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학업] 전문대 컴공이랑 일반대 4년제 컴공이랑 무슨 차이죠? [13]




(4723733)
작성일 프로필 열기/닫기
추천 | 조회 21981 | 댓글수 13
글쓰기
|

댓글 | 13
1
 댓글


(IP보기클릭)211.204.***.***

BEST
초봉 차이요
17.12.15 23:18

(IP보기클릭)118.34.***.***

BEST
이제 3년차된 프로그래머인데요. 저는 4년제를 나왔습니다. 일단 중견기업 이상은 4년제 졸업을 많이 요구하는것도 있습니다. 적어도 중견기업 이상에서는 능력만 본다는 말은 사실이 아닌것 같아요. 능력만 본다는건 일단 신입으로 입사한 다음 경력이 쌓였을 때 이야기구요. 애초에 갓 졸업한 사람이 엄청 능력있는게 드물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학교 좋은데 가는게 좋습니다. 능력으로만 증명하려는건 쉽게 갈 수 있는걸 어렵게 가는거에요
17.12.16 00:00

(IP보기클릭)116.120.***.***

BEST
4년제 나오는게 처음에 회사 선택할때 더 많이 선택 가능합니다. 전문대랑 4년제 컴공 시작점 부터 틀림니다. 전문대 나와서 SE 하고 있는 한명입니다. 제가...
17.12.15 23:26

(IP보기클릭)125.141.***.***

BEST
유명한 전문대가 아니라면 4년제가 나을 거 같고 보통 4년제 후 대학원으로 가는 경향이 더 많아요. 실력은 소모임 같은곳에서 쌓고 윤영처제 같은 필수과목은 나중에 쓰이게되니 잘 들어주고요. 실력차이가 다른거에서 시작되는것도 아님. IT같은 기술직은 계~속 공부해야되서..레퍼런스도 잘 찾아다니고, 도움되는 내용을 듣거나 접했을때 이해할수 없느냐 아니냐는 매우 큰 차이입니다.
17.12.16 12:35

(IP보기클릭)112.172.***.***

BEST
2년제 컴공과 인력은 SI로 소모시키고자 쓰는 인력... 4년제 컴공은 키워서 아키텍트,매니저로 육성시키는 인력...
17.12.17 18:32

(IP보기클릭)59.22.***.***

It쪽이면 어지간해서는 학력안따진다고 알고있음 워낙 자기 능력빨을 많이받은 일이다보니....
17.12.15 23:03

(IP보기클릭)211.204.***.***

BEST
초봉 차이요
17.12.15 23:18

(IP보기클릭)116.120.***.***

BEST
4년제 나오는게 처음에 회사 선택할때 더 많이 선택 가능합니다. 전문대랑 4년제 컴공 시작점 부터 틀림니다. 전문대 나와서 SE 하고 있는 한명입니다. 제가...
17.12.15 23:26

(IP보기클릭)118.34.***.***

BEST
이제 3년차된 프로그래머인데요. 저는 4년제를 나왔습니다. 일단 중견기업 이상은 4년제 졸업을 많이 요구하는것도 있습니다. 적어도 중견기업 이상에서는 능력만 본다는 말은 사실이 아닌것 같아요. 능력만 본다는건 일단 신입으로 입사한 다음 경력이 쌓였을 때 이야기구요. 애초에 갓 졸업한 사람이 엄청 능력있는게 드물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학교 좋은데 가는게 좋습니다. 능력으로만 증명하려는건 쉽게 갈 수 있는걸 어렵게 가는거에요
17.12.16 00:00

