기클릭)121.152.***.***

BEST
개발했다는 재일교포가 국내에서 먹어보고 일본에서 선보였을 수도 있고, 정말 우연히 개발했을 수도 있는데, 국내에서는 69년에 처음나왔다고하고, 일본은 70년대에 개발했다고 하는지라, 시기상으로도 국내개발이 맞음.
20.12.09 17:21

(IP보기클릭)121.156.***.***

BEST
원래 똑같았음 중공의 중화사상이랑 왜놈의 식민사관은 추구하는 바가 같거든 중국 사서에서 고구려 비하하는 거나 왜국 사서에서 백제신라 비하하는 거나 똑같았고 분단도 아마 걔네 둘의 영향 때문이었잖아.
20.12.09 17:19

(IP보기클릭)211.36.***.***

BEST
우리나라는 그래도 구체적으로 어떤 식당에서 시작됐다라고 언급이라도 하는데 쟤네 주장은 어떤 식당인지조차도 없이 그냥 밑도끝도없이 재일교포 식당이라고만 이야기하고있음ㅋㅋ
20.12.09 17:23

(IP보기클릭)114.202.***.***

BEST
그렇다하더라도 오키나와도 일본꺼 아니잖아 ㅋㅋ
20.12.09 17:21

(IP보기클릭)112.161.***.***

BEST
진짠가? 이건 또 모르는거라 햇갈리는군
20.12.09 17:07

(IP보기클릭)27.120.***.***

갑자기 먹고싶네
20.12.09 17:07

(IP보기클릭)112.172.***.***

?
20.12.09 17:07

(IP보기클릭)112.161.***.***

BEST
진짠가? 이건 또 모르는거라 햇갈리는군
20.12.09 17:07

(IP보기클릭)121.152.***.***

BEST
반다비
일본쪽에서 재일교포가 개발했다고 주장 중인데, 그냥 일본애들이 미는 썰임. | 20.12.09 17:13 | | |

(IP보기클릭)112.161.***.***

에르키스
그렇구만. 쟤들은 남의거 갖다가 어레인지 해서 먹고사는놈들이라 또 신빙성이 없지않아서 ㄷㄷ | 20.12.09 17:14 | | |

(IP보기클릭)121.152.***.***

BEST
반다비
개발했다는 재일교포가 국내에서 먹어보고 일본에서 선보였을 수도 있고, 정말 우연히 개발했을 수도 있는데, 국내에서는 69년에 처음나왔다고하고, 일본은 70년대에 개발했다고 하는지라, 시기상으로도 국내개발이 맞음. | 20.12.09 17:21 | | |

(IP보기클릭)211.36.***.***

BEST
반다비
우리나라는 그래도 구체적으로 어떤 식당에서 시작됐다라고 언급이라도 하는데 쟤네 주장은 어떤 식당인지조차도 없이 그냥 밑도끝도없이 재일교포 식당이라고만 이야기하고있음ㅋㅋ | 20.12.09 17:23 | | |

(IP보기클릭)112.161.***.***

루리웹-6626480555
좋은 정보 땡큐합니다. 오늘도 하나 배워가네요 | 20.12.09 17:24 | | |

(IP보기클릭)121.152.***.***

루리웹-6626480555
ㅇㅇ 심지어 우리나라는 76년도에 해당식당의 돌솥비빔밥이 유명하다는 신문기사까지 있으니 그 이전부터 존재했다는 게 분명하지. | 20.12.09 17:25 | | |

(IP보기클릭)221.154.***.***

치익치익 유태인
20.12.09 17:07

(IP보기클릭)123.215.***.***

BEST
짱ㄲㅐ고 쪽ㅂㅏㄹㅣ고 왜 죄다 지네꺼라고 우기는지... ㅈ 같은 것들은 하는짓도 닮아가네.
20.12.09 17:07

(IP보기클릭)121.156.***.***

BEST
너로선아까웠다
원래 똑같았음 중공의 중화사상이랑 왜놈의 식민사관은 추구하는 바가 같거든 중국 사서에서 고구려 비하하는 거나 왜국 사서에서 백제신라 비하하는 거나 똑같았고 분단도 아마 걔네 둘의 영향 때문이었잖아. | 20.12.09 17:19 | | |

