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꽃성기사 덱강의
-도둑의 연막탄과 패털이를 중심으로-
Ⅰ. 서론
최근 오프라인과 마스터 듀얼 환경에서 도둑의 연막탄을 활용한 패털이가 크나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3,000년을 이어오는 듀얼의 역사에서 패털이가 주요한 전술로 채용된 것은 2000년에 발매된 마법의 지배자 팩이 나오면서부터이다. 소위 패털이 3신기라 불리우는 짓궂은 쌍둥이 악마, 강인한 파수병, 압수가 모두 이 팩에 수록된 카드들이다. 2003년 열린 첫 세계대회에서 토마토 한데스 덱이 우승하면서 패털이 전략의 강력함을 여과 없이 보여주었다. 이후에도 패털이의 계보는 더스트 슛, 태엽 헌터,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 트릭스터 리인카네이션, 토플로직 검블러 드래곤, 빙령신 물랭레이스 등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2020년에 드디어 불꽃성기사제-샤를과 도둑의 연막탄 콤보가 등장하게 된다. 하지만 불꽃성기사의 강력함을 두려워한 코나미가 전개의 축을 담당하던 링크로스를 금지 보내면서 불꽃성기사는 비티어의 어둠속으로 사라지게 된다.
시간이 흘러 2022년 1월 마스터 룰 환경을 온라인에 재현한 유희왕 마스터 듀얼이 발매 되었다. 비록 비티어로 추락했지만 도둑의 연막탄을 통해 상대의 패와 플랜을 확인하고 불꽃성기사황 빅토리 파이어 드래곤(이하 V.F.D.)을 꺼낼 수 있었던 마스터 듀얼 초기의 불꽃성기사는 당시 티어였던 전뇌계 이상으로 V.F.D.를 활용하는 강력한 덱이었다. 이 시기에는 불꽃성기사도-롤랑으로 도둑의 연막탄을 먼저 덤핑하고 샤를로 연막탄을 장착할 수 없는 버그가 있었다. 다만 이 버그가 불꽃성기사의 심각한 문제였다는 세간의 인식과는 반대로 크리스트론 하리파이버와 V.F.D.를 함께 쓸 수 있었던 이 시기의 불꽃성기사가 버그가 고쳐지고 V.F.D.를 잃은 시기의 불꽃성기사보다 더 강했다. 연막탄은 성기사의 추상 이졸데로 덤핑할 수 있었고 V.F.D.를 꺼내는 전개 중에는 롤랑을 활용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이다. V.F.D. 금지 이후에도 불꽃성기사는 용사를 용병으로 채택하여 나쁘지 않은 덱파워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불꽃성기사룡 파워 툴 브레이버 드래곤을 받으면 너무나도 강력해질 불꽃성기사를 경계한 코나미가 파워 툴 브레이버 드래곤 출시 전에 하리파이버를 먼저 금지 시켜버리고 불꽃성기사는 덱에서 딕으로 완전히 몰락하고 만다. 이후 오랜 기간 동안 암흑기를 겪다 파워 툴 브레이버 드래곤을 신규 지원으로 받게 된다. 비록 전개의 불안정성이라는 문제점을 극복하진 못 했지만 기본적으로 4장의 패털이가 가능해져서 고점만큼은 사상 최고치를 찍게 된다.
이 시점에서 파워 툴 브레이버는 전뇌계나 아다마시아도 쓸 수 있는데 어째서 불꽃성기사를 하냐는 의문을 제기할 수 있겠지만 불꽃성기사는 패트랩이라는 외부적 변수에 극도로 취약한 대신 전뇌계보다 초동률이 높고 채굴이라는 내부적 변수의 영향을 받는 아다마시아에 비해 내부적인 변수의 영향을 적게 받아 안정적이고 고정적인 결과물을 창출할 수 있다는 독자적인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고정적이고 정형화된 전개 루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개가 쉬워서 싱크로 소환과 링크 소환에 익숙하지 않은 초보자의 입문용으로도 좋다고 할 수 있다.
서론 요약
Ⅱ. 덱리스트 및 카드 채용이유
덱리스트
메인 덱
몬스터
가드 오브 플레임벨 1
이펙트 뵐러 1
제트 싱크론 1
불꽃성기사-롤랑 1
튠 나이트 1
불꽃성기사-리나르도 3
불꽃성기사-아스톨포 1
키리비 레이디 3
증식의 G 3
환상수기 오라이온 2
네오 스페이시언 아쿠아 돌핀 1
카보네돈 1
유령토끼 1
팬텀 나이츠 더스티로브 1
팬텀 나이츠 사일런트부츠 1
하루 우라라 3
승화기사 3
팬텀 나이츠 티어스케일 1
네오스페이스 커넥터 3
불꽃성기사-오지에 1
불꽃성기사-올리비에 1
ZS 어센드 세이지 1
초량사 레드레이어 1
갓피닉스 기어프리드 1
마법
죽은 자의 소생 1
증원 1
이차원의 지명자 2
황금빛 죽도 1
성배의 계승 3
도둑의 연막탄 1
요도 죽도 1
월경의 방패 1
리빙 파슬 1
『불꽃성검-듀란달』 2
블랙 가든 1
금지령 3
무덤의 지명자 2
말살의 지명자 1
함정
팬텀 나이츠 셰이드 브리간딘 1
팬텀 포그 블레이드 1
엑스트라 덱
아크 디클레어러 1
액셀 싱크론 1
가든 로즈 메이든 1
코랄 드래곤 1
기악룡 아케티스 1
불꽃성기사제-샤를 1
파워 툴 브레이버 드래곤 1
플뢰르 드 바로네스 1
미라지포트리스 엔터프라즈닐 1
성기사의 추상 이졸데 2
피안의 흑천사 케루비니 1
경위 바리케이드베르그 1
환상수기 아우로라돈 1
액세스코드 토커 1
카드 채용이유
가드 오브 플레임벨: 전개용 쓰레기 파츠라 1장 채용.
