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기타] [닌텐도]스위치2 루머 보면 이해 안가는점.배터리/발열 부분을 생각안함.. [24]




 
  • 스크랩
  • |
  • URL 복사
  • |
  • |
  • |
  • 네이버로공유
  • |
  • |

  • 댓글 | 24
    1
     댓글


    (IP보기클릭)106.101.***.***

    BEST
    ?? 님만 이해 못하는거 같은데요 ㅋㅋ 4k 지원 등의 루머로 도는 스펙기준은 당연히 독모드로 최대 성능 기준일테고 휴대모드시에는 더 낮은 해상도로 동작하는만큼 발열, 베터리를 고려해서 적정선에서 성능 제한이 걸리겠죠... 지금 스위치도 휴대 모드시 더 저전력, 저클럭으로 동작합니다.
    23.09.19 13:01

    (IP보기클릭)175.193.***.***

    BEST
    루머대로라면 x86이 아닌 arm이라서 전력 소모가 훨씬 적구요 (umpc들은 x86 기반이라서 고성능인 대신 에너지 효율이 떨어집니다) 4k 얘기 나오는건 dlss를 활용하는거라 네이티브 4k보다 전력 소모가 훨씬 낮을겁니다 특히나 휴대모드는 720p 기반으로 얘기가 나오고 있구요 딱히 루머로 나오는 내용들이 배터리 때문에 말도 안된다 이런 내용은 없어보입니다
    23.09.19 15:25

    (IP보기클릭)114.204.***.***

    BEST
    휴대용은 배터리때문에 720P에서 최대 1080P 까지만 지원하지 않을까요
    23.09.19 13:02

    (IP보기클릭)118.235.***.***

    BEST
    ARM 과 x86 아키텍쳐 차이도 생각해보셔야죠
    23.09.19 13:15

    (IP보기클릭)106.102.***.***

    BEST
    여러 루머가 있습니다만, 플4 엑원급 그래픽을 720p로 뿌리는 성능은 전혀 과하지 않은 성능같네요.
    23.09.19 17:49

    (IP보기클릭)106.101.***.***

    BEST
    ?? 님만 이해 못하는거 같은데요 ㅋㅋ 4k 지원 등의 루머로 도는 스펙기준은 당연히 독모드로 최대 성능 기준일테고 휴대모드시에는 더 낮은 해상도로 동작하는만큼 발열, 베터리를 고려해서 적정선에서 성능 제한이 걸리겠죠... 지금 스위치도 휴대 모드시 더 저전력, 저클럭으로 동작합니다.
    23.09.19 13:01

    (IP보기클릭)110.10.***.***

    박돌희
    저도 보다가 닌텐도회사 알기는 아는건가 싶네요... 성공요소가 휴대라는 글에 그냥 웃음만 나오네요. 삼다수로 휴대시장 압살했고 거치기이상으로 나온 판매량, 그리고 fc,sfc, wii 같은 혁명적 거치기로 나온 판매량. 그 둘 장점을 합쳐서 둘 다를 즐길 수 있어서 대박을 터트린 건데... 단순히 휴대 모드로 성공이라니.... 그럴거면 머하러 삼다수 ip를 접은건지...... 휴대기기나 만들지..... | 23.09.19 20:17 | |

    (IP보기클릭)223.39.***.***

    박돌희
    근데 독모드 - 휴대모드 성능갭 차이를 확벌려서 내놓는건 안정성면에서 그렇게 안할겁니다 지금 스위치는 독모드에서 최소한으로 오버를 하는 개념인데 차세대기는 휴대시 축소하는 개념으로 냈다가는 그것자체로도 쓸데없는 논란거리겠죠... 개발할때도 최적화 갭이 늘어나니 문제될거고요 유저들은 씹고뜯고맛보고 어떻게든 성능제한 뚫는 놈들은 나올거고요 ㅋ AP가 획기적으로 바뀌면 모를까 다른 회사 제품 커스텀도 아니고 걍 갖다쓴다고 한다면 휴대모드시 배터리 문제는 필연적입니다... 애플꺼 빼고는 답이 없어보이는게 현재 고성능 AP 칩셋 상황이니까요 | 23.09.20 14:42 | |

