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word":"\u3147\u3147\u3131","rank":0},{"keyword":"\ube14\ub8e8\uc544\uce74","rank":1},{"keyword":"\ucf00\uc774\ud31d","rank":-1},{"keyword":"\ubc84\ud29c\ubc84","rank":0},{"keyword":"\ub9c8\ube44m","rank":2},{"keyword":"\ud2b8\ub9ad\uceec","rank":2},{"keyword":"\ub358\ud30c","rank":2},{"keyword":"\uc820\ub808\uc2a4","rank":-3},{"keyword":"\ub9bc\ubc84\uc2a4","rank":1},{"keyword":"\uba85\uc870","rank":3},{"keyword":"\ub2c8\ucf00","rank":-5},{"keyword":"\ub9d0\ub538","rank":4},{"keyword":"\uac15\ucca0\uc758\uc5f0\uae08\uc220\uc0ac","rank":4},{"keyword":"\uac74\ub2f4","rank":5},{"keyword":"\ub9c8\ube44","rank":"new"},{"keyword":"\ub124\uc774\ubc84\ud398\uc774","rank":"new"},{"keyword":"\uc18c\uc8042","rank":5},{"keyword":"\uc6d0\uc2e0","rank":3},{"keyword":"\uc6d0\ud53c\uc2a4","rank":-8},{"keyword":"\uc2a4\ud0c0\ub808\uc77c","rank":-6},{"keyword":"\uc288\ub85c\ub300","rank":"new"},{"keyword":"\uba54\uc774\ud50c","rank":"new"}]
(IP보기클릭)61.77.***.***
???:그럼 그걸 지우세요
(IP보기클릭)123.215.***.***
짱ㄲㅐ고 쪽ㅂㅏㄹㅣ고 왜 죄다 지네꺼라고 우기는지... ㅈ 같은 것들은 하는짓도 닮아가네.
(IP보기클릭)118.235.***.***
구글 검색해보니까 제일 먼저 나오는게 이 글이네
(IP보기클릭)121.152.***.***
일본쪽에서 재일교포가 개발했다고 주장 중인데, 그냥 일본애들이 미는 썰임.
(IP보기클릭)211.176.***.***
근데 또 아무나 적을 수 있는 블로그 글이라서... 대충 따봉 이모티콘 붙어있어도 이상할건 없어 보이네
(IP보기클릭)121.152.***.***
개발했다는 재일교포가 국내에서 먹어보고 일본에서 선보였을 수도 있고, 정말 우연히 개발했을 수도 있는데, 국내에서는 69년에 처음나왔다고하고, 일본은 70년대에 개발했다고 하는지라, 시기상으로도 국내개발이 맞음.
(IP보기클릭)121.156.***.***
원래 똑같았음 중공의 중화사상이랑 왜놈의 식민사관은 추구하는 바가 같거든 중국 사서에서 고구려 비하하는 거나 왜국 사서에서 백제신라 비하하는 거나 똑같았고 분단도 아마 걔네 둘의 영향 때문이었잖아.
(IP보기클릭)211.36.***.***
우리나라는 그래도 구체적으로 어떤 식당에서 시작됐다라고 언급이라도 하는데 쟤네 주장은 어떤 식당인지조차도 없이 그냥 밑도끝도없이 재일교포 식당이라고만 이야기하고있음ㅋㅋ
(IP보기클릭)114.202.***.***
그렇다하더라도 오키나와도 일본꺼 아니잖아 ㅋㅋ
(IP보기클릭)112.161.***.***
진짠가? 이건 또 모르는거라 햇갈리는군
(IP보기클릭)27.120.***.***
(IP보기클릭)112.172.***.***
(IP보기클릭)112.161.***.***
진짠가? 이건 또 모르는거라 햇갈리는군
(IP보기클릭)121.152.***.***
반다비
일본쪽에서 재일교포가 개발했다고 주장 중인데, 그냥 일본애들이 미는 썰임. | 20.12.09 17:13 | | |
(IP보기클릭)112.161.***.***
그렇구만. 쟤들은 남의거 갖다가 어레인지 해서 먹고사는놈들이라 또 신빙성이 없지않아서 ㄷㄷ | 20.12.09 17:14 | | |
(IP보기클릭)121.152.***.***
반다비
개발했다는 재일교포가 국내에서 먹어보고 일본에서 선보였을 수도 있고, 정말 우연히 개발했을 수도 있는데, 국내에서는 69년에 처음나왔다고하고, 일본은 70년대에 개발했다고 하는지라, 시기상으로도 국내개발이 맞음. | 20.12.09 17:21 | | |
(IP보기클릭)211.36.***.***
반다비
우리나라는 그래도 구체적으로 어떤 식당에서 시작됐다라고 언급이라도 하는데 쟤네 주장은 어떤 식당인지조차도 없이 그냥 밑도끝도없이 재일교포 식당이라고만 이야기하고있음ㅋㅋ | 20.12.09 17:23 | | |
(IP보기클릭)112.161.***.***
좋은 정보 땡큐합니다. 오늘도 하나 배워가네요 | 20.12.09 17:24 | | |
(IP보기클릭)121.152.***.***
ㅇㅇ 심지어 우리나라는 76년도에 해당식당의 돌솥비빔밥이 유명하다는 신문기사까지 있으니 그 이전부터 존재했다는 게 분명하지. | 20.12.09 17:25 | | |
(IP보기클릭)221.154.***.***
(IP보기클릭)123.215.***.***
짱ㄲㅐ고 쪽ㅂㅏㄹㅣ고 왜 죄다 지네꺼라고 우기는지... ㅈ 같은 것들은 하는짓도 닮아가네.