(IP보기클릭)211.207.***.***

결국 대학은 선택의 폭, 인맥의 폭 달라진다는게 가장 크죠. 수업의 질은 학교 환경에따라 다른데, 졸업하고 능력이 어떤가를 따지면 자기 노력한 만큼이라고 봅니다. 하지만 고졸보다는 전문대, 전문대보다는 4년제가 조금 더 좋은 환경이나 졸업 후에 각계각층에서 종사하는 인맥의 풀이 좀 많이 다를 확률이 크겠죠. 문과를 안가봐서 모르겠지만 컴공졸업자의 경우에는 전문분야, 능력, 경력이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편차가 크게나는 편이긴 합니다. 고졸입사, 병특테크로 억대연봉자가 있는가하면 4년제 나와도 잘 안맞아서 탈업계하거나 여기저기 전전하는 분들도 계시고... 심지어 비전공자도 있어요. 경영학으로 시작했다던지... 심오한 컴공의 세계
17.12.16 00:39

(IP보기클릭)211.207.***.***

Cva
근데 이건 진짜 능력에 대한 문제고... 일반적인 부분이라면 윗분 말씀이 맞아요. 저도 스타트업 전전할때는 능력이 우선이여서, 능력 좋은 분들은 지분도 받고 공동창업자 대우도 받고 매출 나는대로 연봉도 쭉쭉오르고 했지만 결국 스타트업은 종이쪼가리 되기 쉬워서... 그렇게 오픈마인드의 IT회사는 큰회사중에는 찾기 어렵고... 일반적인 회사의 IT부서나 좀 거대한 IT회사는 최종학력으로 연봉을 구분짓는 경우도 있습니다. 제가 4년제 대학중퇴여서, 일을 빨리 시작해서 남들보다 먼저 돈을 모으기 시작한대신 연봉에 약간 손해보고있습니다. 그나마 잘쳐주셔서 큰 차이는 아닙니다만... 여튼 여유생기면 다시 딸 생각 하고있습니다. 될수있으면 좋은곳가세요. | 17.12.16 00:42 | |

(IP보기클릭)14.36.***.***

프리랜서의 경우 4년제 4년차에 중급달고 페이 500정도 받을때 전문대 8년차에 500받을 수 있습니다. (실금액은 개개인다를텐데 걍 쉽게 얘기해서) 제가 이것만 알았어도 이름없는 4년제라도 갔을껀데 제일 후회함 ㅋㅋㅋ
17.12.16 09:29

(IP보기클릭)220.88.***.***

페이는 위에분들이 다들 예기해주셨고.. 학문적인 예기론.. 전문데 컨공은 시작부터 프로그래밍에 몰빵한 코딩에 더 치중한 무게가 있지만.. 4년제 컴공은 좀더 전문대에서 습득하는거에서 + 가 약간 이나마 들어갑니다.. 이산수학 같은 이론적인 학문도 추가로 배우고.. OS 구조적특성에대해서 조금더 로우레벨까지 강의가 있는편이죠.. 하지만 프로그래밍을 밥먹고 살려면.. 4년제는 공대 컴공과 말고.. 자연대 전산통계학 쪽으로 가는게 -_- 더 유의미합니다.. 공대 컴공은 하드웨어도 절반정도 다루기 때문에.. 말이죠..
17.12.16 10:01

(IP보기클릭)221.154.***.***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Acyde
이게 정답입니다. | 17.12.17 16:46 | |

(IP보기클릭)125.141.***.***

BEST
유명한 전문대가 아니라면 4년제가 나을 거 같고 보통 4년제 후 대학원으로 가는 경향이 더 많아요. 실력은 소모임 같은곳에서 쌓고 윤영처제 같은 필수과목은 나중에 쓰이게되니 잘 들어주고요. 실력차이가 다른거에서 시작되는것도 아님. IT같은 기술직은 계~속 공부해야되서..레퍼런스도 잘 찾아다니고, 도움되는 내용을 듣거나 접했을때 이해할수 없느냐 아니냐는 매우 큰 차이입니다.
17.12.16 12:35

(IP보기클릭)118.37.***.***

대부분의 회사가 초봉에서 차이를 둡니다... 4년제 나온애들 학교 공부할때 설렁설렁 놀았다는 소리거든요... "난 놀지않고 그때부터 프로그래밍을 공부했다"고 변명해봤자 어짜피 실력에서 다 들통남....
17.12.16 18:14

