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word":"\ube14\ub8e8\uc544\uce74","rank":0},{"keyword":"\ubc84\ud29c\ubc84","rank":0},{"keyword":"\ub9d0\ub538","rank":1},{"keyword":"\uc6d0\ud53c\uc2a4","rank":5},{"keyword":"\uc6d0\uc2e0","rank":-2},{"keyword":"@","rank":2},{"keyword":"\ub514\uc544","rank":-1},{"keyword":"\uadf8\ub9ac\ub4dc\ub9e8","rank":9},{"keyword":"\ub514\uc5444","rank":-2},{"keyword":"\ub125\uc11c\uc2a4","rank":"new"},{"keyword":"\uc720\ud76c\uc655","rank":0},{"keyword":"\uac74\ub2f4","rank":0},{"keyword":"\ud6c4\ubc29","rank":-3},{"keyword":"\ub864","rank":-9},{"keyword":"\ud3ec\ucf13\ubaac","rank":"new"},{"keyword":"\ubc14\ud558","rank":0},{"keyword":"\ub514\uc544\ube14\ub85c","rank":2},{"keyword":"\ud504\ub9ac\ud050\uc5b4","rank":"new"},{"keyword":"\ub77c\uc624","rank":-4},{"keyword":"\uba54\uc774\ud50c","rank":1},{"keyword":"\ube14\ub8e8","rank":1},{"keyword":"\uc824\ub2e4","rank":-2}]
1.233.***.***
vr은 아직 경쟁보다 같이 파이를 키워야하는 시장인데 80만원짜리 해드셋을 플스에서만 구동 되도록한건 좋은 판단은 아닌거같아보임...
14.53.***.***
80만원 개 애바네...
49.169.***.***
+1 쥐꼬리만한 시장을 더 쥐꼬리만하게 만들어서 어쩌자는 건지... PSVR2 마케팅은 여러면에서 "망하고 싶어서 환장했다" 이 생각 밖에 안 들음
218.234.***.***
PSVR게임이 순수 하위호환은 안되는거고 업그레이드 식으로 지원은 가능하다는 설명이 있네요. 다만, 서드파티는 개발사의 의지가 잇어야한다는 것을 보면, 퍼스트는 해줄 가능성이 있다고 보임.
172.226.***.***
아이폰은 아이팟의 성공과 점유율을 등에 업고 아이팟에서 전화기능 추가 느낌으로 시작해서 성공한건데요. 비교대상이 아니라고 보이는데요.
14.53.***.***
80만원 개 애바네...
218.234.***.***
PSVR게임이 순수 하위호환은 안되는거고 업그레이드 식으로 지원은 가능하다는 설명이 있네요. 다만, 서드파티는 개발사의 의지가 잇어야한다는 것을 보면, 퍼스트는 해줄 가능성이 있다고 보임.
112.175.***.***
크로스 제너레이션 게임에서 PS4게임은 PSVR을, PS5게임은 PSVR2를 지원한다는거 보면, PSVR2를 지원하려면 퍼스트파티 게임이어도 PS4로 나온게임을 PS5로도 돌아가게 올리고 그걸 또 PSVR2도 돌아가게 해야할 듯 하네여 | 23.02.07 16:15 | | |
106.146.***.***
소니 하는거보면 해주더라도 업글비용 받을가능성이 높을듯 | 23.02.07 16:29 | | |
118.128.***.***
1.233.***.***
vr은 아직 경쟁보다 같이 파이를 키워야하는 시장인데 80만원짜리 해드셋을 플스에서만 구동 되도록한건 좋은 판단은 아닌거같아보임...