(IP보기클릭)121.156.***.***
너로선아까웠다
원래 똑같았음 중공의 중화사상이랑 왜놈의 식민사관은 추구하는 바가 같거든 중국 사서에서 고구려 비하하는 거나 왜국 사서에서 백제신라 비하하는 거나 똑같았고 분단도 아마 걔네 둘의 영향 때문이었잖아. | 20.12.09 17:19 | | |
(IP보기클릭)125.188.***.***
(IP보기클릭)211.209.***.***
(IP보기클릭)61.77.***.***
온리스타
???:그럼 그걸 지우세요 | 20.12.09 17:08 | | |
(IP보기클릭)211.209.***.***
165렙 보고 놀랐는데 이렇게 레벨 올리는거구나.. | 20.12.09 17:12 | | |
(IP보기클릭)219.59.***.***
유게에서 늘상 벌어지는 일이나깐 이제는 그러려니함... | 20.12.09 17:22 | | |
(IP보기클릭)211.209.***.***
시간 보니까 1시간정도 간격인데 이게 베스트 가는거 보면 나도 뭐 하나 올려서 베스트 가면 그거 1시간 간격으로 계속 올리면 되는건가 싶기도 하고.. | 20.12.09 17:23 | | |
(IP보기클릭)219.59.***.***
그래도 스마일이 딱히 뭐라고 안하더라 나도 많이 당했는데 | 20.12.09 17:24 | | |
(IP보기클릭)202.14.***.***
(IP보기클릭)180.231.***.***
(IP보기클릭)221.156.***.***
아니래 한국에서도 이미 돌솥을 쓰고 있었다고 함. | 20.12.09 17:11 | | |
(IP보기클릭)211.219.***.***
(IP보기클릭)118.235.***.***
구글 검색해보니까 제일 먼저 나오는게 이 글이네
(IP보기클릭)211.176.***.***
간나새기
근데 또 아무나 적을 수 있는 블로그 글이라서... 대충 따봉 이모티콘 붙어있어도 이상할건 없어 보이네 | 20.12.09 17:17 | | |
(IP보기클릭)1.177.***.***
그러게 | 20.12.09 17:18 | | |
(IP보기클릭)118.235.***.***
일본어위키도 찾아봤는데 전주중앙회관이 발상이라고 하는데 검증되지 않았다. 전라북도가 발상지일수도 있다. 라고만 적고 일본관련 내용은 없네 | 20.12.09 17:23 | | |
(IP보기클릭)183.101.***.***
조금 더 정보를 찾아보니 전주시 고산동의 신신식당이라는 곳이 있었는데 1960년에 돌솥비빔밥을 개발하면서 전주중앙회관으로 바뀌었다... 이런 글이 있네 http://blog.daum.net/0112820308/11500447 | 20.12.09 17:24 | | |
(IP보기클릭)183.101.***.***
한식문화사전에서도 동일한 내용이 담겨있다. 돌솥비빔밥은 전주 중앙회관의 남궁성 사장이 처음 개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략...) 남궁성 사장은 비빔밥을 오랫동안 따뜻하게 먹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했고, 결국 장수에서만 생산된다는 곱돌에까지 생각이 미쳤다. 몇 번의 실패 끝에, 남궁성 사장은 1969년 드디어 곱돌그릇 개발에 성공하였다. 중앙회관은 이 곱돌그릇에 비빔밥을 담아 판매하면서 ‘전주곱돌비빔밥’이라는 이름으로 상표등록까지 마쳤다.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중앙회관 비빔밥은 선풍적인 인기를 끌게 되었고, 고객들이 줄서서 사먹는 진풍경이 벌어졌다. 또한 사람들은 이 비빔밥을 ‘전주곱돌비빕밥’이 아닌, ‘돌솥비빔밥’이라는 이름으로 불렀다. https://www.kculture.or.kr/brd/board/640/L/menu/641?brdType=R&thisPage=11&bbIdx=12069&rootCate=516&searchField=title&searchText=&searchCategory5=510&recordCnt=10 | 20.12.09 17:26 | | |