이펙트 뵐러: 말명자용 패트랩. 증G처럼 턴을 받아올만한 카드가 아니라 1장 채용.
제트 싱크론: 전개용 쓰레기 파츠라 1장 채용.
불꽃성기사-롤랑: 타이밍이 느려 적극적으로 쓰긴 어렵지만 서치 범위가 광범위하고 상대턴에 장착하고 샤를로 1파괴를 노려볼 수 있어서 1장 채용.
튠 나이트: 승화기사용 전개파츠. 승화기사가 찾아주니 1장만 채용. 마함존에서 특수 소환 후 채용 효과 사용 시 튜너가 되지만 엑덱 소환이 1회로 제한되니 기본적으로는 효과를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
불꽃성기사-리나르도: 특소시 연막탄을 건져오고 튜너로 써서 바로네스를 뽑을 수 있는 핵심 파츠. 급할 때는 이거 꺼내서라도 이졸데 가야 되고 초동에 듀란달을 썼을 경우 전개 후반부에 드로우로 뽑아야 되기 때문에 3장 채용.
불꽃성기사-아스톨포: 패트랩 맞았을 때의 케어용이나 레벨 변환으로 전개에 사용하는 만능 파츠. 고성능이지만 효과는 듀얼 중 1번만 쓸 수 있기 때문에 1장만 채용.
키리비 레이디: 초동과 패트랩 케어에 모두 사용 가능한 중요 파츠라 3장 채용.
증식의 G: 1장으로 턴을 받아올만한 패트랩 중 불꽃성기사가 사용할만한 유일한 패트랩 3장 채용.
환상수기 오라이온: 전개용 쓰레기 파츠. 손에 잡히면 안되는 카드라 2장 채용.
네오 스페이시언 아쿠아 돌핀: 커넥터로 특소해서 원핸드 전개도 가능하고 상대 패도 확인할 수 있는 우수한 카드. 커넥터가 특소해오기 때문에 1장만 채용.
카보네돈: 전개용 쓰레기 파츠라 1장 채용.
유령토끼: 말명자용 패트랩. 증G처럼 턴을 받아올만한 카드가 아니라 1장 채용.
팬텀 나이츠 더스티로브: 사일런트부츠 서치용. 티어스케일로 덤핑 가능하므로 1장만 채용.
팬텀 나이츠 사일런트부츠: 특소해서 케루비니를 꺼내고 묘지에서 팬나 함정을 서치 하는데 사용. 더스티로브로 서치 가능하므로 1장만 채용.
하루 우라라: 증G 방어용 무조건 3꽉.
승화기사: 튠 나이트로 원핸드 전개가 가능한 카드이므로 3장 채용.
팬텀 나이츠 티어스케일: 팬나 파츠를 돌리기 시작하기 위한 키카드. 이졸데로 특소 가능하므로 1장만 채용.
네오스페이스 커넥터: 돌핀맨 특소해서 원핸드 전개가 가능한 파츠라 3장 채용. 승화기사와 비교했을 때 우라라를 맞는다는 단점이 있지만 우라라를 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불꽃성기사-오지에: 파괴내성 부여용 장착카드. 투핸드 초동에도 사용 가능하지만 많이 넣으면 말림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1장만 채용.
불꽃성기사-올리비에: 대상 내성 부여용 장착카드. 특수 소환이 가능하지만 조건이 까다롭고 코스트가 커서 1장 채용.
ZS 어센드 세이지: 필드에 카드가 없을 경우 특소 가능한 전사족 카드라 1장 채용. 레드레이어와 같은 조건이지만 일반 소환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음.
초량사 레드레이어: 필드에 카드가 없을 경우 특소 가능한 전사족 카드. 2장 이상 잡히면 쓸모없으니 1장 채용.
갓피닉스 기어프리드: 특수 소환 조건을 맞추기가 많이 어렵지 않으면서도 타점도 높고 몬스터를 고르고 장착이라는 강력한 효과에 몬스터 효과 퍼미션도 가능한 초고성능 카드지만 이졸데로 서치가 가능한데다 이 카드가 나와야할 상황이라면 듀얼 중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음. 1장 채용.
죽은 자의 소생: 초반 전개중 패트랩에 의한 사고가 발생했을 때의 케어용 마법. 제한 카드라 1장 채용.
증원: 심플하고 강력한 전사족 서치 카드. 제한이라 1장 채용.
이차원의 지명자: 추가적인 패털이나 패트랩 방어에 사용하는 카드지만 금지령처럼 막 던지기에는 리스크가 커서 2장 채용.
