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질문] usb충전 기기들 꼭 충전기 암페어 맞춰야 될려나요? [42]




profile_image (629398)
0 | 42 | 2776 | 비추력 24354
프로필 열기/닫기
글쓰기
|

댓글 | 42
1
 댓글


(IP보기클릭)119.204.***.***

BEST
대부분 문제 없지만 일부 예외가 되는 상황이 충전대상쪽에 문제가 있는경우인데... 충전기와 연결되는 부분은 10W도 공급 받을 수 있는 것 처럼 꾸며놓고 내부적으로는 케이블을 너무 얇게 만들었다던가 등등의 이유로 진짜로 10W 들어오면 죽을 가능성이 존재하는 놈들이 있습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론 이런 제품을 만들어서 출시하는 놈들이 문제에요.
24.12.02 10:19

(IP보기클릭)211.234.***.***

BEST
요즘 나오는 CtoC 고속 충전기도 기본적인 하위호환은(5V출력) 지원하기 때문에 “이론적으론” 문제가 없는게 맞습니다. 하지만 5V 입력만 받는 기기들은 대체로 고속충전 어댑터하고 궁합이 맞지않아서 충전만 안 되면 다행이고, 보드가 날라가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안전하게 가고 싶으시면 소형기기 충전 전용으로 5V 출력만 나오는 AtoC 어댑터 하나를 따로 운용하시는게 좋습니다.
24.12.02 09:58

(IP보기클릭)119.204.***.***

BEST
진짜로 대부분 아무 문제 없습니다. 충전기의 적혀있는 숫자는 '최대' 출력입니다. 전기를 쉽게 설명하기 위해 보통 물에 많이 비유하는데요, V는 수압으로, A는 수량으로 비유합니다. 이 비유 대로면 수도관이 충전기가 되고, 수도꼭지가 충전 대상이 되고요 수도관의 최대 출력이 2A짜리면 수도꼭지는 2A까지 쎄게 틀어도 물이 잘 나옵니다. 물론 수도꼭지를 좀 잠가서 1A, 0.5A로 줄여도 원하는대로 나오죠. 이 개념이 좀 안 와 닿는다면 또 다른 예시가 바로 본문에 쓰신 내용인데 충전기가 33W짜리여도 하더라도, 배터리 충전이 거의 다 되어가면 3W, 1W로 충전량이 점점 줄어들죠. 제품이 필요한 만큼만 전기를 가져가기 때문이에요. 다시 말하지만 충전기가 33W짜리여도 말이죠, 즉, 이전에 5W 충전기에 사용하던 제품을 33W충전기에 연결해도 이 제품은 5W로 충전합니다. (만약 제품에 여력이 있다면 좀 더 땡겨쓰기도 합니다. 이 경우는 충전기가 사실 리미트였던 셈) 반대로 10W 제품을 5W 충전기에 물려도 문제가 없습니다. 충전 대상이 이 충전기는 5W밖에 못준다는 것을 인식하고 5W만 당겨가는데요, 이 경우도 본문에서 걱정한 것 처럼 충전대상이 망가지는 우려는 전혀 없습니다. 그냥 천천히 충전될 뿐이에요 오히려 배터리 수명 챙긴다고 저속 충전을 선호하는 사람도 있다는걸 생각해보시면 문제가 없다는걸 알 수 있죠
24.12.02 10:16

(IP보기클릭)211.234.***.***

BEST
어지간하면 제조사 요구사항을 따르는게 낫습니다 닌텐도 스위치도 고속충전기 물렸다가 사달나는경우가 있는판이라.
24.12.02 10:51

(IP보기클릭)218.48.***.***

저는 출력낮은게 고장일으킬확률이 높다라고 들어서 출력높은건 신경안쓰고 걍 연결합니다
24.12.02 09:42

(IP보기클릭)114.201.***.***

오미자만세
감사합니다. 음 은근히 이거 관련해서 질문들도 없는거 보면 다들 걍 고출력 충전기 꼽아도 아무 문제가 없으니까 딱히 묻는것도 없는게 아닌가 라고 싶긴하네요 | 24.12.02 09:47 | |

