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2025년 1월에 열린 무한 투영에 대한 글로, 사실 공략이라기 보다는 각 스테이지를 대략 설명하는 글입니다.
플레이하실 때 참고가 되면 좋겠습니다.
잘못된 점이나 보완할 점이 있다면 댓글 부탁합니다.
무한 투영 이벤트 기간:
2025년 1월 2일 05:00 ~ 2025년 1월 16일 04:59
참고글
소녀전선2 「무한 투영」 핵심 포인트 공략 (점수 획득, 인형 추천) - Vortex Gaming
개요
먼저 마지막 ‘극한 투영’의 보스 레벨이 50이고 권장 레벨도 50이라, 제대 육성이 충실하다는 전제 하에
50레벨이라면 모든 보상을 챙길 수 있습니다.
43~45레벨이라면 1제대로 투영 공간 04번 650점까지 가능합니다.
만약 지휘관 레벨이 낮고 육성이 어려운 상태라면, 보상을 얻을 수 있을 만큼만 얻고 넘기시는 걸 추천합니다.
보상 중에 반드시 얻어야 하는 게 없고 비정기적으로 다시 열리는 이벤트라고 하니 너무 목 매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기간이 2주이니 육성을 최대한 하고 이벤트 끝나기 1~2일 전에 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전부 클리어하려면 인형이 6명 이상 필요합니다. (04번 650점까지는 4명이면 충분)
에너지 시스템도 있지만 ‘극한 투영’에 인형을 6명 투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수오미, 경구, 토로로, 마키아토, 샤크리 외에 추천할만한 인형은 크세니아, 롯타, 베프리, 그로자 정도입니다.
넷 중에 2명을 키운다면 크세니아와 베프리가 좋습니다.
크세니아는 수오미 대신 쓸만한 힐러이며, 불덩이를 거는 스킬이 있어 샤크리와 조합하기 좋고,
안정 점수를 5점이나 깎는 결전기(3스)가 있어 보스전에서도 좋습니다.
롯타는 아시다시피 광역 스킬인 결전기(3스)가 매우 좋습니다.
다만 정예 몹을 상대하는데는 아주 많이 취약합니다.
베프리는 이동력 8을 바탕으로 레버나 진지 점령 등 각종 기믹 수행하는데 좋고,
적에게 이동 디버프를 걸 수 있습니다. 잘 키우면 데미지도 상당히 셉니다.
그로자는 데미지는 낮지만, 수오미가 없는 제대에서 완벽 엄호(2스)로 방어력 버프를 걸어
유지력을 강화시켜줄 수 있고, 강력 제압(1스)이 안정 피해가 높아 안정 붕괴 임무를 달성하는데 유용합니다.
3번 전투를 해야하는 투영 공간에서는 다음과 같이 제대를 나누어 투입하면 됩니다.
- 1단계: 1군 2명 / 2군 2명 (ex) 수오미, 마키아토 / 크세니아, 베프리)
- 2단계: 1군 2명 / 2군 2명 (ex) 경구, 토로로 / 크세니아, 베프리)
- 3단계: 1군 4명 (ex) 수오미, 마키아토, 경구, 토로로)
그리고 전투 스테이지 단계가 올라갈수록 난이도가 올라가니 1단계에 보다 약한 제대를 배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글 참조)
그리고 이전 단계에서 인형의 상태가 그대로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체력, 리몰딩 점수 등이 그대로 유지되니 턴이 남았다면 체력과 리몰딩 지수를 모두 채우고 넘어가는게 좋습니다.
‘투영 공간’별로 점수 보상을 얻으려면 01~04번은 임무를 수행해야 하고 05번은 임무 + 전술 점수를 얻어야 합니다.
임무 카운트 및 점술 전수는 누적이 됩니다.
03번은 전투가 3단계지만, 1-2단계를 2번하면 모든 임무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1번의 도전으로 임무를 전부 달성하거나 최대 점수를 얻을 필요는 없습니다.
투영 공간 01
임무:
- 적 유닛 32기 처치- 한 턴에 적 유닛 3기 처치
1, 2단계 모두 목표가 적 섬멸이라 처치 임무는 신경 안 써도 됩니다.
한 턴에 적 유닛 3기 처치 달성을 위해서는 롯타나 베프리 같은 광역 딜러를 기용하는게 추천됩니다.
1단계
총 15기 / 증원 없음
중앙의 벽을 기준으로 위 아래로 적이 나뉘어 경계 태세를 하고 있습니다.
대도 이지스는 1칸 밀쳐내기 스킬을 사용하므로 낙사 당하는 것에 주의해야 합니다.
구멍이 있어 베프리나 롯타 스킬로 밀어서 낙사시키기 좋습니다.
2단계
총 18기(정예 1) / 시작 16기 / 증원 2기
1단계와 비슷한 데 맵 아래에서 시작합니다.