황금빛 죽도: 요도 죽도를 활용한 드로우 부스팅용 마법. 요도 죽도로 서치 가능하므로 1장 채용.
성배의 계승: 성기사와 성검을 서치하는 마법. 1턴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지만 활용도가 높으므로 3장 채용.
도둑의 연막탄: 패털이에 사용되는 가장 핵심적인 카드지만 재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1장만 채용.
요도 죽도: 황금빛 죽도와 함께 사용해서 드로우 부스팅을 하기 위한 카드. 2장 이상 필요 없기 때문에 1장 채용.
월경의 방패: 장착 마법을 4종만 채용할 경우 2장 이상 손에 잡혔을 때 전개가 막히기 때문에 추가한 장착 마법 덱으로도 돌릴 수 있고 타점 싸움에도 좋지만 선턴에 잡히면 쓰레기. 1장 채용.
리빙 파슬: 패트랩에 의해 전개 사고가 났을 때의 케어용 장착 마법. 2장 이상 필요 없기 때문에 1장 채용.
『불꽃성검-듀란달』: 화염 속성 전사족 서치가 가능한 장착 마법이지만 1턴에 1번만 쓸 수 있고 필드에 몬스터가 필요하다는 조건 때문에 성배의 계승보다 활용도가 떨어지므로 2장 채용.
블랙 가든: 전개용 쓰레기 파츠라 1장 채용.
금지령: 전개 중에 연막탄으로 상대의 패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불꽃성기사가 세계에서 가장 맛있게 활용할 수 있는 마법. 잡고 시작해서 패트랩 방어용으로 써도 좋지만 전개 후반부에 4장 드로우 당겨올 때 잡으면 더 좋은데 상대가 들고 있는 패 이외에도 상대 덱의 키카드를 지정해서 막으면 단순한 패털이 이상의 효과를 볼 수 있음.
무덤의 지명자: 패트랩 방어용. 증G뿐만 디멘션 어트랙터도 막을 수 있기에 준제한 2꽉.
말살의 지명자: 증G는 무슨 일이 있어도 막아야 함. 제한이니 1꽉.
팬텀 나이츠 셰이드 브리간딘: 전개용 팬나 파츠. 사일런트부츠로 서치 가능하므로 1장만 채용.
팬텀 포그 블레이드: 팬나 파츠끼리 패사고를 냈을 때의 케어용 카드. 브리간딘으로 전개 하려면 묘지에 함정이 없어야 되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제외 가능한 팬텀 포그 블레이드 1장 이외의 함정은 불필요하므로 1장 채용.
Ⅲ. 전개법
기본 전개법
1. 필드에 전사족을 2체 꺼낸다.
2. 전사족 2체를 소재로 성기사의 추상 이졸데를 링크 소환한다.
3. 성기사의 추상 이졸데로 갓피닉스 기어프리드를 패로 가져온다.
4. 성기사의 추상 이졸데 2번 효과로 도둑의 연막탄, 요도 죽도, 『불꽃성검-듀란달』의 3장을 묘지로 보내고 덱에서 팬텀 나이츠 티어스케일을 특수 소환한다.
5. 묘지로 간 요도 죽도의 효과로 황금빛 죽도를 패로 가져온다.
6. 팬텀 나이츠 티어스케일의 효과로 패를 1장 버리고 팬텀 나이츠 더스티로브를 묘지로 보낸다.
7. 묘지에 있는 팬텀 나이츠 더스티로브의 효과로 팬텀 나이츠 사일런트부츠를 패로 가져온다.
8. 팬텀 나이츠 사일런트부츠를 특수 소환한다.
9. 팬텀 나이츠 티어스케일과 팬텀 나이츠 사일런트부츠를 소재로 피안의 흑천사 케루비니를 링크 소환한다.
10. 피안의 흑천사 케루비니의 효과로 카보네돈을 묘지로 보낸다.
11. 묘지에 있는 팬텀 나이츠 사일런트부츠의 효과로 팬텀 나이츠 셰이드 브리간딘을 패로 가져온다.
12. 묘지의 팬텀 나이츠가 제외되면서 특수 소환이 가능해진 팬텀 나이츠 티어스케일을 필드에 특수 소환한다.
13. 성기사의 추상 이졸데와 피안의 흑천사 케루비니를 소재로 경위 바리케이드베르그를 링크 소환한다.
14. 묘지에 있는 카보네돈의 효과로 가드 오브 플레임벨을 필드로 특수 소환한다.
15. 패로 가져온 팬텀 나이츠 셰이드 브리간딘을 세트하고 필드에 특수 소환한다,
16. 가드 오브 플레임벨과 팬텀 나이츠 셰이드 브리간딘을 소재로 액셀 싱크론을 싱크로 소환한다,
17. 액셀 싱크론의 효과로 제트 싱크론을 묘지로 보내고 레벨을 변동한다.
18. 경위 바리케이드베르그와 액셀 싱크론을 소재로 환상수기 아우로라돈을 링크 소환한다.
19. 환상수기 아우로라돈의 효과로 환상수기 토큰 3체를 필드에 특수 소환한다.
20. 환상수기 아우로라돈의 효과로 팬텀 나이츠 티어스케일과 환상수기 아우로라돈을 릴리즈하고 덱에서 환상수기 오라이온을 특수 소환한다.
