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word":"\ube14\ub8e8\uc544\uce74","rank":0},{"keyword":"\ubc84\ud29c\ubc84","rank":0},{"keyword":"\uc720\ud76c\uc655","rank":8},{"keyword":"\ub9d0\ub538","rank":-1},{"keyword":"@","rank":1},{"keyword":"\uc6d0\uc2e0","rank":-1},{"keyword":"\uc6d0\ud53c\uc2a4","rank":-3},{"keyword":"\uadf8\ub9ac\ub4dc\ub9e8","rank":0},{"keyword":"\ub514\uc544","rank":-2},{"keyword":"\uac70\ubd81\uc120","rank":"new"},{"keyword":"\ud6c4\ubc29","rank":2},{"keyword":"\ud3ec\ucf13\ubaac","rank":3},{"keyword":"\ub514\uc5444","rank":-4},{"keyword":"\ube14\ub8e8","rank":7},{"keyword":"\ub77c\uc624","rank":4},{"keyword":"\ub77c\uc774\uc790","rank":"new"},{"keyword":"\ub864","rank":-3},{"keyword":"\uac00\ud14c","rank":"new"},{"keyword":"\uac74\ub2f4","rank":-7},{"keyword":"\uc824\ub2e4","rank":2},{"keyword":"\uc6cc\ud574\uba38","rank":"new"},{"keyword":"\uba54\uc774\ud50c","rank":-2}]
1.211.***.***
광역 제압 그리고 그에 따른 심리적 압박감 부여이지요.
112.154.***.***
https://youtu.be/rlmIzkRvLUg 혹시 시간이 되신다면 보시기를 추천합니다 다연장의 역할이 잘 정리되어 있어요 2부까지 있는거에요
118.43.***.***
빨리 쏠 수 있으니까요. 자주포가 1분에 3발 4발 6발 쏠 수 있다고 해도, 현대 포병 교리로는 그 속도 절대로 못 뽑는게 한두발 쏘고 진지이동, 다시 진지 만들고 포격...이런 식인데 다연장은 한번에 다 쏘고 후방가서 재보급할 수 있으니 메리트가 있습니다. 현대 포병이 저렇게 쏘고 이동하고 하는 이유는 대포병사격을 피하기 위해서구요.
220.127.***.***
비단 총도 똑같습니다. 소위 기관총들도 대부분 제압사격이나 지원사격을 위해 만들어진거라서 실제 살상율은 엄청 떨어질걸요. 물론 맞으면 죽는건 맞습니다만 보통은 일반 소총들 조준사격보다야 못 하죠. 무기는 단순 적을 조지는용도로만 있는게 아니라 다른 용도들도 많으니까요.
106.101.***.***
화력은 최대한 단시간에 강하게 타격 할 수록 이득입니다. 순차적으로 타격하면 적들이 산개 및 엄폐를 하기 때문이죠. 포병들이 최대한 동시에 사격을 하는 이유기도 합니다. TOT의 존재이유기도 하구요. 다련장은 한대만으로도 축구장 1개 정도를 커버할 화력 입니다. 자주포로 그정도 범위를 커버하려면 최소한 2개 포대~1개 대대가 화력투사를 해야 할겁니다. 화력측면뿐 아니라 다련장은 사용 제대와 전술적 위치도 다릅니다. 군단 직할인 포병 여단에 편제 되어 고가치 표적 타격이나 화력 집중 투사가 필요할 때 지원(일반지원)으로 사용 되죠.
1.211.***.***
광역 제압 그리고 그에 따른 심리적 압박감 부여이지요.
203.149.***.***
이제는 다연장 로켓도 정밀 타격이 주가 되서 작성자가 물어보는 저런 무지성으로 로켓탄 퍼붓는 다연장 로켓은 쓸모가 없어져서 퇴역하고 있는게 맞긴함. | 23.01.29 14:32 | |
203.149.***.***
참고로 로켓 탄두는 날아가면서 추진하기 때문에 측풍의 영향을 받아 명중률 떨어짐.. 연평도 포격전 당시에도 북한은 수백 발의 로켓을 발사했으나 한국측 피해는 해병대원 두 명과 민간인 두 명, 자산 소수에 그쳤고, 돈바스 전쟁에 참전한 러시아 의용군들의 수기에서조차 반군의 그라드가 뭐 하나 제대로 맞히지 못한다고 깔 정도임. | 23.01.29 14:34 | |
118.43.***.***
빨리 쏠 수 있으니까요. 자주포가 1분에 3발 4발 6발 쏠 수 있다고 해도, 현대 포병 교리로는 그 속도 절대로 못 뽑는게 한두발 쏘고 진지이동, 다시 진지 만들고 포격...이런 식인데 다연장은 한번에 다 쏘고 후방가서 재보급할 수 있으니 메리트가 있습니다. 현대 포병이 저렇게 쏘고 이동하고 하는 이유는 대포병사격을 피하기 위해서구요.
222.96.***.***
118.42.***.***
220.127.***.***
비단 총도 똑같습니다. 소위 기관총들도 대부분 제압사격이나 지원사격을 위해 만들어진거라서 실제 살상율은 엄청 떨어질걸요. 물론 맞으면 죽는건 맞습니다만 보통은 일반 소총들 조준사격보다야 못 하죠. 무기는 단순 적을 조지는용도로만 있는게 아니라 다른 용도들도 많으니까요.
106.101.***.***
화력은 최대한 단시간에 강하게 타격 할 수록 이득입니다. 순차적으로 타격하면 적들이 산개 및 엄폐를 하기 때문이죠. 포병들이 최대한 동시에 사격을 하는 이유기도 합니다. TOT의 존재이유기도 하구요. 다련장은 한대만으로도 축구장 1개 정도를 커버할 화력 입니다. 자주포로 그정도 범위를 커버하려면 최소한 2개 포대~1개 대대가 화력투사를 해야 할겁니다. 화력측면뿐 아니라 다련장은 사용 제대와 전술적 위치도 다릅니다. 군단 직할인 포병 여단에 편제 되어 고가치 표적 타격이나 화력 집중 투사가 필요할 때 지원(일반지원)으로 사용 되죠.
112.154.***.***
https://youtu.be/rlmIzkRvLUg 혹시 시간이 되신다면 보시기를 추천합니다 다연장의 역할이 잘 정리되어 있어요 2부까지 있는거에요
123.214.***.***
121.141.***.***
211.194.***.***
1.213.***.***
175.198.***.***
117.111.***.***
124.153.***.***
14.38.***.***
211.225.***.***
1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