(IP보기클릭)125.188.***.***

뚝배기 라는 것은 두 가지의 의미가 있지
20.12.09 17:07

(IP보기클릭)211.209.***.***

햐 내가 아까 올려서 베스트 간걸 그새 저장했다가 올리네
20.12.09 17:08

(IP보기클릭)61.77.***.***

BEST
온리스타
???:그럼 그걸 지우세요 | 20.12.09 17:08 | | |

(IP보기클릭)211.209.***.***

온리스타
165렙 보고 놀랐는데 이렇게 레벨 올리는거구나.. | 20.12.09 17:12 | | |

(IP보기클릭)219.59.***.***

온리스타
유게에서 늘상 벌어지는 일이나깐 이제는 그러려니함... | 20.12.09 17:22 | | |

(IP보기클릭)211.209.***.***

안경안경
시간 보니까 1시간정도 간격인데 이게 베스트 가는거 보면 나도 뭐 하나 올려서 베스트 가면 그거 1시간 간격으로 계속 올리면 되는건가 싶기도 하고.. | 20.12.09 17:23 | | |

(IP보기클릭)219.59.***.***

온리스타
그래도 스마일이 딱히 뭐라고 안하더라 나도 많이 당했는데 | 20.12.09 17:24 | | |

(IP보기클릭)202.14.***.***

오직 일본인만이 달군 돌솥을 손에 들고 밥을 먹을 수 있지
20.12.09 17:08

(IP보기클릭)180.231.***.***

음 진짠가? 알수가 없네
20.12.09 17:09

(IP보기클릭)221.156.***.***

닉네임그까이거
아니래 한국에서도 이미 돌솥을 쓰고 있었다고 함. | 20.12.09 17:11 | | |

(IP보기클릭)211.219.***.***

지랄병
20.12.09 17:10

(IP보기클릭)118.235.***.***

BEST

구글 검색해보니까 제일 먼저 나오는게 이 글이네
20.12.09 17:13

(IP보기클릭)211.176.***.***

BEST
간나새기
근데 또 아무나 적을 수 있는 블로그 글이라서... 대충 따봉 이모티콘 붙어있어도 이상할건 없어 보이네 | 20.12.09 17:17 | | |

(IP보기클릭)1.177.***.***

LegenDUST
그러게 | 20.12.09 17:18 | | |

(IP보기클릭)118.235.***.***

LegenDUST

일본어위키도 찾아봤는데 전주중앙회관이 발상이라고 하는데 검증되지 않았다. 전라북도가 발상지일수도 있다. 라고만 적고 일본관련 내용은 없네 | 20.12.09 17:23 | | |

(IP보기클릭)183.101.***.***

간나새기
조금 더 정보를 찾아보니 전주시 고산동의 신신식당이라는 곳이 있었는데 1960년에 돌솥비빔밥을 개발하면서 전주중앙회관으로 바뀌었다... 이런 글이 있네 http://blog.daum.net/0112820308/11500447 | 20.12.09 17:24 | | |

(IP보기클릭)183.101.***.***

인다
한식문화사전에서도 동일한 내용이 담겨있다. 돌솥비빔밥은 전주 중앙회관의 남궁성 사장이 처음 개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략...) 남궁성 사장은 비빔밥을 오랫동안 따뜻하게 먹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했고, 결국 장수에서만 생산된다는 곱돌에까지 생각이 미쳤다. 몇 번의 실패 끝에, 남궁성 사장은 1969년 드디어 곱돌그릇 개발에 성공하였다. 중앙회관은 이 곱돌그릇에 비빔밥을 담아 판매하면서 ‘전주곱돌비빔밥’이라는 이름으로 상표등록까지 마쳤다.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중앙회관 비빔밥은 선풍적인 인기를 끌게 되었고, 고객들이 줄서서 사먹는 진풍경이 벌어졌다. 또한 사람들은 이 비빔밥을 ‘전주곱돌비빕밥’이 아닌, ‘돌솥비빔밥’이라는 이름으로 불렀다. https://www.kculture.or.kr/brd/board/640/L/menu/641?brdType=R&thisPage=11&bbIdx=12069&rootCate=516&searchField=title&searchText=&searchCategory5=510&recordCnt=10 | 20.12.09 17:26 | | |