21. 환상수기 오라이온과 환상수기 토큰 1체를 소재로 가든 로즈 메이든을 싱크로 소환한다.
22. 가든 로즈 메이든의 효과로 블랙 가든을 패로 가져온다.
23. 묘지로 간 환상수기 오라이온의 효과로 필드에 환상수기 토큰 1체를 특수 소환한다.
24. 묘지에 있는 제트 싱크론의 효과로 패를 1장 버리고 제트 싱크론을 필드에 특수 소환한다.
25. 제트 싱크론과 가든 로즈 메이든을 소재로 코랄 드래곤을 싱크로 소환한다.
26. 패로 가져온 블랙 가든을 발동한다.
27. 코랄 드래곤과 환상수기 토큰 1체를 소재로 기악룡 아케티스를 싱크로 소환한다.
28. 블랙 가든의 효과로 상대 필드에 로즈 토큰 1체가 생성된다.
29. 싱크로 소환된 기악룡 아케티스의 효과로 덱에서 1장 드로우 한다.
30. 묘지로 보내진 코랄 드래곤의 효과로 덱에서 1장 드로우 한다.
31. 묘지에 있는 가든 로즈 메이든의 효과로 필드에 코랄 드래곤을 특수 소환한다.
32. 블랙 가든의 효과로 상대 필드에 로즈 토큰 1체가 생성된다.
33. 코랄 드래곤과 환상수기 토큰 1체를 소재로 파워 툴 브레이버 드래곤을 싱크로 소환한다.
34. 블랙 가든의 효과로 상대 필드에 로즈 토큰 1체가 생성된다.
35. 파워 툴 브레이버 드래곤의 효과로 도둑의 연막탄, 요도 죽도, 『불꽃성검-듀란달』을 장착 한다.
36. 블랙 가든의 효과로 블랙 가든과 상대 필드의 로즈 토큰 3체를 파괴하고 묘지에서 코랄 드래곤을 특수 소환한다.
37. 패에 있는 황금빛 죽도를 사용하여 덱에서 2장 드로우 한다.
38. 『불꽃성검-듀란달』을 사용하여 덱에서 불꽃성기사-리나르도를 패로 가져온다.
39. 기악룡 아케티스의 효과로 패를 2장 버리고 도둑의 연막탄을 파괴한다.
40. 파괴된 도둑의 연막탄의 효과로 상대의 패를 보고 1장 버린다.
41. 코랄 드래곤과 환상수기 토큰 1체를 소재로 불꽃성기사제-샤를을 싱크로 소환한다.
42. 패에서 불꽃성기사-리나르도를 튜너로 취급하여 특수 소환하고 불꽃성기사-리나르도의 효과로 묘지에 있는 도둑의 연막탄을 패로 가져온다.
43. 불꽃성기사-리나르도와 파워 툴 브레이버 드래곤을 소재로 플뢰르 드 바로네스를 싱크로 소환한다.
44. 도둑의 연막탄을 몬스터에게 장착한다.
45. 플뢰르 드 바로네스의 효과로 도둑의 연막탄을 파괴한다.
46. 파괴된 도둑의 연막탄의 효과로 상대의 패를 보고 1장 버린다.
47. 턴을 마치고 엔드 페이즈에 불꽃성기사제-샤를의 효과로 도둑의 연막탄과 불꽃성기사-오지에나 불꽃성기사-올리비에의 둘 중 하나를 상황에 맞게 장착한다.
48. 불꽃성기사제-샤를의 효과로 도둑의 연막탄을 파괴한다.
49. 파괴된 도둑의 연막탄의 효과로 상대의 패를 보고 1장 버린다.
50. 상대의 스텐바이 페이즈에 플뢰르 드 바로네스의 효과로 묘지에 있는 파워 툴 브레이버 드래곤을 특수 소환한다.
51. 특수 소환된 파워 툴 브레이버 드래곤의 효과로 도둑의 연막탄과 불꽃 성검 듀란달을 장착 한다.
52. 불꽃성기사제-샤를의 효과로 도둑의 연막탄을 파괴한다.
53. 파괴된 도둑의 연막탄의 효과로 상대의 패를 보고 1장 버린다.
(307) [유희왕 마스터듀얼] 패털이 불꽃성기사 전개법 - YouTube
기본 전개법 중의 주의사항
상술한 기본 전개법을 따라 전개하면서 생길 수 있는 문제와 해결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위에서 표기한 번호의 상황 별로 주의사항을 서술하며 크게 문제가 생길만한 부분이 없는 경우에는 생략한다.
1. 필드에 전사족을 2체 꺼낼 때 대부분의 조합은 상관없지만 전개 후반부에 리나르도나 올리비에를 특수 소환할 수 있도록 올리비에 일반 소환 후 리나르도 특수 소환의 조합은 피해야하며 팬텀 나이츠 셰이드 브리간딘은 전개 중반부에 필요하므로 이졸데의 소재로 쓰지 않아야 하지만 죽은자의 소생이나 리빙 파슬로 브리간딘 이외의 4레벨 몬스터를 필드에 낼 수 있다면 괜찮다.
2. 만약 레드레이어나 어센드 세이지를 특수 소환하고 네오스페이스 커넥터의 일반 소환과 아쿠아 돌핀의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후술할 잔기술을 위해 네오스페이스 커넥터를 남기고 나머지 몬스터로 이졸데를 링크 소환하는 것이 좋다.