(IP보기클릭)183.101.***.***
위키는 누구나 수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정보를 검증할 때는 최종 정보는 못 돼. 그리고 그런 항목에는 맨날 한일 수정전쟁이 벌어지고 있기 때문에 더더욱 신뢰성 떨어짐. | 20.12.09 17:30 | | |
(IP보기클릭)118.235.***.***
해당항목이 2달전에 마지막 수정했다고 나오는데 수정전쟁이라고 하기는 좀 그렇지 않아? 게다가 마지막으로 수정한사람 아이피도 일본쪽이네 | 20.12.09 17:35 | | |
(IP보기클릭)118.235.***.***
https://www.wowsokb.jp/recipe/stonebibimbap/ 다른데서도 좀 찾아봤는데 거기도 일단 일본이 발상지란 내용은 하나도 없긴 하네 | 20.12.09 17:37 | | |
(IP보기클릭)183.101.***.***
해당 분야에 관심이 있으면서 중에 위키를 편집하는 법까지 아는 사람이 있어야 되는게 첫째 문제요, 그 사람이 진실을 말하리라는 보증은 아무도 할 수 없다는 게 둘째 문제다. 그렇기 때문에 수정전쟁이 일년 365일 24시간 내내 벌어지지는 않아. 관심 있는 애들이 수정하기 시작하면 or 뭔가 이슈가 있어서 관심이 집중되면 그 때부터 전쟁 벌어지지. 예를 들면 독도, 다케시마 같은 항목이 첨예하지만, 그조차도 일년 내내 전쟁이 벌어지진 않음. | 20.12.09 17:39 | | |
(IP보기클릭)183.101.***.***
물론 위키도 자료를 검증하기 위해 링크를 다는 경우가 있으니까 그쪽으로 건너가는 용도로는 괜찮아. 근데 위키가 근거제시의 최종 종착지가 되면 안된다고 한 것 뿐이야. | 20.12.09 17:40 | | |
(IP보기클릭)36.39.***.***
(IP보기클릭)114.202.***.***
루리웹-815383153
그렇다하더라도 오키나와도 일본꺼 아니잖아 ㅋㅋ | 20.12.09 17:21 | | |
(IP보기클릭)203.226.***.***
(IP보기클릭)39.7.***.***
(IP보기클릭)211.36.***.***
(IP보기클릭)118.129.***.***
石焼ビビンバも日本において在日韓国人が考案したものとされる 뭐 어쨌든 한국인이 만든걸로 해놨네 | 20.12.09 17:28 | | |
(IP보기클릭)222.103.***.***
그거 독자연구도 달려있더랔ㅋㅋ 위키에서 독자연구라는건 뇌피셜이라는 소리잖앜ㅋㅋ | 20.12.09 17:28 | | |
(IP보기클릭)210.111.***.***
(IP보기클릭)59.24.***.***
(IP보기클릭)58.141.***.***
(IP보기클릭)1.231.***.***
(IP보기클릭)220.74.***.***
(IP보기클릭)14.38.***.***
(IP보기클릭)182.221.***.***
(IP보기클릭)182.221.***.***
