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다른 이유는 없고 시즌1이 완결된 마당에 건드 포멧들을 사용한 기체들을 정리해보는 차원에서 가볍게 쓴 글입니다.
프롤로그 시점 바나디스 기관&옥스 어스
르브리스 선행양산형
수성의 마녀 세계관에서 사실상 첫번째 건담 시리즈로 처음부터 양산을 염두에 두고 생산되었으며
수성의 마녀 소설에서는 상당수의 선행양산형이 지구에 배치되었다는 설정을 풀어서 외전이 나올 상황까지 만들어놓은 상태입니다.
기본적으로 퍼멧 스코어2부터 본격적인 건드 포멧의 힘을 보여주는데 기동성만으로도 충분히 도미니코스 부대의 정예병력을 압도하고
흡착성 기뢰를 연상캐하는 무선조종 병기가 붉은색 궤적을 그리며 적에게 들이받는 특수무장도 보유하고 있지만
이 무장은 퍼멧 스코어 3에서 본격적인 컨트롤이 가능하며 사용자 부담도 엄청 늘어난다는 단점을 보여주면서 초반 건드 포멧의 위험성을 보여주고
도미니코스 부대의 안티도트에 당하면 조작 자체가 불가능해지고 퍼멧 스코어 4를 발동하면 사용자가 데이터 스톰을 못버티고 뇌사하는 등 치명적인 약점까지 드러납니다.
건담 르브리스
기존에 나왔듯이 성능의 차원이 다른 기체들과 다른데다 안티도트에 직격을 당하고도 전원이 완전히 내려가지 않는 등 선행양산형보다 몇단계 발전한 모습을 보여주는데
옥스 어스 연구진이 왜 AI의 각성에 사활을 걸었는지 납득이 되는 성능을 보여줬다고 보면 됩니다.
페일 테크놀로지스
건담 파렉트
구붕이의 무너져가는 학원생활에 쐐기를 박으며 화려하게 등장한 기체지만 건드 포멧의 발전단계 수준을 보면 옥스 어스 시절보다 나아진게 거의 없는 본편 시점에서 최악의 결함기 그 자체로
파일럿의 생명 문제? 군옥수수 엘란은 벌써 4명째 희생당했고 그나마 직접 모빌슈트를 조종한건 4호뿐이었습니다.
비트의 성능? 비트의 궤적이 붉은색인걸 보면 추진기술도 옥스 어스 시절이랑 큰 차이가 없고 직접적인 공격능력이 없는 스턴 빔을 쓰는 것도 기술력 문제가 원인이라 봅니다.
즉 파렉트는 생명윤리는 생명윤리대로 조져버리고 사람을 실제로 갈아넣은 것에 걸맞는 성능을 갖췄냐 하면 그것조차 아닌 물건입니다.
지구권 무장단체 '포르드의 새벽'
건담 르브리스 울&손
이쪽은 무선병기 대신 운용과정의 안정성 측면을 더 신경쓴 상태의 독자적인 결과물로 보이는데
퍼멧 스코어를 발동하지 않으면서 일반적인 기동도 가능하고 안티도트에 대응하는 과정이었지만 등에 장비된 장치를 전개하면서 파일럿의 부담을 경감한 상태로 퍼멧 스코어를 4까지 올리는데 성공한 기체들입니다.
이 기체의 개발과정은 아마 외전에서 나오겠죠
신세 개발공사
건담 에어리얼
퍼멧 스코어를 올려도 파일럿에게 부담이 없는 모습은 기본에
공중에서 안티도트에 직격당해서 가동이 일시중단된 상태에서도 자세를 잡고 떨어지는 안전장치가 되어있고
건드포멧이 없어도 다굴당하면서 방어전을 버틸만한 기본 성능에
파일럿 부담없는 건드포멧 재가동까지
주인공기라지만 이 기체가 르브리스에서 이어졌다는것 외에 추측할 부분이 어디에도 없다보니 기체의 개발과정이 시즌1이 종료된 지금도 미스테리상태입니다.
벨메리아 윈스턴 말대로라면 엘노라 사마야는 개발자는 아니고 뭔가 기체를 개발할 뒷배가 있다는건 확실한데 그게 어떻게 묘사될지는 시즌 2를 기다려봐야겠죠
118.235.***.***
남들 퍼멧 스코어 4에서 사경을 헤맬때 혼자서 쌩쌩하게 6을 찍고 있으니… 대체 뭔 짓을 해놓은건지
110.70.***.***
이 건담 슈바르제테하고 이 신형 건담에 대한 것들도 궁금하네요. 특히 건담 슈바르제테는 현재로서는 디자인상 딜란자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제타크 사에서 제작한 기체라는 추측도 있어서요. https://namu.wiki/w/%EA%B1%B4%EB%8B%B4%20%EC%8A%88%EB%B0%94%EB%A5%B4%EC%A0%9C%ED%85%8C
59.16.***.***
118.235.***.***
남들 퍼멧 스코어 4에서 사경을 헤맬때 혼자서 쌩쌩하게 6을 찍고 있으니… 대체 뭔 짓을 해놓은건지
1.247.***.***
답은 건끼야아아아악! | 23.03.12 16:52 | |
110.70.***.***
이 건담 슈바르제테하고 이 신형 건담에 대한 것들도 궁금하네요. 특히 건담 슈바르제테는 현재로서는 디자인상 딜란자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제타크 사에서 제작한 기체라는 추측도 있어서요. https://namu.wiki/w/%EA%B1%B4%EB%8B%B4%20%EC%8A%88%EB%B0%94%EB%A5%B4%EC%A0%9C%ED%85%8C
21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