(IP보기클릭)183.101.***.***

간나새기
위키는 누구나 수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정보를 검증할 때는 최종 정보는 못 돼. 그리고 그런 항목에는 맨날 한일 수정전쟁이 벌어지고 있기 때문에 더더욱 신뢰성 떨어짐. | 20.12.09 17:30 | | |
파워링크 광고

(IP보기클릭)118.235.***.***

인다

해당항목이 2달전에 마지막 수정했다고 나오는데 수정전쟁이라고 하기는 좀 그렇지 않아? 게다가 마지막으로 수정한사람 아이피도 일본쪽이네 | 20.12.09 17:35 | | |

(IP보기클릭)118.235.***.***

인다

https://www.wowsokb.jp/recipe/stonebibimbap/ 다른데서도 좀 찾아봤는데 거기도 일단 일본이 발상지란 내용은 하나도 없긴 하네 | 20.12.09 17:37 | | |

(IP보기클릭)183.101.***.***

간나새기
해당 분야에 관심이 있으면서 중에 위키를 편집하는 법까지 아는 사람이 있어야 되는게 첫째 문제요, 그 사람이 진실을 말하리라는 보증은 아무도 할 수 없다는 게 둘째 문제다. 그렇기 때문에 수정전쟁이 일년 365일 24시간 내내 벌어지지는 않아. 관심 있는 애들이 수정하기 시작하면 or 뭔가 이슈가 있어서 관심이 집중되면 그 때부터 전쟁 벌어지지. 예를 들면 독도, 다케시마 같은 항목이 첨예하지만, 그조차도 일년 내내 전쟁이 벌어지진 않음. | 20.12.09 17:39 | | |

(IP보기클릭)183.101.***.***

간나새기
물론 위키도 자료를 검증하기 위해 링크를 다는 경우가 있으니까 그쪽으로 건너가는 용도로는 괜찮아. 근데 위키가 근거제시의 최종 종착지가 되면 안된다고 한 것 뿐이야. | 20.12.09 17:40 | | |

(IP보기클릭)36.39.***.***

재밌는게 또 감자탕은 오키나와식 골탕이 먼저라고 우기기도 함
20.12.09 17:17

(IP보기클릭)114.202.***.***

BEST
루리웹-815383153
그렇다하더라도 오키나와도 일본꺼 아니잖아 ㅋㅋ | 20.12.09 17:21 | | |

(IP보기클릭)203.226.***.***

근데 의외로 왠만한 메뉴는 근현대에 만들어졌음
20.12.09 17:18

(IP보기클릭)39.7.***.***

김치뵦음밥 일본기원설도 있지
20.12.09 17:18

(IP보기클릭)211.36.***.***

일본위키에 저런 글이 써져있는데 정작 출처요함각주 달아놓음ㅋㅋ대충 일본에선 돌에 야채나 고기를 구워먹는 가정식 레시피가 있어서 이걸 어떤 식당이 참조해서 만든게 아닐까 추정된다라고만 써놓았음 뇌피셜 지리고ㅋㅋ
20.12.09 17:19

(IP보기클릭)118.129.***.***

루리웹-6626480555
石焼ビビンバも日本において在日韓国人が考案したものとされる 뭐 어쨌든 한국인이 만든걸로 해놨네 | 20.12.09 17:28 | | |

(IP보기클릭)222.103.***.***

루리웹-6626480555
그거 독자연구도 달려있더랔ㅋㅋ 위키에서 독자연구라는건 뇌피셜이라는 소리잖앜ㅋㅋ | 20.12.09 17:28 | | |