    (IP보기클릭)106.101.***.***

    루리웹-3262382738
    지금도 독모드 풀전력 풀클럭 휴대모드 전력제한한 반절성능 이거에요 독모드가 제성능입니다 | 23.09.21 22:19 | |

    (IP보기클릭)114.204.***.***

    BEST
    휴대용은 배터리때문에 720P에서 최대 1080P 까지만 지원하지 않을까요
    23.09.19 13:02

    (IP보기클릭)118.235.***.***

    BEST
    ARM 과 x86 아키텍쳐 차이도 생각해보셔야죠
    23.09.19 13:15

    (IP보기클릭)223.62.***.***

    스위치 발표당시 성능 휴대용 최강이었듯이 엔디비아 황회장 발표시점 최고 아니면 존심상하는 인물이라 스위치2또한 발표당시점에선 휴대용 성능 최강 입털겁니다
    23.09.19 13:36

    (IP보기클릭)210.113.***.***

    4k 등의 루머는 거치때 기준일겁니다. 어찌됐든 거치때 준수한 성능이 나와준다면 휴대용도 상당한 퀄리티가 나오겠죠.
    23.09.19 14:17

    (IP보기클릭)175.193.***.***

    BEST
    루머대로라면 x86이 아닌 arm이라서 전력 소모가 훨씬 적구요 (umpc들은 x86 기반이라서 고성능인 대신 에너지 효율이 떨어집니다) 4k 얘기 나오는건 dlss를 활용하는거라 네이티브 4k보다 전력 소모가 훨씬 낮을겁니다 특히나 휴대모드는 720p 기반으로 얘기가 나오고 있구요 딱히 루머로 나오는 내용들이 배터리 때문에 말도 안된다 이런 내용은 없어보입니다
    23.09.19 15:25

    (IP보기클릭)106.102.***.***

    BEST
    여러 루머가 있습니다만, 플4 엑원급 그래픽을 720p로 뿌리는 성능은 전혀 과하지 않은 성능같네요.
    23.09.19 17:49

    (IP보기클릭)223.39.***.***

    zon
    그정도 성능은 상관없는데 배터리가 문제겠죠 | 23.09.20 14:43 | |

    (IP보기클릭)118.35.***.***

    루리웹-3262382738
    배터리 발전이 뎌딘건 상식적이지만, 사실 똑같이 따지자면 2017년 스위치1 발매 당시때만해도 지금 스위치 배터리 우려했던건 매한가지 였지요 | 23.09.21 01:04 | |

    (IP보기클릭)106.102.***.***

    그리고 매번 이런글 볼때마다 느끼는데 아무 근거도 없는 '스위치는 휴대기로만 한다'는 뇌피셜을 정론 마냥 가져오는게 좀 그렇습니다. 스위치가 거치기로도 얼마나 많이 사용되고 있는지는 여러 통계자료가 증명하고 있고, 휴대기로는 플레이가 거의 불가능한 링피트나 마료파티도 아주 잘 팔렸어요. 저성능으로도 시장을 휘어잡은 wii라는 거치기가 이미 있었는데, 스위치가 왜 거치기로는 가치가 없다고 뇌피셜들을 돌리는지 이해가 어렵습니다.
    23.09.19 17:54

    (IP보기클릭)106.102.***.***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lovebest
    https://bbs.ruliweb.com/nin/board/300004/read/2155552?search_type=subject_content&search_key=%EC%84%A4%EB%AC%B8&page=2 | 23.09.19 21:52 | |

    (IP보기클릭)106.102.***.***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lovebest
    루리웹에는 패미통 설문이 2번 올라와있네요. 북미 자료도 본 기억이 있는데 못 찾겠습니다. 휴대 강세인 일본이 저 정도이면 안 봐도 거치로 사용하는 비율이 높다는건 당연할테고요. | 23.09.19 21:54 | |