3. 이졸데를 소환 했을 때 갓피닉스 기어프리드가 이미 패에 있다면 일반 소환권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현 시점에서는 크게 필요 없으면서 올리비에의 특수 소환 코스트로도 쓸 수 있는 승화기사를 패로 가져오는 것이 무난하다.
4. 초동으로 티어스케일을 사용했다면 승화기사를 특수 소환해서 튠 나이트까지 꺼내고 묘지에서 부활시킨 티어스케일과 승화기사로 케루비니를 소환한다.
5. 요도 죽도가 패에 잡혀 있다면 6번에서 패 코스트로 사용 하도록 한다. 요도 죽도 이외에 우선적으로 버려줘야 할 카드가 있다면 요도 죽도는 아무 몬스터에나 장착시키고 전개하면 된다.
6~9의 과정은 시작패에 팬텀 나이츠 파츠가 잡히는 데에 따라 꼬일 수 있는데 해결법은 후술할 패사고 케어법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10. 카보네돈을 패에 잡고 시작했다면 6번에서 버려주도록 하고 덱압축을 위해 승화기사를 묘지로 보내준다.
13. 이 때 기본적으로 경위 바리케이드베르그의 효과는 쓰지 않지만 이 시점까지 제트 싱크론이 패에 잡혀 있다면 바리케이드베르그의 효과로 버려줘야 한다.
20. 부득이한 사정으로 티어스케일이 남아 있지 않다면 4번에서 언급한 튠 나이트나 미리 특수 소환 해둔 다른 몬스터를 대신 릴리즈해도 괜찮다.
26. 블랙 가든은 꼭 이 타이밍에 발동해야 한다.
35. 덱 압축을 위해 묘지의 듀란달보다 덱에 있는 듀란달을 서치해 오는 것이 좋다.
38. 리나르도를 특수 소환해서 전개했으면 대신 올리비에를 가져오고 파워 툴에 장착된 요도 죽도를 묘지로 보내고 특수 소환한다.
50. 이 때 묘지의 지명자에 파워 툴 브레이버 드래곤이 찍힐 수 있기 때문에 상대가 묘지의 지명자를 패에 쥐고 있을 경우 미리 버려둬야 한다.
Ⅳ. 패사고 및 패트랩 대처법
이 단락에서는 패사고 시의 대응책과 각종 패트랩에 대한 대처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한다.
패사고 대처법
소위 호감패라고 불리는 전개용 파츠는 손에 잡히면 안 되는 파츠와 묘지로 가면 안 되는 파츠, 어디에 있어도 크게 상관 없는 파츠의 세 가지로 나뉘는데 각각에 대한 설명을 하고 팬텀 나이츠 파츠가 잡혔을 때의 대처를 조합 별로 알아보겠다.
손에 잡히면 안 되는 파츠: 팬텀 나이츠 더스티로브, 카보네돈, 제트 싱크론
묘지에서 발동하는 효과들로 전개해야 하는 파츠들이다. 손에 잡혔을 때는 패코스트로 버려준다. 환상수기 오라이온도 덱에 1장은 꼭 있어야만 하는 카드지만 2장 잡힐 경우 1장을 버리면 묘지의 오라이온으로 패의 오라이온을 소환할 수 있어 큰문제는 아니다.
묘지로 가면 안 되는 파츠: 가드 오브 플레임벨, 튠 나이트, 네오스페이시언 아쿠아 돌핀, 팬텀 나이츠 셰이드 브리간딘
대부분 패 혹은 덱에 있어야만 특수소환이 가능한 카드들이다. 브리간딘은 전개 중반의 필수 파츠이면서 묘지로 가면 회수할 수단이 없으니 초동이나 패코스트로 사용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튠 나이트나 돌핀맨은 다른 조합으로 이졸데를 꺼냈다면 패트랩을 맞고 장기전을 가야할 상황이 아니라면 버려도 괜찮다.
어디에 있어도 크게 상관 없는 파츠: 요도 죽도, 블랙 가든
요도 죽도는 묘지로 가면서 죽도 카드를 서치해 오는데 패코스트로 버려도 관계없고 장착 마법이라 전개 중에 언제든지 묘지로 보낼 수 있어서 우선적으로 버릴 필요도 없다. 블랙 가든은 보통 가든 로즈 메이든의 효과로 서치해 오지만 덱이 아니라 묘지에 있어도 건져올 수 있어 초반에 패코스트로 버려도 문제 없고 들고 있다가 사용해도 상관없다. 다만 가든 로즈 메이든이 소환된 이후 제트 싱크론의 코스트로 버리면 안 되는 점에는 주의해야 한다.
팬텀 나이츠 파츠가 잡혔을 때의 대처
팬텀 나이츠 티어스케일만 잡혔을 경우
1. 팬텀 나이츠 티어스케일을 일반 소환한다.
2. 팬텀 나이츠 티어스케일의 효과로 패를 1장 버리고 팬텀 나이츠 더스티로브를 묘지로 보낸다.
3. 팬텀 나이츠 더스티로브의 효과로 팬텀 나이츠 사일런트부츠를 패로 가져온다.
4. 팬텀 나이츠 사일런트부츠를 특수 소환한다.