(IP보기클릭)218.48.***.***

너구리광견병
저같은 경우에 그냥 용량큰 노트북충전기 C타입으로 다하는대 딱히 문제 생긴적은 없더라구여 | 24.12.02 09:50 | |

(IP보기클릭)114.201.***.***

오미자만세
오우... 노트북꺼면 걍 문제 없겠네요 =_=... 감사합니다. 걍 꼽아야겠습니다 ㅎㅎ | 24.12.02 09:53 | |

(IP보기클릭)211.234.***.***

제대로된 보호회로가 탑제되었다면 A단위가 높아도 문제는 없습니다.
24.12.02 09:47

(IP보기클릭)114.201.***.***

ISOberry
문제는 그 보호회로를 얼마나 믿을 수 있냐 겠네요 하하하 =_=... 적어도 한국에서 유통 허가가 난 제품들이니... 믿어도 되겠죠 하하하-_-;;? | 24.12.02 09:48 | |

(IP보기클릭)220.79.***.***

이론상으론 아무 문제 없습니다. 충전기가 싸구려라서 일을 제대로 못하면 문제가 됩니다 어느정도 이름있는 충전기로 장만하시죠.
24.12.02 09:55

(IP보기클릭)114.201.***.***

스톤골렘
아하 감사합니다. 아직 쌩쌩하니 나중에 구입하게 되면 싸구려는 절대 안사야겠네요ㅎㅎ | 24.12.02 09:57 | |

(IP보기클릭)211.234.***.***

BEST
요즘 나오는 CtoC 고속 충전기도 기본적인 하위호환은(5V출력) 지원하기 때문에 “이론적으론” 문제가 없는게 맞습니다. 하지만 5V 입력만 받는 기기들은 대체로 고속충전 어댑터하고 궁합이 맞지않아서 충전만 안 되면 다행이고, 보드가 날라가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안전하게 가고 싶으시면 소형기기 충전 전용으로 5V 출력만 나오는 AtoC 어댑터 하나를 따로 운용하시는게 좋습니다.
24.12.02 09:58

(IP보기클릭)114.201.***.***

Shaius
다음에 사게 되면 포트 여러개 있는것들 있던데 그런거 보고 저 출력 되는 상품으로 구매해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 24.12.02 10:25 | |

(IP보기클릭)175.195.***.***

제품에 별다른 조건이 없으면 충전기가 안전 인증이 되어 있고 충전할 제품이 쓰는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으면 사용할 수 있긴 합니다. 다만, 특정 조건을 요구하는 제품(PC에 연결하여 충전, 5V 1A, 5V 1.5A, 5V 2A, 혹은 특정 회사 충전기 제품 지정 요구(정품 충전기만 쓰세요 등)하는 타입)은 그 요구에 따르세요. 법적 책임 회피의 목적도 있겠지만 지정해서 요구하는 이유가 따로 있을 겁니다. 제조사도 자사 제품의 안정성을 못 믿는다는 거죠.
24.12.02 09:59

(IP보기클릭)114.201.***.***

Escanes
제조사가 못 믿으면 난감하네요 =ㅁ=;;; 아... 고민되네요 감사합니다~! | 24.12.02 10:25 | |

(IP보기클릭)175.195.***.***

너구리광견병
제조사 지정 충전기 외의 충전기를 썼다는 이유로 배터리 수명이 급격히 줄어드는 문제가 유명 제조사 제품에서도 간간히 일어납니다. 후자의 경우 특정 제품에서 사례가 자주 발생했지만 수리는 결국 유상 처리되었다는 이야기를 제조사 서비스센터 엔지니어에게서 들었습니다. 지정 충전기로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거든요.. 충전 문제는 소니 WF-1000XM4, 삼성 Gear S3처럼 펌웨어 문제로 일어나는 경우도 있지만 이 경우는 질문하신 사례와는 다른 문제입니다. 지정한 충전 방법으로 충전해도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제조사들이 조용하게라도 무상 교환을 해 주더라고요. 요점..이라면, 공식적으로 USB-PD 규격을 지원하는 제품 외엔 별로 통합 안 하시는 게 좋습니다. 헤드폰 등 저전력 충전을 필요로 하는 제품은 제조사 지정 충전방법만 쓰세요. | 24.12.02 11:06 | |