(IP보기클릭)210.111.***.***

이건 더 믿을만한 근거자료를 본 후에야 판단해야겠어
20.12.09 17:19

(IP보기클릭)59.24.***.***

좀 유명해졌다 싶은건 짱 깨고 쪽 바리고 상관없이 전부 찔러보네 날강도쉑들
20.12.09 17:20

(IP보기클릭)58.141.***.***

저거 팩트임?
20.12.09 17:21

(IP보기클릭)1.231.***.***

근데 왜 일본에서는 안먹었음?
20.12.09 17:21

(IP보기클릭)220.74.***.***

원래 먹던 방식을 재일이 거기서 해먹은거겟지 이것드라;;
20.12.09 17:22

(IP보기클릭)14.38.***.***

근데 먼저 비비고 그 다음 내벽에 꾹꾹 눌러놓고 꼬들해지게 만든 다음 먹는거라면 한국식과는 좀 다르게 어레인지된건 맞는거 같은데. 적어도 나는 저렇게 먹는 방식(?)은 듣도보도 못했음
20.12.09 17:22

(IP보기클릭)182.221.***.***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research.html?dbGubun=SD&m201_id=10013756 ‘전통 비빔밥’의 진화와 담론 연구 : 역사민속학적 접근
20.12.09 17:23

(IP보기클릭)182.221.***.***

뉴햄스케
본 연구는 ‘전통 비빔밥’을 둘러싼 한국사회의 다양한 문화적 담론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그 담론에 대해 역사민속학적으로 살피는 데 목적을 둔다. 사실 ‘비빔밥’의 사전적인 뜻은 “밥에 나물․고기․고명․양념 등을 넣어 참기름과 양념으로 비빈 밥을 가리킨다. 이 비빔밥이 문헌에 등장하는 때는 조선후기 혹은 『시의전서(是議全書)』가 공개된 1919년 이전이다. ‘부빔밥' 혹은 ‘골동반(骨董飯)’이라 부른 이 음식은 지난 100년이란 시간 중에 많은 변화를 거쳤다. 일제시대에는 경상남도 ‘진주’를 대표하는 지역음식으로 알려졌고, 1960년대 이후에는 전주콩나물육회비빔밥 전문식당이 서울에 진출하여 전국적인 명성을 얻었다. 1980년대 이후에는 외식산업체의 산업적 욕구가 소비자의 지향과 연결되어 다양한 비빔밥의 형태를 만들어냈다. 가령 불에 달군 돌솥에 넣은 돌솥비빔밥이 생겨났고, 고추장과 반숙한 계란부침을 얹은 비빔밥이 대중음식으로 자리를 잡았다. 이에 더하여 산채비빔밥․열무비빔밥․낙지볶음비빔밥․해물비빔밥․꽃비빔밥․멍게비빔밥과 같이 밥에 들어가는 비빔의 재료에 따라 새로운 비빔밥이 만들어지고 있다. | 20.12.09 17:24 | | |

(IP보기클릭)121.129.***.***

어디 나오는건데
20.12.09 17:24

(IP보기클릭)175.123.***.***

애초에 비빔밥도 안 먹는 놈들이 돌솥 비빔밥은 뭔 수로 만들어 ㅋㅋㅋㅋㅋ 닭도 안 먹는 놈들이 후라이드 치킨 만들었다고 하는 소리지
20.12.09 17:25

(IP보기클릭)211.246.***.***

그러니깐 비빔밤은 한식인데 저런 방식은 자기들 어레인지다 라고 말하는거야? ㅋㅋ
20.12.09 17:25

(IP보기클릭)117.111.***.***

나는 돌솥비빔밤이 일본 한식집에서 생겨났다고 생각할수도 있는점이 일본에도 가마메시라고 솥밥이 있음. 그걸 응용해서 만든게 아닐까 하고 추측되기도함. 그걸 돌솥화 시킨게 일본에서 거주하던
20.12.09 17:26