5. 팬텀 나이츠 티어스케일과 팬텀 나이츠 사일런트부츠를 소재로 성기사의 추상 이졸데를 링크 소환한다.
6. 성기사의 추상 이졸데의 2번 효과로 도둑의 연막탄, 요도 죽도, 불꽃 성검 듀란달의 3장을 묘지로 보내고 승화기사를 특수 소환한다.
7. 승화기사의 효과로 튠 나이트를 장착한다.
8. 장착된 튠 나이트의 효과로 튠 나이트를 필드에 특수 소환한다.
9. 팬텀 나이츠 사일런트부츠의 효과로 덱에서 팬텀 나이츠 셰이드 브리간딘을 패로 가져온다.
10. 팬텀 나이츠 티어스케일의 효과로 팬텀 나이츠 티어스케일을 필드에 특수 소환한다.
11. 팬텀 나이츠 티어스케일과 승화기사를 소재로 피안의 흑천사 케루비니를 링크 소환한다.
12. 이후 통상적인 전개로 이어가며 환상수기 아우로라돈의 코스트로는 튠 나이트를 릴리즈 한다.
팬텀 나이츠 티어스케일과 팬텀 나이츠 사일런트부츠가 같이 잡힌 경우
1. 팬텀 나이츠 티어스케일을 일반 소환한다.
2. 팬텀 나이츠 사일런트부츠를 특수 소환한다.
3. 팬텀 나이츠 티어스케일의 효과를 쓰지 않고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전개를 이어간다.
팬텀 나이츠 티어스케일과 팬텀 나이츠 더스티로브가 같이 잡힌 경우
1. 팬텀 나이츠 티어스케일을 일반 소환한다.
2. 팬텀 나이츠 티어스케일의 효과로 팬텀 나이츠 더스티로브를 버리고 팬텀 포그 블레이드를 묘지로 보낸다.
3. 팬텀 나이츠 더스티로브의 효과로 팬텀 나이츠 사일런트부츠를 패로 가져온다.
4. 팬텀 나이츠 사일런트부츠를 특수 소환한다.
5. 팬텀 나이츠 티어스케일과 팬텀 나이츠 사일런트부츠를 소재로 성기사의 추상 이졸데를 링크 소환한다.
6. 성기사의 추상 이졸데의 2번 효과로 도둑의 연막탄, 요도 죽도, 불꽃 성검 듀란달의 3장을 묘지로 보내고 승화기사를 특수 소환한다.
7. 승화기사의 효과로 튠 나이트를 장착한다.
8. 장착된 튠 나이트의 효과로 튠 나이트를 필드에 특수 소환한다.
9. 팬텀 나이츠 사일런트부츠의 효과로 덱에서 팬텀 나이츠 셰이드 브리간딘을 패로 가져온다.
10. 팬텀 포그 블레이드의 효과로 팬텀 나이츠 티어스케일을 필드에 특수 소환한다.
11. 이후 위와 같은 방식으로 전개를 이어간다.
팬텀 나이츠 더스티로브와 팬텀 나이츠 사일런트부츠가 같이 잡힌 경우
1. 팬텀 나이츠 더스티로브를 일반 소환한다.
2. 팬텀 나이츠 사일런트부츠를 특수 소환한다.
3. 팬텀 나이츠 더스티로브와 팬텀 나이츠 사일런트부츠를 소재로 성기사의 추상 이졸데를 링크 소환한다.
4. 성기사의 추상 이졸데의 2번 효과로 도둑의 연막탄, 요도 죽도, 불꽃 성검 듀란달의 3장을 묘지로 보내고 팬텀 나이츠 티어스케일을 특수 소환한다.
5. 팬텀 나이츠 티어스케일의 효과로 패를 1장 버리고 팬텀 포그 블레이드를 묘지로 보낸다.
6. 팬텀 포그 블레이드의 효과로 묘지에 있는 팬텀 나이츠 더스티로브를 필드에 특수 소환한다.
7. 팬텀 나이츠 티어스케일과 팬텀 나이츠 더스티로브를 소재로 피안의 흑천사 케루비니를 링크 소환한다.
8. 팬텀 나이츠 사일런트부츠의 효과로 덱에서 팬텀 나이츠 셰이드 브리간딘을 패로 가져온다.
9. 팬텀 나이츠 티어스케일의 효과로 팬텀 나이츠 티어스케일을 필드에 특수 소환한다.
10. 이후 통상적인 전개를 이어간다.
팬텀 나이츠 티어스케일과 팬텀 나이츠 더스티로브와 팬텀 포그 블레이드가 같이 잡힌 경우
1. 답이 없다.
패트랩 대처법
불꽃 성기사는 전개 중 몬스터의 효과 사용, 특수 소환, 카드 서치, 묘지 자원 사용, 제외, 함정 사용, 토큰 소환, 드로우 등을 모두 사용하기 때문에 하루 우라라부터 시작해서 증식의G, 유령 토끼, 이펙트 뵐러, 무한 포영, 감마, 디멘션 어트렉터, 윈시생명체 니비루, 드롤 & 로크 버드, 저택 와라시, 아티펙트 롱기누스, 토큰 컬렉터, 레드 리부트까지 맞지 않는 패트랩이 없다. 따라서 아주 흔히 보이는 증식의G를 제외하고 맞기 전이나 맞았을 경우 어느 정도 행동을 취할 수 있는 패트랩만 기술하도록 하겠다.