(IP보기클릭)223.62.***.***

어지간하면 상관없긴 한데 가능하면 웨어러블 기기 저전력 충전하는거는 암페어수 낮은거 연결하라고 하긴 하죠
24.12.02 10:09

(IP보기클릭)114.201.***.***

멸치칼국수
걍 헤드폰이나 이런것만 평소처럼 노트북에 꼽고 나머진 휴대폰 충전기에 다 붙이는게 걍 편할려나 싶네요. 감사합니당 | 24.12.02 10:27 | |

(IP보기클릭)14.36.***.***

보통은 문제가 없는게 맞습니다. 근데 고가제품에서 조차 문제가 발생할 때가 있거든요. 예전에 30만대 소니 무선 이어폰 급사가 잦았는데 그거 추정 원인이 과전류 보호회로가 제대로 없어서라...... 저전류 충전기는 비싸지도 않아서 따로 쓰는게 안전해요
24.12.02 10:12

(IP보기클릭)114.201.***.***

🐱야옹야옹🐱
30만원 짜리가 그러면 -_-;; 난감하네요. 어차피 저는 비싼게 없으니 그냥... 편하게 사는 방향으로 일단 가볼까 싶습니다 -_-하하하;; 감사합니다 ㅎㅎ | 24.12.02 10:27 | |

(IP보기클릭)119.204.***.***

BEST
진짜로 대부분 아무 문제 없습니다. 충전기의 적혀있는 숫자는 '최대' 출력입니다. 전기를 쉽게 설명하기 위해 보통 물에 많이 비유하는데요, V는 수압으로, A는 수량으로 비유합니다. 이 비유 대로면 수도관이 충전기가 되고, 수도꼭지가 충전 대상이 되고요 수도관의 최대 출력이 2A짜리면 수도꼭지는 2A까지 쎄게 틀어도 물이 잘 나옵니다. 물론 수도꼭지를 좀 잠가서 1A, 0.5A로 줄여도 원하는대로 나오죠. 이 개념이 좀 안 와 닿는다면 또 다른 예시가 바로 본문에 쓰신 내용인데 충전기가 33W짜리여도 하더라도, 배터리 충전이 거의 다 되어가면 3W, 1W로 충전량이 점점 줄어들죠. 제품이 필요한 만큼만 전기를 가져가기 때문이에요. 다시 말하지만 충전기가 33W짜리여도 말이죠, 즉, 이전에 5W 충전기에 사용하던 제품을 33W충전기에 연결해도 이 제품은 5W로 충전합니다. (만약 제품에 여력이 있다면 좀 더 땡겨쓰기도 합니다. 이 경우는 충전기가 사실 리미트였던 셈) 반대로 10W 제품을 5W 충전기에 물려도 문제가 없습니다. 충전 대상이 이 충전기는 5W밖에 못준다는 것을 인식하고 5W만 당겨가는데요, 이 경우도 본문에서 걱정한 것 처럼 충전대상이 망가지는 우려는 전혀 없습니다. 그냥 천천히 충전될 뿐이에요 오히려 배터리 수명 챙긴다고 저속 충전을 선호하는 사람도 있다는걸 생각해보시면 문제가 없다는걸 알 수 있죠
24.12.02 10:16

(IP보기클릭)119.204.***.***

BEST
퓨어펠
대부분 문제 없지만 일부 예외가 되는 상황이 충전대상쪽에 문제가 있는경우인데... 충전기와 연결되는 부분은 10W도 공급 받을 수 있는 것 처럼 꾸며놓고 내부적으로는 케이블을 너무 얇게 만들었다던가 등등의 이유로 진짜로 10W 들어오면 죽을 가능성이 존재하는 놈들이 있습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론 이런 제품을 만들어서 출시하는 놈들이 문제에요. | 24.12.02 10:19 | |