본 연구는 ‘전통 비빔밥’을 둘러싼 한국사회의 다양한 문화적 담론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그 담론에 대해 역사민속학적으로 살피는 데 목적을 둔다. 사실 ‘비빔밥’의 사전적인 뜻은 “밥에 나물․고기․고명․양념 등을 넣어 참기름과 양념으로 비빈 밥을 가리킨다. 이 비빔밥이 문헌에 등장하는 때는 조선후기 혹은 『시의전서(是議全書)』가 공개된 1919년 이전이다. ‘부빔밥' 혹은 ‘골동반(骨董飯)’이라 부른 이 음식은 지난 100년이란 시간 중에 많은 변화를 거쳤다. 일제시대에는 경상남도 ‘진주’를 대표하는 지역음식으로 알려졌고, 1960년대 이후에는 전주콩나물육회비빔밥 전문식당이 서울에 진출하여 전국적인 명성을 얻었다. 1980년대 이후에는 외식산업체의 산업적 욕구가 소비자의 지향과 연결되어 다양한 비빔밥의 형태를 만들어냈다. 가령 불에 달군 돌솥에 넣은 돌솥비빔밥이 생겨났고, 고추장과 반숙한 계란부침을 얹은 비빔밥이 대중음식으로 자리를 잡았다. 이에 더하여 산채비빔밥․열무비빔밥․낙지볶음비빔밥․해물비빔밥․꽃비빔밥․멍게비빔밥과 같이 밥에 들어가는 비빔의 재료에 따라 새로운 비빔밥이 만들어지고 있다. | 20.12.09 17:24 | | |
(IP보기클릭)121.129.***.***
(IP보기클릭)175.123.***.***
(IP보기클릭)211.246.***.***
(IP보기클릭)117.111.***.***
(IP보기클릭)118.216.***.***
돌솥은 옛날부터 있었는데? | 20.12.09 17:29 | | |
(IP보기클릭)117.111.***.***
釜飯 검색해봐. 진짜 비슷함 | 20.12.09 17:32 | | |
(IP보기클릭)222.103.***.***
1809년 규합총서에 죽과 밥은 돌솥이 으뜸이라고 나온다는데... 그게 1인용 솥인지 아닌지는 모르겠지만. | 20.12.09 17:33 | | |
(IP보기클릭)118.216.***.***
19세기 빙허각 이씨가 저술한 『규합총서(閨閤叢書)』에서는 “밥과 죽은 돌솥이 으뜸이요, 오지탕관이 그 다음이다” 하였다. 19세기에 이미 돌솥밥을 먹고 있었는데 뭔소리야 | 20.12.09 17:36 | | |
(IP보기클릭)222.103.***.***
문화재 관련 자료로 살펴보니까 1~2인분 밥을 하는 솥이라고 하는게 작은 사이즈 맞는 듯 | 20.12.09 17:36 | | |
(IP보기클릭)117.111.***.***
1인용 솥을 수작업으로 대량생산하는건 힘들지. 최소한 공정작업이 보편화 된뒤에야 생산가능하겠지. | 20.12.09 17:37 | | |
(IP보기클릭)117.111.***.***
ㄴㄴ 돌솥자체의 사용여부가 아니라, 저 조리법 형태를 말하는거. 돌솥자체를 뜨겁게 달구는 스타일말야. ㅇ일본의 가마메시랑 거의 동일한 수준임. | 20.12.09 17:39 | | |
(IP보기클릭)222.103.***.***
ㅇㅇ 그렇게 밥해먹었데. 조리법쪽으로 찾아보면 곱돌솥으로 밥해서 올리는게 궁중요리법에 나와있다고 하고, 영국박물관 유물 중에 19세기 후반에 제작된걸로 추정되는 곱돌솥 문화재도 있다네. | 20.12.09 17:40 | | |
(IP보기클릭)222.103.***.***
검색하다보니까, 신라 시대때 곱돌로 만든 솥 유물도 나왔다더라 | 20.12.09 18:12 | | |
(IP보기클릭)58.228.***.***
(IP보기클릭)121.152.***.***
우리는 적어도 이렇게 개발자랑 상호까지 나오는데, 일본은 그냥 오사카의 재일한국인이 만들었대드라 이러고 땡이니 신빙성에서 우리가 먹고 들어가짖 | 20.12.09 17:35 | | |
(IP보기클릭)36.39.***.***
ㄹㅇ 고작 30년 전 일인데 상호를 모른다고? 악의적인 썰일 가능성이 높지. | 20.12.09 17:52 | | |
(IP보기클릭)1.11.***.***
(IP보기클릭)106.101.***.***
(IP보기클릭)1.234.***.***
(IP보기클릭)12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