하루 우라라
이졸데 2번 효과 사용 중에 맞지 않았다면 대부분의 경우 키리비 레이디를 꺼내서 전개를 이어갈 수 있다. 이졸데 1번 효과에 맞았다면 무시하고 2번 효과를 사용하면 된다. 커넥터처럼 우라라를 맞으면 안 되는 초동과 금지령을 함께 들고 있다면 금지령을 먼저 써준다. 승화기사 소환시에는 반응 하지 않다가 이졸데 1번 효과 사용 시에 불이 들어오는 것처럼 우라라가 확실하다고 판단되면 이차원의 지명자로 찍어도 괜찮다.
하리파가 살아있었을 때는 키리비 레이디와 이졸데로 작열의 화령사 히타를 꺼내서 우라라를 훔쳐온 다음 하리파로 이을 수 있었지만...... 그리워요.
증식의G
사실상 맞았을 때의 해결책이 없다. 불꽃성기사는 착지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절대 맞아서는 안 된다. 승화기사와 튠 나이트로 2드로우를 주고 아크 디클레어러를 꺼낼 수 있지만 대부분의 상황에서 손해보는 교환이니 추천하지 않는다.
유령 토끼
패트랩 케어에 주로 사용되는 키리비 레이디는 필드 위에 전사족이 있어야 특수 소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령 토끼는 하루 우라라 이상으로 치명적인 패트랩이다. 올리비에나 아스톨포 등 자체적으로 특수 소환 가능한 카드와 키리비 레이디가 추가로 있어야만 케어할 수 있다.
이펙트 뵐러, 무한 포영
키리비 레이디를 꺼내서 전개를 이어준다. 승화기사와 리나르도가 동시에 패에 잡혔고 승화기사 소환 시에 상대가 뵐러나 포영을 들고 있다고 판단되면 리나르도는 이졸데보다 먼저 꺼내주고 이졸데가 뵐러나 포영을 맞으면 두 번째 이졸데를 꺼내서 전개한다.
싸이프레임 감마
유령 토끼와 같은 이유로 치명적인 패트랩이다. 토끼와 같은 방식으로 케어하지만 커넥터 같은데 맞았을 경우 더 아프다.
디멘션 어트렉터
전개에 묘지 자원을 필수적으로 활용해야 되기 때문에 이것도 맞으면 전개가 불가능하다. 이졸데를 꺼내서 1번 효과로 다음 턴에 쓸 카드를 챙기고 2번 효과로 듀란달을 묘지로 보내고 리나르도를 특수 소환해 제외된 듀란달을 회수해서 후속을 준비한다.
윈시생명체 니비루
갓피닉스 기어프리드가 몬스터 퍼미션이 가능하지만 소환조건 문제와 장착마법을 준비해야 되는 난점 때문에 일반적인 방식으론 5소환 전에 퍼미션을 준비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른 패트랩이 없는 게 확인되면 금지령을 찍어주는 게 제일 무난하다. 하지만 오지에, 듀란달, 리나르도(혹은 키리비 레이디) 3장이 동시에 패에 잡혔고(증원이나 성배의 계승으로 대체 가능) 다른 패트랩을 맞지 않았을 경우라는 한정적인 조건 하에서만 가능한 전개법이 있으니 소개해 둔다.
1. 불꽃성기사-오지에를 일반 소환한다.
2. 불꽃성기사-오지에의 효과로 갓피닉스 기어프리드를 묘지로 보낸다.
3. 불꽃 성검 듀란달을 장착한다.
4. 불꽃 성검 듀란달의 효과로 키리비 레이디(혹은 불꽃성기사-리나르도)를 패로 가져온다.
5. 불꽃성기사-리나르도를 특수 소환한다.
6. 불꽃성기사-리나르도의 효과로 묘지에 있는 갓피닉스 기어프리드를 패로 가져온다.
7. 묘지에 있는 불꽃 성검 듀란달을 제외하고 갓피닉스 기어프리드를 특수 소환한다.
8. 불꽃성기사-리나르도와 갓피닉스 기어프리드를 소재로 플뢰르 드 바로네스를 싱크로 소환한다.
9. 패에 있는 키리비 레이디를 특수 소환한다.
10. 불꽃성기사-오지에와 키리비 레이디를 소재로 성기사의 추상 이졸데를 링크 소환한다.
11. 이후에는 앞서 설명한 기본 전개법 4~37처럼 전개하면 되지만 이미 불꽃 성검 듀란달과 불꽃성기사-리나르도의 효과를 사용했기 때문에 불꽃 성검 듀란달은 장착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12. 기악룡 아케티스의 효과로 패를 2장 버리고 도둑의 연막탄을 파괴한다.
13. 파괴된 도둑의 연막탄의 효과로 상대의 패를 보고 1장 버린다.
14. 코랄 드래곤과 환상수기 토큰 1체를 소재로 불꽃성기사제-샤를을 싱크로 소환한다.
15. 파워 툴 브레이버 드래곤과 기악룡 아케티스를 소재로 미라지포트리스 엔터프라즈닐을 엑시즈 소환한다.