(IP보기클릭)114.201.***.***

퓨어펠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구글링해보면 기사들인데도 의견이 갈리니 원 -_-;; 걍 보호 회로 믿고 폰충전기랑 작은건 걍 노트북에 꼽아서 충전하는 방향으로 갈까 싶습니다. 나중에 여러가지 지원하는 충전기 보게 되면 그때는 구매해봐야겠네요. 그리고 진짜 밑에 댓글처럼 사기 치는 업체는 벼락 맞아 죽을놈들이네요 -_-;; 거 전선 얼마한다고 사기를 -_-;;; | 24.12.02 10:30 | |

(IP보기클릭)211.234.***.***

BEST
어지간하면 제조사 요구사항을 따르는게 낫습니다 닌텐도 스위치도 고속충전기 물렸다가 사달나는경우가 있는판이라.
24.12.02 10:51

(IP보기클릭)114.201.***.***

Анастасия
역시 시키는대로 인가요 ㅎㅎ;; | 24.12.02 13:04 | |

삭제된 댓글입니다.

(IP보기클릭)114.201.***.***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루리웹-6968518038
유전원 허브 기억해야겠습니다! | 24.12.02 13:04 | |

(IP보기클릭)175.125.***.***

usb pd에 pps 기능 있는 충전기는 기기에 맞춰서 알아서 전류 전압을 조정합니다
24.12.02 11:33

(IP보기클릭)114.201.***.***

한프런트
pps 붙어있는건 확실히 다른거 보다 훨씬 가격대가 있네요. 음.. 기억해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24.12.02 13:04 | |

(IP보기클릭)118.235.***.***

지금까지 스펙 안보고 굴러다니는 여러 usb충전기를 각종 기기에 써봤지만 고장난 경험은 5v만 받을수 있는 제품에 고속충전기를 연결했던 적뿐이었고 그것도 해당 제품만 문제고 대부분의 고속충전 지원안되는 제품들도 고속충전기 대충 연결해도 문제없긴했습니다.
24.12.02 12:20

(IP보기클릭)114.201.***.***

StarWorld
대략보니 5v를 지원하냐 인거 같네요 음.. 감사합니다. | 24.12.02 13:05 | |

(IP보기클릭)1.212.***.***

이론상 그렇고 실제로도 그런데 저전력으로 연결하라고 안내문구 적혀있으면 저전력으로 연결하는게 좋긴 하죠 소니 xm4 펌웨어 문제로 고속충전시 과출력으로 되서 a/s 보낸 적 있거든요
24.12.02 12:26

(IP보기클릭)114.201.***.***

Phantasy
은근 점점더 귀찮아지네요 ㅎㅎ;; | 24.12.02 13:06 | |

(IP보기클릭)59.18.***.***

미니선풍기가 5V 2A 충전을 요구할 경우 5V 1A 충전기를 꽂으면 다음과 같은 상황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1. 느리지만 어쨌든 정상적으로 충전은 된다. (아무런 문제가 없을 수도 있고 서서히 대미지가 누적 진행중일 수도 있다) 2. 충전기의 전원공급이 너무 약해 미니선풍기의 충전 알림 램프에 아예 불이 들어오지 않는다. 3. 부실하게 설계된 충전기일 경우 충전기 과열로 인한 피해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미니선풍기가 5V 1A 충전을 요구할 경우 5V 2A 충전기를 꽂으면 미니선풍기 충전 및 사용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최대' 2A까지 공급해줄 수 있다는 뜻이기에 1A를 요구하는 기기에는 1A만큼만 공급해 줌) 흔히 볼 수 있는 '5V 9V 겸용' 표기된 고속충전기에는 5V 전용 충전 요구 기기를 물리지 않는 것이 안전합니다. (보호회로가 무조건 칼같이 완벽하게 작동해주면 이론상으로는 문제없는데 세상엔 셀 수 없이 다양한 원가절감 싸구려 상품들이 존재하고 잠깐 타이밍 어긋난 빈 틈에 큰 대미지 받는 일이 발생하면 기기 내부 회로가 고장나버림) 설명이 길어졌는데 가장 큰 핵심은 이겁니다. '5V만 요구하는 기기에는 5V 전용 충전기를 써라.'
24.12.02 12:28