49.169.***.***
나인테일
+1 쥐꼬리만한 시장을 더 쥐꼬리만하게 만들어서 어쩌자는 건지... PSVR2 마케팅은 여러면에서 "망하고 싶어서 환장했다" 이 생각 밖에 안 들음 | 23.02.07 15:19 | | |
211.117.***.***
하드웨어-OS-소프트웨어까지 전부 애플생태계로만 묶어놓음으로서 최상급 소프트웨어-하드웨어 효율을 달성시키는 아이폰의 대박 성공은 어떻게 생각함? | 23.02.07 15:23 | | |
172.226.***.***
무한의체력
아이폰은 아이팟의 성공과 점유율을 등에 업고 아이팟에서 전화기능 추가 느낌으로 시작해서 성공한건데요. 비교대상이 아니라고 보이는데요. | 23.02.07 15:31 | | |
49.169.***.***
+1 휴대폰은 누구나 쓰는 생필품이고 VR은 매니아 중에서도 매니악 들만 쓰는 거고 아무리 대박난다 한들 찻잔속의 태풍이죠. 사람이 보고싶은 것만 보면 어케 되는지 좋은 예인 듯 | 23.02.07 15:33 | | |
1.233.***.***
아이폰으로 꽃 피우기전에 애플은 마소에 비해 조롱의 대상이었다는점. 엄청난 삽질과 오랜 고난의 시간이 있었다는점도 같이 생각해본다면 소니가 얼마나 오랫동안 투자를 지속할수 있는지 기대되긴하네요. 오픈된 환경의 도움없인 지속하기 힘들겁니다. | 23.02.07 15:34 | | |
211.117.***.***
어차피 PSVR 은 메타퀘스트처럼 무슨 SNS 플랫폼처럼 유저층 확대시킬 생각 1도 없는 순수 게임기입니다. 어차피 현재로서는 매니악한 VR게이머를 위한 기기이며, 게이머 입장에서는 그냥 게임만 잘되면 되는거고, 소니는 거기에 집중하는 것으로 보임. | 23.02.07 15:39 | | |
175.197.***.***
애초에 게임기 주변기기를 공식적으로 PC에서 사용 가능하게 만드는 것은 마소같은 경우 제외하곤 없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만... | 23.02.07 15:40 | | |
1.233.***.***
위의 글은 vr기기로서 생각이고 플스의 주변기기로만 생각한다면 지금의 방법도 나쁘진않다고 생각합니다. | 23.02.07 15:46 | | |
211.117.***.***
애플이 무슨 조롱의 대상이었는지는 모르겠지만, 마소가 그냥 ibm 호환 pc 에 os 깔아서 장사하는동안 애플 맥은 계속해서 소프트웨어-하드웨어 모두를 독자적으로 가져가면서 사용자경험을 높이는 방식을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영상편집이라던지 특정 영역에서는 항상 프리미엄 대접을 받아왔었죠. 소니도 그냥 psvr은 순수 게임기로서 사용자 경험에만 집중하고 있는 겁니다. | 23.02.07 16:08 | | |
124.59.***.***
미끼 게임 몇 개 이후 게임 더 안나옴. 서드파티들이 시장성도 없는데 만들이유가... 게다가 사양도 고사양이라 제작비도 많이듬. 근데 수요가 적은데 누가 만드나... 그나마 pc서 히트친거 소니가 돈갖다 줘 포팅해주면 절 해야 할 상황 | 23.02.07 16:19 | | |
49.169.***.***
ㄹㅇ 이게 현실이죠 ㅋㅋㅋㅋ 아무도 안 사는 플래폼에 미쳤다고 누가 게임만들어줌. | 23.02.07 16:21 | | |
211.117.***.***
PSVR2 런칭타이틀이 지금 몇개인데 현실 부정중이신가? 그란7, 바하8 정도만 해도 당분간은 뽕 뽑고도 남음 | 23.02.07 16:27 | | |
211.117.***.***
호라이즌VR 도 런칭작으로서 PC VR에 알릭스 제외하면 몇개없는 고퀄리티 VR게임에 대한 갈증을 해소해줄 것으로보임. 2주뒤면 플레이 가능하니 까더라도 해보고 까도록. | 23.02.07 16:30 | | |