16. 미라지포트리스 엔터프라즈닐의 효과로 파워 툴 브레이버 드래곤을 소재로 사용하여 상대의 패를 1장 무작위로 제외한다.
17. 묘지에 있는 불꽃성기사-오지에를 불꽃성기사제-샤를에 장착한다.
18. 턴을 마치고 엔드 페이즈에 불꽃성기사제-샤를의 효과로 도둑의 연막탄과 불꽃성기사-올리비에를 장착한다.
19. 불꽃성기사제-샤를의 효과로 도둑의 연막탄을 파괴한다.
20. 파괴된 도둑의 연막탄의 효과로 상대의 패를 보고 1장 버린다.
21. 상대의 스텐바이 페이즈에 플뢰르 드 바로네스의 효과로 묘지에 있는 파워 툴 브레이버 드래곤을 특수 소환한다.
22. 특수 소환된 파워 툴 브레이버 드래곤의 효과로 도둑의 연막탄과 불꽃 성검 듀란달을 장착 한다.
23. 불꽃성기사제-샤를의 효과로 도둑의 연막탄을 파괴한다.
24. 파괴된 도둑의 연막탄의 효과로 상대의 패를 보고 1장 버린다.
Ⅴ. 잡기술
이 단락에서는 기본적인 전개법 이외에 사용 가능한 잡기술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커넥터&돌핀맨으로 전개한 이후의 돌핀맨 재활용
네오스페이스 커넥터는 2번 효과로 묘지에 자신을 릴리즈 하고 있는 네오 스페이시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이졸데의 소재로 사용하기 때문에 쓸 일이 없는 효과이다. 하지만 커넥터 돌핀맨 이외의 전사족 몬스터가 있어 커넥터를 남기고 전개했거나 전개 후반부에 리빙 파슬이 잡혔다면 카드명 제한이 없는 돌핀맨을 재활용 할 수 있다. 리빙 파슬은 장착한 몬스터의 효과를 무효로 하지만 자신을 릴리즈하고 효과를 발동하는 커넥터는 묘지로 가서 효과를 발동하기 때문에 리빙 파슬로 꺼내오더라도 효과를 사용할 수 있다.
키리비 레이디와 승화 기사를 이용한 아크 디클레어러의 추가 소환
튠 나이트의 튜너가 되는 효과는 사용시 엑스트라 덱에서의 특수 소환이 1회로 제한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사용하지 않지만 승화기사와 키리비 레이디 이외의 몬스터로 초동을 시작하고 전개 후반부에 승화기사와 키리비 레이디가 잡혔을 경우 전개 마지막에 특수 소환한 키리비 레이디로 승화기사를 소환하고 튠 나이트를 튜너로 만들어 아크 디클레어러를 소환하여 추가 퍼미션을 세울 수 있다.
리나르도, 아스톨포, 갓피닉스 기어프리드를 사용한 전개
이 전개법은 원래 파워 툴 브레이버 지원 이전 3턴 이후의 후속 전개법으로 사용되던 전개법인데 파워 툴 브레이버 지원 이후에는 정상적으로 전개 했을 경우 2턴이면 게임을 완전히 닫아 버리기 때문에 필요가 없어져 버렸다... 참고만 해두면 되겠다. 아스톨포로 패/묘지의 기어프리드를 제외하고 레벨을 9로 변경한 다음 리나르도를 틋수 소환해 제외된 기어프리드를 회수한다. 리나르도와 아스톨포로 바로네스를 소환하고 기어프리드를 특수 소환한다.
Ⅵ. 결론
상대의 패를 보고 턴다는 행위는 굉장히 기분이 좋다. 해보면 안다. 크게 털!자
Ⅶ. 참고문헌
[웹페이지]
“[공략] 불꽃성기사 최적화 덱리 New”. dc인사이드. 2022년 4월 11일 수정, 2023년 3월 26일 접속,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asterduel&no=1130005
“[OCG] 7월 불꽃성기사 간단 소개 (아우로라돈 사용 , 이그나이트 사용)”. dc인사이드. 2022년 6월 24일 수정, 2023년 3월 26일 접속,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deckrecipe&no=9721
58.230.***.***
39.125.***.***
패를 털자!
218.147.***.***
아 너무 무섭다
58.121.***.***
사장님이 이시즈전때 무덤의로부터의 동반 보고 굴욕적인 카드라고 하는 이유를 뭔가 알거 같군요.
14.43.***.***
정작 털고보니 티아라는....
39.125.***.***
패를 털자!
58.230.***.***
DolfOurselves
| 23.03.26 22:37 | |
218.147.***.***
아 너무 무섭다
58.121.***.***
사장님이 이시즈전때 무덤의로부터의 동반 보고 굴욕적인 카드라고 하는 이유를 뭔가 알거 같군요.
14.43.***.***
정작 털고보니 티아라는....
1.238.***.***
218.235.***.***
패트랩 두번 맞은 거 아니면 다른 털 카드가 있으니 괜...찮지 않을 거 같긴 하군요 | 23.03.27 09:40 | |
14.43.***.***
218.235.***.***
솔직히 아예 불가능할 거 같진 않은데 굳이? 정도긴 합니다. 금제빔을 맞아도 연막탄이나 맞지 이졸데는 안 그럴 거 같고... | 23.03.27 09:41 | |
114.202.***.***
116.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