(IP보기클릭)118.37.***.***

지지마리오지지
분야에따라 4년제 씹어먹는 손에 꼽히는 전문대가 있는분야가 있긴한데 그런곳 출신이 아닌이상 4년제와의 차이는 피할수 없습니다... | 17.12.16 18:17 | |

(IP보기클릭)112.172.***.***

BEST
2년제 컴공과 인력은 SI로 소모시키고자 쓰는 인력... 4년제 컴공은 키워서 아키텍트,매니저로 육성시키는 인력...
17.12.17 18:32


1
 댓글





읽을거리
[MULTI] 부실한 이야기와 좋은 전투 그리고 높은 잠재력, '명조' (14)
[XSX|S] 세누아의 전설: 헬블레이드 2, 체험으로서의 게임이란 (81)
[게임툰] 황야에 피어난 메카의 로망, 샌드랜드 (24)
[게임툰] 레트로로 그린 잔혹동화, 리틀 구디 투 슈즈 (61)
[PC] 2년 기다림이 아깝지 않은 장독대 묵은지, 브이 라이징 (24)
[PS5] 국산 게임의 별로서 기억될 칼, 스텔라 블레이드 (174)
[MULTI] 탐험으로 가득한 사막과 맛있는 메카 전투, 샌드랜드 (41)
[MULTI] 아쉬움 남긴 과거에 보내는 마침표, 백영웅전 리뷰 (55)
[MULTI] 고전 명작 호러의 아쉬운 귀환, 얼론 인 더 다크 리메이크 (27)
[게임툰] 자신만의 용을 찾는 여행, 드래곤즈 도그마 2 (51)
[게임툰] 공주의 변신은 무죄, 프린세스 피치 Showtime! (35)
[NS] 창세기전: 회색의 잔영, 기념사업의 끝 (160)


파워링크 광고 24시간 안보기

글쓰기
공지
스킨
ID 구분 제목 글쓴이 추천 조회 날짜
118 전체공지 업데이트 내역 / 버튜버 방송 일정 8[RULIWEB] 2023.08.08
8628262 인생 장난 & 잡담 게시물에 대해서는 징계 조치 하겠습니다. (46) 루리 85 498851 2009.05.05
30580849 인생 타자기 성애자 197 00:15
30580848 친구 빛쁨 119 00:13
30580846 인생 castitatis 547 2024.05.30
30580845 취미 되는일이없어 323 2024.05.30
30580844 인생 루리웹-3904483070 393 2024.05.30
30580843 인생 시계시계인 8 3400 2024.05.30
30580841 인생 MacTavish 1447 2024.05.30
30580840 이성 친수 2 4422 2024.05.30
30580839 취미 루리웹-9501011561 1 858 2024.05.29
30580838 취미 루리웹-4154361094 1032 2024.05.29
30580837 인생 루리웹-3927284079 963 2024.05.29
30580836 인생 루리웹-2953212374 637 2024.05.29
30580835 인생 당하고살지말자 599 2024.05.29
30580833 취미 라그호드 816 2024.05.29
30580832 신체 되는일이없어 1116 2024.05.29
30580830 인생 복뚱이의일월 2601 2024.05.29
30580829 인생 루리웹-2833091338 868 2024.05.29
30580828 친구 순두부라면 395 2024.05.29
30580827 인생 이빠진진주 3 1848 2024.05.28
30580826 인생 작안의루이즈 1 1582 2024.05.28
30580825 취미 루리웹-9017808102 960 2024.05.28
30580823 신체 Li리아 707 2024.05.28
30580822 컴플렉스 루리웹-2628760669 1447 2024.05.28
30580821 취미 왓따따_뚜루겐 760 2024.05.28
30580820 친구 술은답을모른다 1 971 2024.05.28
30580819 인생 인피니트워 699 2024.05.28
30580818 인생 루리웹-2953212374 1 1151 2024.05.28
30580817 인생 차칸도리 1 1276 2024.05.28
글쓰기 45347개의 글이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X