118.235.***.***
VR 있는 사람들 속터질 소릴 뭐 저리 당당하게.. | 23.02.07 16:43 | | |
211.117.***.***
VR 있는 사람들이 무슨 속이 터진다는건지. PC연결을 원하면 퀘스트2 사서 에어링크 해서 잘 쓰시던가요. 전 퀘스트2도 있지만 그거보다 PSVR2 처럼 독자적인 규격으로 잘 최적화해서 사용자 경험을 높인 하드웨어쪽도 매력이 있다고 생각해서 PSVR2 도 예구해놨는데. | 23.02.07 16:47 | | |
221.155.***.***
Psvr1 안해보셨으면 그냥 가만히 계세요. VR전용게임 존나 많았고 철권7이나 DOX 섬란같은 비VR게임들도 VR감상모드까지 지원해줬는데 걔네들은 님말대로 미쳐서 지원해줬음? | 23.02.07 16:47 | | |
211.117.***.***
PSVR1 도 독자규격이었지만 퀘스트2가 나오기전까지 PCVR 포함한 모든 VR기기중 가장 판매량이 높았었고, 게임도 많이 나왔었죠. 유일한 단점은 쓰레기같은 외부카메라 트래킹 정확도로 인한 화면 돌아가는 현상과 불편한 연결환경정도였지 게임 컨텐츠로 불만있었던적은 없음. | 23.02.07 16:52 | | |
172.226.***.***
영상편집이나 특정 영역에서 프리미엄 대접을 받은게 안라, 영상편집이나 특정 영역에서 사용하는 프리미엄 기기를 만들어왔을 뿐입니다. 뭔가 반대로 알고 계시네요. | 23.02.07 17:24 | | |
211.117.***.***
??? 맥이 무슨 영상편집 전용 콘솔이라도 되나요? 어디까지나 맥은 범용 PC입니다. 단지 영상편집등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아주 뛰어난 효율을 보여줘서 맥용 어플리케이션들이 그쪽으로 계속 특화가 되어왔고 그쪽 업계 종사자들이 많이 사용했을 뿐이죠. 그것도 결국 애플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동시 개발과 독자규격때문에 생겨난 효율성이구요. 파이널컷이 그렇게 효율적인 어플리케이션이 된 이유 중 큰 부분은, 여러 잡다한 코덱 호환성 지원해야하는 프리미어와 다르게 PRORES 라는 애플 독자 편집코덱만 사용하도록 특화되서 그런게 큽니다. | 23.02.07 17:30 | | |
172.226.***.***
맥이 범용pc라는 소리는 처음 들어보네요. 맥 미니, 에어 같은 일반인을 위한 라인업도 분명 있지만 맥 자체만 놓고보면 전문가용으로 나오는 컴퓨터입니다. | 23.02.07 17:40 | | |
211.117.***.***
진짜 신선한 뇌피셜이시네요. 맥이 범용 PC가 아니라 특정어플리케이션 전용 하드웨어라는 개소리의 출처는 어디실까요? | 23.02.07 17:42 | | |
211.117.***.***
그냥 맥북에어 사서 간단하게 웹브라우저 하고 음악 듣고 사진저장, 편집하고 개발도 하고 이런 용도로 쓰는사람들은 대체 뭐지? | 23.02.07 17:43 | | |
172.226.***.***
그러라고 나온게 맥북 에어니까요. 위에도 말했지만 에어, 미니 같은 일반인을 위한 라인업도 있다고 저는 인정했습니다. | 23.02.07 17:46 | | |
211.117.***.***
아니 그럼 맥북 프로에서는 웹브라우저도 안되고 음악도 못듣고 유투브도 안나오고 개발도 못하고 워드프로세서나 스프레드시트도 사용못하나요? 대체 님이 생각하는 범용 PC는 뭐임? 그냥 윈도우만 범용이라 이건가? | 23.02.07 17:48 | | |
172.226.***.***