(IP보기클릭)114.201.***.***

shrike
역시 구형 충전기를 꺼내야 될려나요 하하하 =_=;; 제꺼 보니까 5v = 3A 15w or 9v = 3A 27w or 12v = 2.5A 30w or 11v = 3A 33w 이렇게 가변이 되는데 그냥 안전빵 가야될려나요 하하하 =_=;; | 24.12.02 13:08 | |

(IP보기클릭)182.224.***.***

A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고속충전기들은 A가 올라가는게 아니라 V가 먼저 올라가는데, 이게 문제입니다 A는 회로에서 요구하는 만큼만 I=V/R로 가져가서 충전기가 딸리는게 아니면 상관없는데, V가 올라가면 회로에 과전압이 걸리면서 고장납니다 원래 고속충전기라도 알아서 5v에 맞춰서 출력하는게 정상인데, 보호회로가 없는 경우 그냥 과전압부터 때려박고 터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24.12.02 12:30

(IP보기클릭)182.224.***.***

142sP
물론 기기가 5V2A를 요구하는데 충전기가 5V1A만 지원한다면 이는 문제가 됩니다. 기기가 아니라 충전기가 과부하 걸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 24.12.02 12:31 | |

(IP보기클릭)114.201.***.***

142sP
그렇군요 핵심은 V가 중요하군요 감사합니다.! | 24.12.02 13:08 | |

(IP보기클릭)121.145.***.***

충전파워 보여주는 케이블 써보면 저속기기들은 충전기스팩대로 안되고 저속으로 들어가긴해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기기 설명서에 고속충전 지양하라고 되어있으니 안전장치 못믿어서 가능한 기기에서 요구하는대로 맞춰서 쓰려고함
24.12.02 12:38

(IP보기클릭)114.201.***.***

미열공간
결국 정상적으로 다들 작동하면 문제가 없는데 믿을 수 없는 세상이다 인거 같네요 하하하 -_-;; 슬프네요 ㅎㅎ;; | 24.12.02 13:09 | |

(IP보기클릭)59.15.***.***

굳이 수치를 복잡하게 이것저것 맞출 필요는 없고, 그냥 고속 충전이 지원되냐 안 되냐 딱 두 갈래로만 따지면 됩니다. 고속 충전이 지원 안 되니 하지 말라고 제품에 명시되어 있다면 5V 0.5A (USB 2.0 정격 출력) 혹은 5V 1A (보통 우리가 이야기하는 저속 충전) 짜리만 연결해서 충전하시는 게 좋습니다. 가장 편하고 확실하며 안전한 방법은, 어댑터로 전원이 공급되는 '유'전원 USB 허브에 연결해 충전하는 겁니다. 저도 8포트짜리 유전원 USB 허브에다가 구형 헤드폰이나 마우스 등 이것저것 연결해서 충전하곤 합니다. 그게 아니라면, 즉 고속 충전이 지원된다고 되어 있다면 그냥 가격 좀 되고 평가도 좋은 고속 충전기에다 대충 알아서 끼워 쓰시면 됩니다. 몇 W 니 몇 A 니 이런 거 굳이 따질 필요 없습니다. 요즘 충전기들은 알아서 처리를 하니까요. 이렇게 구분을 하는 이유는, 한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여러 제품들 중 '고속 충전을 하지 마시오!' 라고 써붙여진 것들은 현실적으로 대부분 과전류 보호 회로 같은 게 제대로 되어 있지 않거나 극단적으론 아예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즉, 고속 충전이 지원된다고 써져 있다면 그와 관련한 최소한의 대비는 되어 있다는 의미이며, 사용자 입장에선 딱히 신경을 쓰지 않아도 알아서 잘 처리가 됩니다.
24.12.02 12:43