    (IP보기클릭)219.241.***.***

    휴대모드에서 4K로 돌릴꺼라 생각하는건 님뿐인듯...
    23.09.19 18:31

    (IP보기클릭)106.247.***.***

    현행 스위치가 독모드와 휴대모드 성능 차이가 대략 두배정도 입니다 ㄷㄷ;
    23.09.19 18:51

    (IP보기클릭)211.253.***.***

    사실 스위치의 경우 휴대기가 가져야 할 휴대성과 사용시간의 확보 거치기가 가져야 할 고성능 모두를 염두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히 어려움이 있어 보였습니다. 다만 뛰어난 컨텐츠들이 성능문제를 해결해 줬죠 이번에도 휴대상태의 경우 능력을 다소 희생하는 한이 있더라도 휴대성을 확보하리라 생각합니다. 성능 자체가 루머대로 나와버리면 사용시간문제가 발생하게 될껍니다. 떨어지는 성능을 컨텐츠를 이용하려 할 가능성이 높고 이미 확보하고 있는 양질의 컨텐츠를 버리진 않을꺼라 생각합니다. 아마 이전 기종들처럼 하위호환을 지원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23.09.19 20:07

    (IP보기클릭)111.65.***.***

    umpc끼리 비교한 유투브 봤는데 스팀덱이랑 로갈리 뭐 이런 것들도 결국 배터리타임이나 발열 그리고 프레임 등등 문제로 로갈리든 뭐 다른 놈이든 1080p로 하기에는 무리 같던데 과연 1080p로 60프레임 안정적으로 뽑는 휴대용기기가 대체 어디서 뚝딱 나오는지...
    23.09.19 23:19

    (IP보기클릭)112.158.***.***

    휴대모드가 주를 이룬다면 라이트가 더 팔렸어야함.. 두개다 되니까 매력적인 건데
    23.09.20 13:10

    (IP보기클릭)140.248.***.***

    umpc랑 스위치를 단순 물리스펙만으로 비교한다는 것 부터가 잘못된 거 아닌가요? os 부터가 일단 다른데..
    23.09.20 14:51

    (IP보기클릭)210.104.***.***

    여기 댓글들 보면... 휴대기에선 720p 독모드에선 4k ps4성능 이라는건데... 지금정도의 차이가 아닌 댓글만큼 휴대모드랑 독모드가 차이난다면 서드파트는 아예 포팅할때부터 휴대모드 따로 독모드 따로 개발해야겠군요;; 그리고 스팀덱이나 로갈리등 써본분들은 아시겠지만 아무리 저전력이라 해도 배터리 사용량이 스위치에비해 확연히 시간이 적다는걸 느끼실텐데... (umpc들 배터리 크기나 용량도 어마어마한테도 불구하고...) 과연 배터리와 성능 사이에서 어떻게 조율할지 궁금하긴 하네요 무턱대고 배터리가 커지면 무게때문에 또 문제가 될테니;;;
    23.09.20 17:15

    (IP보기클릭)14.47.***.***

    4k는 상식적으로 독모드 기준일거라 봐서 그럼 휴대기능은 확실히 좋아지겠네 생각중이었는데.....
    23.09.21 13:13

    (IP보기클릭)58.29.***.***

    4k 디스플레이 업스케일이랑 네이티브 4k는 완전 다른 개념인데 왜 다들 4k로 게임이 돌아갈거라고 생각하는지 모르겠네요 엑원s도 엑시스도 모두 4k지원합니다 플스5나 엑시엑도 4k 네이티브게임이 손꼽는데 당연히 dlss건 뭐든 써서 업스케일 하겠죠 그리고 엑원 정도 성능은 이미 몇년전 아이패드에서 달성했는데 그 후 4-5년후 나오는 게임기에서 플4 성능 전혀 어려운게 아닐거같은대요 플3에서 플4가 8배, 스위치가 플스3 두배 즉 플4만큼 만드려면 4배 업하면 되는데 내년이면 7년차 보통 그래픽칩셋 성능이 동전력에 3년에 두배 뛴다죠 플4수준은 기술발전상 어려운게 아니죠 배터리도 지금수준 유지한다고 해두요
    23.09.21 22:29