제가 이야기 하는 의미를 잘못 이해하신 것 같네요. 저는 그레픽, 영상 작업에 특화 되어 있다고 했지 그 전용으로 나왔다는 말은 한번도 하지 않았습니다. 애초에 맥 광고 문구만 봐도 전문가용으로 나온 컴퓨터인 것은 알 수 있습니다. 제가 말하고 싶은 건 맥으로 어떤걸 할 수 있고 없고가 아니라 무엇을 하기 위한 컴퓨터인가에요. | 23.02.07 17:50 | | |
211.117.***.***
무엇을 하기 위한지는 사용하는사람에 따른거지, 맥이 그것만을 위한 전용 하드웨어인건 아니죠. 사용자가 뭘로든 쓸수 있으니까 범용 PC라고 하는건데, 님이 범용이란 소린 첨듣는다면서요? 범용의 반대말이 전용인데 그럼 영상편집 전용이라는 말을 당신이 한겁니다만? | 23.02.07 17:53 | | |
211.117.***.***
그럼 윈도우PC에 고성능 그래픽카드 꼽는애들은 전부 게임기로 쓰는거나 마찬가진데, 윈도우PC는 범용PC가 아니라 게임기란 말인지? | 23.02.07 17:54 | | |
172.226.***.***
누구에게 팔기 위해 만들어졌는가를 이야기 하는 거죠. 누구나 맥을 애플스토어에서 구매해서 자기가 원하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는 있습니다. 그렇다고 맥이 만들어진 목적이 변하는 것은 아니죠. 술병은 술을 담기 위해 만들어진 병이지만 꼭 술만 담을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과 같은 이야기에요. | 23.02.07 17:58 | | |
59.11.***.***
소니가 애플 인가? ㅋㅋㅋ | 23.02.07 18:00 | | |
211.117.***.***
아니 뭔소리세요. 맥은 애초에 애플에서 만든 개인용 컴퓨터입니다. 태초부터 영상편집기가 아니었어요. 애플컴퓨터->매킨토시->맥 시기를 거치면서 그냥 특정용도로 사용자층이 많이 나오니까 그냥 그쪽으로 특화가 되어갔을 뿐인거구요. 윈도우PC도 게임 특화가 되어갔으니 게임기냐구요? | 23.02.07 18:06 | | |
211.117.***.***
술평은 술을 담기위해 만들어진 병이지만 맥은 동영상편집만 하기위해 만들어진 기계가 아니란겁니다. 이해를 못하나요? 애초에 맥은 범용 PC이지만, 파이널컷 등 훌륭한 영상편집 어플리케이션과 PRORES 를 기반으로한 산업 표준이 잡혀있어서 그냥 그 업계 종사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범용PC인겁니다. | 23.02.07 18:12 | | |
59.14.***.***
심지어 VR1 게임도 지원 안 하고. | 23.02.07 18:46 | | |
59.14.***.***
그럴 거라면 하위호환이라도 제대로 지원했어야죠. | 23.02.07 18:47 | | |
106.102.***.***
119.193.***.***
121.160.***.***
근데 저기능그대로에서 저렴이면 당연환영이지만 저기서 기능 몇개빼거나 거지같은 다운그레이드로 나왓으면 차라리 퀘3 퀘프로 사는게 훨남 | 23.02.07 17:31 | | |
198.54.***.***
112.223.***.***
223.39.***.***
49.142.***.***
27.163.***.***
172.226.***.***
210.99.***.***
125.181.***.***
116.41.***.***
일반 게임도 VR모드는 아니지만 큰화면으로 할수는 있는듯 | 23.02.07 15:26 | | |
125.181.***.***
이거 진짜인가요? ㄷㄷ | 23.02.07 15:27 | | |
220.70.***.***
ps4+psvr1때도 극장모드처럼 플레이는 가능했음 | 23.02.07 15:30 | | |
116.41.***.***