(IP보기클릭)114.201.***.***

arguello
중요한건 5v = 1A나 2A 써달라는 장비가 문제군요. 충전기는 일단 가변으로 5V = 3A라고 써있는데 윗댓들 보면 그렇게 가변이 된다고 해도 믿지 못하는 세상이라고 하니... 거참... 난감하네요 ㅎㅎ;; | 24.12.02 13:11 | |

(IP보기클릭)118.235.***.***

PD충전기를 꼽으면 충전안하는 기기도있긴해서 불안한 느낌이 있긴하죠 그래서 그런기기는 컴퓨터 USB를 땡겨서 충전하는 편입니다.
24.12.02 13:25

(IP보기클릭)114.201.***.***

루리웹-0890957404
일단 느낌상 걍 대충 해도 될거 같기는 한데 어딘가에서 올라오는 불안감이 신경 쓰인다... 정도인거 같네요 ㅎㅎ;; 난감합니다 ㅎㅎ | 24.12.02 22:59 | |

(IP보기클릭)61.78.***.***

가끔식 고와트 충전기 안먹는 장비나 케이블들이있어서 맞춰주긴함 ㅋㅋ
24.12.02 13:35

(IP보기클릭)114.201.***.***

펩시맥스
일단 충전기 보니까 5v도 지원해준다고 하니까 알아서 잘 해주기를 바라며 귀차니즘을 던져볼려구요 ㅎㅎ | 24.12.02 23:00 | |


1
 댓글







파워링크 광고 24시간 안보기

ID 구분 제목 글쓴이 추천 조회 날짜
2557 패스 오브 엑자일 2 꼬무리 81 10:29
30704257 프라모델 이야기 81년생 독신귀족 157 10:18
412072 PC 조립/견적 60mm 50 10:06
2555 패스 오브 엑자일 2 루리웹-4761928726 114 09:03
30616896 질문 귀뚜라미 20 07:58
60 퍼스트 버서커: 카잔 그린비365 125 07:16
29683 어쌔신 크리드: 오디세이 new-bie 44 07:15
314 진 삼국무쌍 오리진 kasumimylove 324 04:56
9426754 테일즈 오브 그레이세스 마지막판타지 202 04:37
30646166 피규어 이야기 제타에타세타 1 357 03:28
11939 고스트 오브 쓰시마 돌돌구리구리 28 02:51
308 진 삼국무쌍 오리진 ClowReed 527 02:43
9324729 고스트 리콘 수제햄버거감튀바닐라쉐이크 36 02:01
303 진 삼국무쌍 오리진 나닌이 323 01:47
30102 사이버펑크 2077 돌돌구리구리 68 01:35
302 진 삼국무쌍 오리진 모리 란 373 01:17
301 진 삼국무쌍 오리진 ClowReed 1243 00:39
298 진 삼국무쌍 오리진 루리웹-3312399780 329 00:08
296 진 삼국무쌍 오리진 감동브레이커 1283 00:02
291 진 삼국무쌍 오리진 조니조니죠죠 294 2025.01.19
30604084 PS 질문 게시판 돌돌구리구리 88 2025.01.19
9426753 테일즈 오브 그레이세스 ssangzaa 408 2025.01.19
8061679 스타워즈 HouseRuIez 47 2025.01.19
288 진 삼국무쌍 오리진 데ㅇl지 650 2025.01.19
286 진 삼국무쌍 오리진 루리웹-5774501800 834 2025.01.19
285 진 삼국무쌍 오리진 ㅣㅣ뽀삐ㅣㅣ 446 2025.01.19
2549 패스 오브 엑자일 2 이다임 260 2025.01.19
30604083 PS 질문 게시판 미르알 87 2025.01.19
글쓰기 57059개의 글이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