(IP보기클릭)118.216.***.***

정의로운나라
돌솥은 옛날부터 있었는데? | 20.12.09 17:29 | | |

(IP보기클릭)117.111.***.***

rairyun
釜飯 검색해봐. 진짜 비슷함 | 20.12.09 17:32 | | |

(IP보기클릭)222.103.***.***

정의로운나라
1809년 규합총서에 죽과 밥은 돌솥이 으뜸이라고 나온다는데... 그게 1인용 솥인지 아닌지는 모르겠지만. | 20.12.09 17:33 | | |

(IP보기클릭)118.216.***.***

정의로운나라
19세기 빙허각 이씨가 저술한 『규합총서(閨閤叢書)』에서는 “밥과 죽은 돌솥이 으뜸이요, 오지탕관이 그 다음이다” 하였다. 19세기에 이미 돌솥밥을 먹고 있었는데 뭔소리야 | 20.12.09 17:36 | | |

(IP보기클릭)222.103.***.***

개작두
문화재 관련 자료로 살펴보니까 1~2인분 밥을 하는 솥이라고 하는게 작은 사이즈 맞는 듯 | 20.12.09 17:36 | | |

(IP보기클릭)117.111.***.***

개작두
1인용 솥을 수작업으로 대량생산하는건 힘들지. 최소한 공정작업이 보편화 된뒤에야 생산가능하겠지. | 20.12.09 17:37 | | |

(IP보기클릭)117.111.***.***

rairyun
ㄴㄴ 돌솥자체의 사용여부가 아니라, 저 조리법 형태를 말하는거. 돌솥자체를 뜨겁게 달구는 스타일말야. ㅇ일본의 가마메시랑 거의 동일한 수준임. | 20.12.09 17:39 | | |
파워링크 광고

(IP보기클릭)222.103.***.***

정의로운나라
ㅇㅇ 그렇게 밥해먹었데. 조리법쪽으로 찾아보면 곱돌솥으로 밥해서 올리는게 궁중요리법에 나와있다고 하고, 영국박물관 유물 중에 19세기 후반에 제작된걸로 추정되는 곱돌솥 문화재도 있다네. | 20.12.09 17:40 | | |

(IP보기클릭)222.103.***.***

rairyun
검색하다보니까, 신라 시대때 곱돌로 만든 솥 유물도 나왔다더라 | 20.12.09 18:12 | | |

(IP보기클릭)58.228.***.***

돌솥비빔밥은 전주 중앙회관의 남궁성 사장이 처음 개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60년대 중반 전주우체국(현재 경원동우체국)의 비빔밥 골목은 비빔밥을 판매하는 식당들끼리 서로 불꽃 튀는 경쟁을 벌이고 있었다. 각 식당들은 고유의 레시피로 손님을 끌어 모으고 있었고, 중앙회관 또한 자신만의 고유한 비빔밥 개발을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식당 주인들이 조리법에 관심이 두고 있었던 때에 남궁성 사장은 비빔밥을 오랫동안 따뜻하게 먹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했고, 결국 장수에서만 생산된다는 곱돌에까지 생각이 미쳤다. 몇 번의 실패 끝에, 남궁성 사장은 1969년 드디어 곱돌그릇 개발에 성공하였다. 중앙회관은 이 곱돌그릇에 비빔밥을 담아 판매하면서 ‘전주곱돌비빔밥’이라는 이름으로 상표등록까지 마쳤다.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중앙회관 비빔밥은 선풍적인 인기를 끌게 되었고, 고객들이 줄서서 사먹는 진풍경이 벌어졌다. 또한 사람들은 이 비빔밥을 ‘전주곱돌비빕밥’이 아닌, ‘돌솥비빔밥’이라는 이름으로 불렀다. 그리고 마침 ‘팔도민속전’을 기획하던 신세계백화점의 눈에 띄는 바람에 중앙회관 비빔밥은 서울에까지 진출하게 된다. 이처럼, 당시 중앙회관 돌솥비빔밥의 인기는 정말 대단했던가 보다. 현지조사에 의하면, 돌솥비빔밥이 나오면서부터 손님들이 유독 뜨거운 것을 더 찾는 바람에 다른 식당에서도 유기그릇을 뜨거운 물에 담근 뒤 비빔밥을 담아 내보내는 등 곤욕을 치뤘다고 한다. 또한 전주지역 음식점 중에는 유기나 스테인리스 그릇에 곱돌그릇의 원리를 적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비빔밥 그릇을 개발하는 데 열을 올리기도 했다.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원연합회에서 발행한 한식문화사전에 나오네
20.12.09 17:27