시네마 모드: PS5 시스템과 UI 및 스트리밍 앱 등 모든 비VR 게임과 미디어 콘텐츠를 가상 시네마 스크린에서 볼 수 있습니다. 시네마 모드의 콘텐츠는 24/60Hz 및 120Hz 프레임 레이트에서 1920 x 1080 HDR 비디오 형식으로 표시됩니다. 오디오와 이미지는 VR 헤드셋에만 표시되며, VR 헤드셋을 착용하고 시네마 모드에서 플레이할 때는 TV에 출력되지 않습니다. | 23.02.07 15:31 | | |
125.181.***.***
아 검색해보니 시네마 모드라고 하는군요 ㅎㅎ | 23.02.07 15:31 | | |
125.181.***.***
이해했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ㅎㅎ 근데 해상도가 4k가 아닌게 아쉽군요 ㅎㅎ | 23.02.07 15:32 | | |
116.41.***.***
OLED 패널과 해상도 많이 올라가서 PSVR1때 보다는 훨 좋긴할건대..장시간착용시 피로감이 문제라 ㅠ | 23.02.07 15:32 | | |
125.181.***.***
그렇군요 음 빔프로젝트가 더 나으려나 vr이 나으려나 장단점이 있는거같네요 ㅎㅎ | 23.02.07 15:34 | | |
223.62.***.***
시네마 모드로 게임하고 싶다면 엔리얼 이라는 훨씬 더 좋은 선택이 있습니다 아직은 플스와 연결을 못하지만 가능하게 해주는 어탭터가 곧 발매 예정이거든요 | 23.02.07 15:48 | | |
118.32.***.***
해상도가 4K 일 수가 없는 것이 모든 패널을 다 쓰면 화면이 너무 가까우니까 가상으로 2m 전방에 화면이 있는 것 처럼 보이도록 하는데 그럼 패널의 일부만 쓸 수 밖에 없어서 그럴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도 1080p oled hdr 120hz 면 뭐 나쁘진 않을 듯 합니다. | 23.02.07 16:26 | | |
182.210.***.***
화면 안에 화면 띄우는 거라 해상도는 낮아질 수 밖에 없음... | 23.02.07 17:57 | | |
175.212.***.***
그 vr1에서 시네마모드란게 점점 화면이 돌아가서 문제가 많았죠. | 23.02.07 19:06 | | |
121.124.***.***
공감합니다. 화질도 화질이지만 화면 크기가 주는 메리트가 있더라구요. | 23.02.07 22:15 | | |
211.117.***.***
118.128.***.***
115.91.***.***
118.235.***.***
vr로 따지면 싼거임 | 23.02.07 15:52 | | |
203.228.***.***
73.191.***.***
심하신 분들은 멀미가 아니라 실시간으로 뇌가 긁히는 느낌인것 같다는 분도 계시더라고요ㄷㄷ | 23.02.08 00:01 | | |
175.197.***.***
49.169.***.***
PS5에서 3D기능 업데이트 해주기전에는 3D영상 못봅니다...ㅜㅜ 그래서 저는 아직도 PS4를 못치우고 있어요... | 23.02.07 20:28 | | |
49.169.***.***
게임은 PS5로 블루레이 3D영상은 PS4로...ㅜㅜ | 23.02.07 20:28 | | |
106.102.***.***
211.234.***.***
오큘2는 진짜 안사면 손해맞죠.. | 23.02.07 15:49 | | |
223.39.***.***
솔직히 사서 쓰는 중인데 안 사면 손해까지는 아닙니다 막상 해보면 루리웹에서 인정할만한 ‘할만한 게임’ 은 진짜 몇개 없고 제대로 pc에 물려서 쓰려면 wifi 6 지원하는 공유기 값만 15인가 주고 사야되고 애초에 데탑부터 어느정도 사양 갖춰야하고 등등 드는 부가비용이 더 많아서 그냥 입문용 vr 기기로 가격 접근성이 좋다 정도이지 안 사서 손해보는건 잘 모르겠네요 오히려 안 사서 35만원 +a 아끼는게 손해 안 보는 쪽이긴 한데 | 23.02.07 15:54 | | |