3턴에 벽 너머의 적들 경계가 풀립니다.
중앙의 신도 2명을 처치하면 다음 턴에 철벽 이지스와 정예 흉조곰이 등장하니 나중에 처치하는게 좋습니다.
투영 공간 02
- 임무:
- 약점 공격 피해 주기 10회
- 적을 안정 붕괴시키기 15회
- 백식 이지스SWAP 처치
01과 동일하게 목표가 적 섬멸이라 처치 임무는 신경 안 써도 됩니다.
안정 붕괴 임무는 인형 스펙이 높으면 ‘안정 붕괴’ 전에 적을 처치해버리는 일이 많으므로 신경을 써서 처치할 필요가 있습니다.
약점을 2개 이상 노리거나, 그로자/크세니아 같이 데미지는 낮지만 안정 점수를 크게 깎는 인형을 기용하는걸 추천합니다.
만약 신경 써서 하는게 귀찮다면 카운트가 누적이 되니 반복 도전하시면 됩니다.
안정치 증폭기는 가동하면 모든 유닛에게 ‘지속 안정 회복’이라는 버프를 걸어줍니다.
제대 스펙이 낮다면 활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1단계
총 14기 / 시작 10기 / 5턴 4기
5턴에 양쪽 고지대에서 적이 4기가 증원됩니다. 여유가 된다면 미리 고지대에 올라가는게 좋습니다.
2단계
총 21기 / 시작 7기 / 3턴 4기 / 5턴 3기(정예1) / 7턴 5기(정예1)
적 처치 뿐만 아니라 수비 포인트를 지켜야 하는데, 신도는 근처에 배치되기도 하고 이동력이 7이라 우선적으로 처치해야 합니다.
여의치 않다면 베프리나 그로자로 이동력 디버프를 걸거나, 적의 예상 이동 경로에 아군을 배치하여 이동을 제한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고지대에 있는 적 중 왼쪽은 건드리지 않으면 경계 태세를 계속 풀지 않으므로, 제일 마지막에 잡는 것도 좋습니다.
단계별 적을 빠르게 처리하지 못한다면 7-8턴이 고비가 될 겁니다.
아래는 유닛 배치로 적 이동을 제한하는 예시입니다.
투영 공간 03
임무:
- 적 유닛 40기 처치
- 아군 유닛 3기 이상 철수 2회 달성- 적을 안정 붕괴시키기 20회
- 정예 부고 가시곰 처치
- 정예 데이터 잔상SWAP 처치
02와 마찬가지로 한 번에 깨려면 안정 붕괴 임무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2단계에서 임무 목표인 정예 2마리가 나오므로 1-2단계만 2번 해도 모든 임무 클리어가 가능합니다.
다만 정예 데이터 잔상SWAP가 상당히 골치 아파서, 육성한 인형이 부족한 게 아니라면 3단계까지 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1단계
총 13기 / 시작 9기 / 증원 4기
고지대에 있는 철벽 이지스를 처치하면 적 4기가 증원됩니다.
우루크로커가 고지대에 있어 엄폐가 안 통하고 상당히 세서 주의해야 합니다.
2단계
총 16기 / 시작 11기 / 증원 5기
가운데 루트로 2명, 레버가 있는 위 아래 루트로 각각 1명씩 진행하면 됩니다.
철수가 목표인데, 임무 달성을 위해서는 적을 정예 2마리 포함 모두 처치해야 합니다.
정예 부고 가시곰을 처치하면 적 5기가 증원 됩니다.
문제는 데이터 잔상SWAP 인데, 매턴 음극/양극 디버프를 걸어대서 아주 골치 아픕니다.
경계 범위에서 대기하다가, 레버를 돌리자마자 돌입해서 가급적 빠르게 잡거나, 수오미 결전기로 디버프를 풀고 잡는걸 추천합니다.
혹은 베프리나 롯타 1스킬로 낙사 시키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동력 증폭기를 사용하면 1턴간 이동력 +1칸 버프를 얻습니다. 적절하게 계속 사용해주는 게 좋습니다.
3단계
총 15기 / 시작 11기 / 증원 4기
배양학자를 처치하면 다음 턴에 적 4기가 증원됩니다.
그 외에는 특별한 게 없고, 철수 포인트가 생각보다 멀어서 이동력 증폭기를 사용하는 게 좋습니다.
투영 공간 04
임무:
- 적을 50기 처치
- 수비 포인트 2곳 점령
- 약점 공격 피해 주기 15회
- 한 턴에 적 유닛 3기 처치를 3회 달성
- 올리파트의 체력을 50% 이하로 줄이기
- 12턴 이내에 올리파트 처치
3단계 전투는 지정보정과 유사한 올리파트 보스전입니다.