(IP보기클릭)121.152.***.***

아이쭈쿠림
우리는 적어도 이렇게 개발자랑 상호까지 나오는데, 일본은 그냥 오사카의 재일한국인이 만들었대드라 이러고 땡이니 신빙성에서 우리가 먹고 들어가짖 | 20.12.09 17:35 | | |

(IP보기클릭)36.39.***.***

에르키스
ㄹㅇ 고작 30년 전 일인데 상호를 모른다고? 악의적인 썰일 가능성이 높지. | 20.12.09 17:52 | | |

(IP보기클릭)1.11.***.***

근데 솥이나 저런 뚝배기 문화는 한국거 아님?
20.12.09 17:50

(IP보기클릭)106.101.***.***

1998년 일본인 처음 만나서 뭐먹고 싶냐니까 이시야키비빈바랑 삼계탕이라고 해서 하루에 하나씩 먹으러 갔던 기억나네. 그 사람은 이시야키비빈바라는 말만 들었지 어떤 음식인지 모르고 왔다가 치이익 타는 소리 내면서 들어오는거 보고 깜놀했었는데.
20.12.09 18:18

(IP보기클릭)1.234.***.***

무려 그 중국조차 돌솥 하면 한국 돌솥비빔밥이 나오는데 ㄷㄷ
20.12.09 18:51

(IP보기클릭)122.36.***.***

애초에 쇠숫가락 없으면 먹기도 힘든데..
20.12.10 03:37


1
 댓글




목록 | 이전글 | 다음글
글쓰기
공지
스킨
ID 구분 제목 글쓴이 추천 조회 날짜
53999998 유머 그냥남자사람 240 390410 2021.09.24
53999993 유머 허무주의 276 275893 2021.09.24
53999992 잡담 되팔렘꼴통절단기 47 112803 2021.09.24
53999991 잡담 S.A.T.8 9 19072 2021.09.24
53999986 유머 핵인싸 1017 542760 2021.09.24
53999985 잡담 별빛 단풍잎 5 23703 2021.09.24
53999984 애니/만화 찐쿠아 27 44740 2021.09.24
53999983 유머 Jade_2 58 278770 2021.09.24
53999982 유머 닭도리탕 비싸 30 91028 2021.09.24
53999980 애니/만화 유우타군 34 96452 2021.09.24
53999979 잡담 가챠하느라밥이없어 3 8943 2021.09.24
53999978 잡담 니미핸드릭스 38 59820 2021.09.24
53999977 잡담 길가에e름없는꽃 3 11934 2021.09.24
53999974 잡담 루리웹-2122312666 200 109086 2021.09.24
53999973 잡담 긴박락 8 13457 2021.09.24
53999972 잡담 타카가키 카에데 27 51042 2021.09.24
53999970 잡담 꼬르륵꾸르륵 6 20727 2021.09.24
53999969 잡담 등대지기 공대생 1 13735 2021.09.24
53999966 잡담 no.777 7 20451 2021.09.24
53999964 잡담 루리웹-7309663092 119 118040 2021.09.24
53999963 유머 이사령 17 31380 2021.09.24
53999962 유머 달걀조아 6 10879 2021.09.24
53999960 감동 5 8537 2021.09.24
53999959 잡담 MK.II 7 17663 2021.09.24
53999957 잡담 고수달. 4 17992 2021.09.24
53999956 잡담 『EDEN』 5 8196 2021.09.24
53999955 유머 Julia Chang 123 72867 2021.09.24
53999954 잡담 웃고싶은커피 1 7047 2021.09.24
글쓰기 4962350개의 글이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