211.117.***.***
퀘스트2도 갖고있는데, 성능자체가 낮아서 AIRLINK 아니면 사용용도가 거의 제한적입니다. PC링크 없이 단독으로 사용하면 딱 그가격 정도의 성능일뿐임. AIRLINK가 쓸만한 정도의 성능이긴한데, PC 요구사양도 높고 PSVR 처럼 하드웨어 직결과 비교하면 아무래도 약간의 레이턴시도 느껴지고 품질이 떨어집니다. | 23.02.07 15:55 | | |
117.110.***.***
아무래도 다른 vr기기 일이백주다 오큘쓰니 가성비가 쩔더군요 | 23.02.07 16:19 | | |
218.234.***.***
사실 저도 오퀘2 쓰는데 에어링크 안씀.. 그냥 USB연결해서 쓰는 편임..모넌 선브레이크 VR모드 깔고 하는데 꿀잼임. | 23.02.07 17:48 | | |
211.117.***.***
USB 선도 사봤는데 어차피 스트리밍이라 에어링크랑 화질차이가 없어서 그냥 에어링크만 씁니다. | 23.02.07 17:51 | | |
211.234.***.***
118.235.***.***
121.139.***.***
211.117.***.***
RAD 로 이름바꼈죠. PSVR2 용으로도 업데이트 해줄지는 모르겠지만. | 23.02.07 16:36 | | |
172.226.***.***
1.231.***.***
211.197.***.***
121.183.***.***
182.221.***.***
222.96.***.***
114.206.***.***
1.222.***.***
169.150.***.***
211.117.***.***
퀘스트2같은 저질 스트리밍 VR이 아닌, PC 직결되는 고퀄리티 PCVR과 비교하면 절대 비싸지 않음. | 23.02.07 17:38 | | |
106.146.***.***
그 논리 그대로 pc-콘솔 관계에에 적용가능함 그리고 현실은 오큘퀘 시장점유율이 85퍼임 가격이 훠얼씬 중요함 | 23.02.07 17:55 | | |
221.155.***.***
175.194.***.***
175.194.***.***
퀘스트 퀘스트 거리는데 그거사면 되겠네 퀘스트2는 3년되가지고 얼마전에 퀘스트신형 나온거 알지? 그거사면 될듯. 219만원이다 ㅋㅋ | 23.02.07 18:48 | | |
183.101.***.***
121.172.***.***
퀘스트2의 초반 평가가 좋았던 이유중 하나이기도 하죠. 저전력 저성능의 AP를 사용했지만, 하드웨어부터 소프트웨어까지 존카멕이 상당히 최적화를 잘 해놔서 생각보다 사용자경험이 상당히 뛰어났거든요. 근데 그걸 에어링크로 pc연결로 쓰는순간부터 일단 뭐 돌아는 가는데 최상의 사용자 경험과는 상당히 거리가 있음. PSVR의 경우에도 이전 시스템이 가진 많은 치명적 단점 (트래킹문제, 무브봉재활용으로 인한 컨트롤러 문제, 복잡한 연결구조 등등) 에도 불구하고 콘솔스러운 그 최적화와 사용자경험은 꽤 괜찮았기 때문에, 하위호환을 과감히 포기하더라도 기존 시스템이 가졌던 단점들을 대부분 보완하고 시선추적같은 혁신적 기능을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구현해놓은 PSVR2 가 상당히 기대된다는거. | 23.02.07 19:40 | | |
210.91.***.***
맞는 말씀인듯 피시브알 할려면 피씨켜야되고 브알 켜야되고 링크 시켜야 되고 링크 잘안되면 또 빡치고 번거로운게 한두개가 아님 제가 오큘이랑 피시 성능은 좀 되는데 피시 브알 안하는 이유중 가장큰 이유가 번거로움이죠 그렇다고 오큘 전용겜만 하기엔 먼가 마니 부족함.... | 23.02.07 19:59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