부담이 된다면 1제대로 2단계 전투까지만 하고 650점만 달성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1단계
총 23기 / 시작 8기 / 4턴 7기 / 7턴 4기 / 9턴 4기
증원되는 적을 계속 잡기만 하면 되는 스테이지입니다.
2단계
총 18기 / 시작 10기(정예 2) / 4턴 4기 / 7턴 4기
정예 적 2명은 건드리지 않으면 경계 태세를 해제하지 않으니 제일 마지막에 잡는 게 좋습니다.
정예 적 2명을 잡고 포인트를 점령하면 끝나는데, 한 번의 도전으로 적 50기 처리를 달성하려면
7턴까지 기다려서 모든 적을 잡고 넘어가야 합니다.
3단계
총 9기 / 시작 3기(보스 1) / 4턴 2기 / 7턴 2기 / 10턴 2기
3단계는 올리파트 보스전입니다. 올리파트 자체는 지정보정과 비슷합니다.
화력이 부족하면 12턴 내에 올리파트를 처치하는게 어려울 수 있어 기믹 숙지가 필요합니다.
기믹을 잘 모르겠다면 출격 준비 > 스토리 전역 > 사냥꾼 입문 > 강적 돌파에서 올리파트 전투를 해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한 번의 도전으로 적 50기 처치를 달성하려면 10턴까지 올리파트의 공격을 버티면서 쫄몹이 나오기를 기다려야 합니다.
투영 공간 05
임무:
- 약점 공격 피해 주기 20회
- 지원 공격을 통해 약점 공격 피해 주기 누적 10회
- 적을 안정 붕괴시키기 5회
- 티탄 퀘이크의 체력을 80% 미만까지 깎기
- 티탄 퀘이크의 체력을 60% 미만까지 깎기
- 티탄 퀘이크의 체력을 40% 미만까지 깎기
마지막 티탄 퀘이크 보스전입니다.
수오미가 있다면 보스의 공격은 생각보다 아프지 않지만, 결전기를 디버프 해제 용도로 아껴야 하므로 턴마다 상황 판단이 중요합니다.
일단 보스는 기본적으로 공격과 함께 '재밍' 디버프를 거는데, 1스택만 해도 공격력 -15%, 3스택이면 -45% 라서
임무 달성 목표인 체력 40% 미만까지 깎으려면 최대한 디버프에 덜 걸리거나 디버프를 해제하는게 매우 중요합니다.
그래서 일단은 수오미 같은 서포트 유닛이 버틸 수 있을 만큼만 보스에게 붙어서 재밍 펄스를 맞아줘야 합니다.
글로벌 재밍은 전맵 광역기에 재밍을 1~3스택 거는데 방향 상관없이 엄폐물 근처에만 있으면 됩니다.
글로벌 재밍 직후에는 수오미 결전기로 디버프를 해제해주는 방법이 있는데,
보스 공격을 버티면서 타이밍 맞추기가 생각보다 어렵습니다. 잘 판단해서 써야합니다.
보스 스킬 중 에너지 퍼붓기는 무작위 광역 공격인데 약한 엄폐물을 파괴합니다.
글로벌 재밍을 맞았을 때 재밍 3스택에 걸리지 않으려면 엄폐물이 파괴되지 않게 하는 편이 좋은데
수오미가 있고 제대 스펙이 높다면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보스는 안정 점수가 0이 되면 그 즉시 자기 주변의 고정된 위치에 요새 장치를 4기 소환하고,
다음 턴에 스킬을 1개 쓴 뒤 파손주의(스턴) 상태에 빠집니다.
요새 장치를 처치하면 요새 장치 체력 만큼의 피해가 들어가고 요새 장치의 위상/물리 약점이 보스에게 부여됩니다.
그리고 파손주의 상태에서는 받는 피해가 2배가 됩니다. 이 때 극딜을 해야 합니다.
요새 장치는 바로 처리해줄 필요는 없고, 보스에게 약점이 없을 때 처리하면 되는데,
배치가 광역기를 맞추기 딱 좋아서 베프리/롯타를 쓰는 걸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다만 롯타는 스킬 1방에 요새 장치 처리가 안 되어서 2턴을 기다려야 할 수 있습니다.
크세니아는 샤크리와 함께 쓰면 안정 점수를 대폭 깎는데 좋으므로 크세니아가 나을 수도 있습니다.
참고로 요새 장치가 소환되는 위치에 유닛이 있으면 요새 장치가 소환되지 않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보스 공략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재밍 디버프를 덜 받거나 해제하기
2) 안정 점수를 빠르게 0으로 만들기
3) 요새 장치를 파괴하기
4) 파손주의(스턴) 상태일 때 극딜하기
(IP보기클릭)39.126.***.***
(IP보기클릭)39.120.***.***
(IP보기클릭)223.38.***.***
(IP보기클릭)123.212.***.***
(IP보기클릭)1.11.***.***
(IP보기클릭)220.82.***.***
(IP보기클릭)116.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