    1
     댓글





    읽을거리
    [MULTI] 누마즈 없는 누마즈식 악마성, 환일의 요하네 BD (4)
    [MULTI] 지스타 2023, 컨퍼런스 및 관련 기사 종합 (12)
    [MULTI] 마지막으로 한 번 더, 용과 같이 7 외전 이름을 지운 자 (48)
    [MULTI] 멀티만 떼서 반값에 파세요, CoD: 모던 워페어 III (37)
    [게임툰] 귀엽고 심플한 핵앤슬래시, 프레데리카 (109)
    [MULTI] 사슬로 엮어낸 대체 불가능한 경험, 산나비 (41)
    [MULTI] 어둠 속에서 빛을 발하는 컬트, 앨런 웨이크 2 (24)
    [게임툰] 리듬 게임? 아니라고는 할 수 없지, P의 거짓 (41)
    [MULTI] 신화 삼부작의 짧은 사족, 어쌔신 크리드 미라지 (45)
    [MULTI] 시리즈가 건재함을 보여준, 페이트/사무라이 렘넌트 (27)
    [NS] 팬이 아니라면 글쎄··· ‘돌아온 명탐정 피카츄’ (33)
    [NS] 매너리즘을 밟고 놀라움으로 점프,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원더 (35)



    글쓰기
    공지
    스킨
    ID 구분 제목 글쓴이 추천 조회 날짜
    118 전체공지 업데이트 내역 / 버튜버 방송 일정 8[RULIWEB] 2023.08.08
    30664271 공지 타기종 이야기는 해당기종 게시판에 작성해주세요. 케인블루 12 27526 2021.12.04
    30649954 공지 불법관련 리플/게시글 절대 작성하지 마세요. 케인블루 27 46225 2020.05.26
    30647581 공지 온라인 패밀리 모집 게시물 작성 금지(내용필독) 케인블루 5 57505 2020.03.22
    30636948 공지 게시글 작성시 최소 2줄 이상 작성 엄수 1줄글 삭제조치 케인블루 5 51360 2019.07.22
    8592463 공지 게임게시판 공지 베베대장 7 178635 2009.04.26
    질문 모집 디즈니 플러스 1명 모십니다. (23년 12월 12일에 시작입니다) pcsb 29 21:49
    질문 모집 넷플릭스 3인 팟(TV시청) 한 분 구해요. 라우Liet 47 20:25
    30674742 기타 아이엔에프피 133 21:27
    30674740 기타 잔자 231 19:30
    30674739 기타 아유카와 마도카 1 451 19:06
    30674738 기타 염산에샤워중 302 17:50
    30674737 기타 회색잔영 3 1448 15:56
    30674736 기타 샤크샤브 5 3382 14:56
    30674734 기타 회색잔영 3 1655 07:09
    30674732 기타 쌀치킨 2 1334 01:43
    30674729 기타 EggR 6 3476 2023.11.29
    30674728 기타 닌텐도스위치매니아닷 2 1335 2023.11.29
    30674726 기타 루리웹-8771812002 577 2023.11.29
    30674724 기타 클로로_루실후르 654 2023.11.29
    30674723 한국 jyshsbro 552 2023.11.29
    30674720 기타 더쇼2099 802 2023.11.28
    30674719 기타 Rainmaker2 3 1689 2023.11.28
    30674718 기타 파워맨2 1414 2023.11.28
    30674716 기타 레인보우시즈26 2 3111 2023.11.27
    30674714 한국 닌텐도스위치매니아닷 1874 2023.11.27
    30674713 기타 스피리츠 1273 2023.11.27
    30674712 기타 지르다지치리☆ 1152 2023.11.27
    30674711 기타 {■■■■■■■} 367 2023.11.27
    30674708 기타 닌텐도스위치매니아닷 1 1659 2023.11.27
    30674705 기타 하루한번 480 2023.11.27
    30674704 기타 벤쳐 1083 2023.11.26
    30674703 기타 와사비맛쌈무 1208 2023.11.26
    30674700 기타 에라아이 672 2023.11.26
    30674699 기타 쥬리쨩 2 1704 2023.11.26
    30674698 한국 쵸파님 769 2023.11.26
    글쓰기 142312개의 글이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게시판 관리자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